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도담 Feb 05. 2022

아이는 낳지 않지만 좋은 부모는 되고 싶어

MZ세대의 모순

내 주변만 봐도 아이를 낳지 않겠다고 하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교과서에서만 보던 저출산 문제를 성인이 되고 직접 마주하니 이제야 현실로 다가왔다. 나만 해도 대학교 1학년 때까진 아이를 네 명이나 낳겠다고 말하고 다녔지만 지금은 생각이 없다. 나 하나 먹여 살리기도 힘든 세상이기 때문이다. 어른들도 이제 아이는 낳기만 하면 자라 있다는 말이 통하지 않는 시대라는 걸 잘 알 것이다.


그러나 모순적이게 육아 관련 프로그램과 책은 그 어느 때보다 성행하고 있다. 부모가 아닌 MZ세대 사이에서 말이다. TV 프로그램 중에서도 오은영 박사님이 출연하는 '금쪽같은 내 새끼'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우리는 이런 프로그램을 보며 배우고, 나는 어떤 부모가 되어야겠다 생각한다.


육아 서적의 인기도 높다. 자식과 부모 사이에 상처를 다룬 심리학 책도 베스트셀러를 차지하고 있다. MZ세대는 아이를 낳지 않겠다 선언해놓고, 어떤 세대보다 자식을 행복하게 키우는 것에 대한 공부를 열심히 하고 있는 것이다.


 MZ세대는 아이를 낳고 싶은 마음이 가장 없지만, 아이를 낳는다면 가장 좋은 부모가 될 수 있는 세대이기도 하다.


친구들에게 아이를 낳기 싫은 이유를 물으면 대부분 대답이 비슷하다.


첫째, 사회의 따가운 눈총이 싫다. 어느 순간부터 ‘맘충’이라는 단어가 대두되었다. 아이를 데리고 개념 없는 행동을 하는 사람들 때문에 피해받은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단어로 아이 가진 엄마들을 한 프레임에 묶어 사용함으로써 피해를 보는 사람은 더 많다.


'맘충'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며 개념 없는 사람들을 욕 한다 해도 정작 개념 없는 사람들은 본인이 고칠 생각을 하지 않는다. 오히려 좋은 부모들이 맘충이라는 소리를 들을까 봐 더더욱 조심하고, 주변 눈치를 보느라 바쁘다. 과하게 주변 신경을 쓰느라 사랑하는 자식에게 날카로운 엄마가 되기도 한다. 악순환의 반복이다.


사람들이 개념 없는 사람들을 욕하는 이유가 무엇인가? 개념 없는 사람들이 줄어들기 바란다면 그런 사람들이 바뀌도록 관심을 가져야 하는데 '맘충'이란 단어를 만들어 인터넷에 욕하는 행위는 오롯이 한 집단을 헐뜯고 비난하는 데에만 초점이 있다. 이건 혐오를 하기 위한 혐오가 아닌가? 무작정 혐오 단어를 앞세워 한 집단을 배제하고 차별하고 혐오하는 것은 세상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노 키즈존'이 생긴 것도 몇몇 개념 없는 사람들 때문인데, 피해는 아이를 키우는 모든 사람들이 받는다.


아이는 우는 게 당연하다. 나도, 당신도 우리 모두가 핏줄을 세워대며 운 탓에 먹이를 먹고 지금까지 살아있을 수 있었다. 부모는 주변 사람들이 아이를 위해 내어 준 인내심과 배려를 당연히 여기지 않고 감사해야 한다. 양측에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고, 왜 남에게 노력을 해야 하냐면 당신도 살아가는데 알게 모르게 남의 배려를 받으며 살아가기 때문이다.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는 혼자가 아닌 함께 살아가는 곳이다.


서로가 해줄 수 있는 배려는 해주며 살았으면 좋겠다.


둘째, 나 하나 책임지기도 어려운 세상이다.

외벌이 부부는 육아를 하기에 돈이 벅차다. 맞벌이 부부는 육아할 시간이 부족하다. 아이를 낳고 키우는 동안만 일을 쉬기에는 경력이 단절되어 복귀가 어렵다. 자가가 없는 신혼부부는 더욱 아이를 낳지 않는다고 한다. 그러나 지금은 자기 집을 갖기 어려운 세상이다. 그럼 대부분이 자연스럽게 아이를 낳지 않게 된다.


여전히 가난해도 아이를 키울 수 있다고 말하는 어른이 있다. 지하에서 추위에 떨며 아이를 키워도 잘 자란다고? 그럴 바엔 낳지 않는 게 낫다. 열악한 환경에서 태어날 아이에게도 힘든 일이다.


아이를 낳은 사람들을 위해 정책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나 새로 도입되어야 할 부분들이 많다. 세상이 빠르게 변화하지만 아직 정책은 그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것 같다.


그래도 사회적 인식 변화는 점점 나아지고 있다. 아르바이트를 하다 보면 정말 많은 부모와 아이들이 온다. 요즘은 아빠가 아이들을 데리고 오는 경우도 많고 엄마가 밥을 먹을 때까지 아빠가 아이를 안아 주는 등, 예전보다 양육의 책임이 한쪽에만 기울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예전에 비행기를 탔을 때도 6시간 비행 내내 아빠가 아이를 안고 있었다. 여전히 독박 육아를 하며 힘들어하는 엄마도 있겠지만 사회의 인식이 변하고 있음은 확실하다. 세상은 꾸준히 좋은 쪽으로 변화해 가고, 그런 세상과 좋은 부부 사이에서 행복한 아이가 자랐으면 좋겠다.


셋째, 가족에게 받은 상처가 많다. 중학교 친구들 중에도, 고등학교 친구들 중에도, 성인이 되어 만난 친구들 중에도 공통점이 있다. 우리 부모같은 부모 되기 싫다고 했다. 육아 관련 프로그램을 보고 책을 읽으며 배우는 것도 이런 생각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부모와 나는 다르다. 그런 상처를 자식에게 주지 않기 위해 노력하면 언제든 더 좋은 부모가 될 수 있다.


그리고 MZ세대를 낳은 부모님들에게 말하고 싶다. 좋은 부모가 되자. 아직 늦지 않았다. ‘부모가 처음이라’라는 말과 ‘우리 때는 그런 육아방송이 없어서 몰랐어.’라고 말하는 어른들도 있을 것이다. 당장 나의 부모님도 이런 말을 한다. 당연히 이해한다. 우리가 어른이 처음이라 서툰 것처럼 부모가 처음이라 서툴겠지.


그러나 아무리 서툴러봐야 내 자식에 비해서는 어른이고 내 자식에 비해서는 살아온 삶이 너무나 길다. 그리고 그때와 달리 지금은 육아에 대한 조언이 수없이 넘친다. 우리는 충분히 바뀔 수 있다. 지금도 늦지 않았다. 당신들은 여전히 세상을 바꿀 수 있다.

이전 03화 우리에게 MBTI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