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너어만 개아느마 난도 개안타

지는 개아네요 거어서 개아는교

어머니 나이 오십 중반에 아버지 가시고

삼십여 년을 혼자 지내시다

아버지 따라가신 어머니.

어머니 살아 계실 때

일주일에 한 번 전화드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그게 생각만큼 잘 안되었다.


어쩌다 몇 주 만에 전화드렸을 때

"니는 손가락이 뿌러졌나?"

(너는 손가락이 부러졌냐?)

라며 전화를 하지 않는 아들에게 목소리를 높이셨다.

"아... 머 그래댓니더..."

(어... 뭐 그렇게 되었네요...)

라고 대답했다.

어머니 그렇게 하시는 말씀은 비난이 아니다.

그것은 기다림의 표현이다.


사실 이민생활이 어느 정도 안정되기 전까지는

일주일에 한 번 전화드리기가 어려운 때도 있었다.

그렇다고 해서

"하이고, 사는 게 힘드이까네 그래 댓니더..."

(아이고, 사는 것이 힘들어서 그렇게 되었어요...)

라고 말씀드릴 수는 없는 노릇이다.

멀쩡하게 대기업 다니다가

마흔 넘은 나이에

처자식 데리고

느닷없이 태평양 건너 남의 땅에 가버린 아들 때문에

안 그래도 걱정이 크실 텐데

거기에 불을 지를 수는 없으니까.  


어머니께 전화드려

전화가 연결된 후

"어떠이껴?"

(어떻세요? 어떻게 지내세요? 잘 지내세요?)

어머니 안부를 여쭈면

어머니께서 자주 하시는 말씀이 있었다.


"나마는 이가 글치머.

내사 워타.

너어만 개아느마 난도 개안타."


어머니는 경상북도 안동 출신이시다.


나이 많은 이가 그렇지 뭐.

나야 뭐 어떠냐.

너희만 괜찮으면 나도 괜찮다.


노인네 지내는 것이 다 그렇지 뭐.

나 사는 거야 뭐 별것 있겠어? 뭐 그냥 이렇게 사는 거지.

너와 네 가족이 잘 지내면 그것이 내게도 기쁨이 되는 것이란다.



당신 몸 추스르시기도 쉽지 않으시면서

멀리 있는

무척 멀리 있는

아들과 아들 식구 걱정이시다.



이제 곧 어머니 가신 날이 다가온다.

자주 듣던 어머님의 말씀을

또 생각한다.


너어만 개안으마 난도 개안타.



이제

어머니 계신 그 먼 곳에 전화를 할 수 있다면

이렇게 말하고 싶은데...


지는 개아네요.

거어서 개안니껴?

(저는 괜찮아요.

거기에서 괜찮으세요?)

(저는 잘 지내요.

거기에서 잘 지내시나요?)





작가의 이전글 머얼리서 고향을 그리워하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