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파리지엥 Oct 12. 2021

코로나 이후 다시 프랑스 -역사

밀레의 <만종>이 사실은 아기 장례식 그림이라고?  -1부

   밀레의 <만종>이 유명하게 된 것은 하루 일과를 마친 부부가 평화로운 전원에서 신에게 감사기도를 그리는 너무도 목가적이고 행복한 장면 때문이었는데 이 그림이 결코 평화롭지 않다고 이의를 제기한 화가가 있었다. 그는 스페인의 초현실주의 화가로 유명했던 살바도르 달리(S. Dali)였는데 그의 주장에 의하면 부부가 머리를 숙이고 땅을 내려다보는 곳에 있는 붉은 색 감자바구니에 이 그림의 숨겨진 비밀이 있다는 주장을 해서 당시 유럽에 큰 파문을 일으켰었다. 달리 자신도 어릴 때부터 밀레의 그림을 좋아했기에 그의 <만종>을 보고 모작을 많이 했었는데, 한 마디로 달리의 주장은 <만종>에 나오는 감자바구니는 그냥 감자바구니가 아니고 사실은 농부 부부의 갓난아기 시신을 담은 아기 관이었을 거라는 주장이었다. 

   만약 살바도르 달리의 저런 주장이 사실이라면 그동안 밀레와 <만종>을 의심했었던 프랑스 기득권의 말처럼 밀레와 <만종>을 비롯한 그의 대부분의 작품들은 우리가 알던 평화로운 농촌 풍경이 아닌  엄청난 정치적 메시지를 함유한 불순한 정치적 작품들이 되는 것이었다. 그러니 당시 살리의 저런 파격적인 주장에 대해 프랑스는 물론이고 유럽의 미술계와 학계가 받았을 충격이 얼마나 컸을지 쉽게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달리는 도대체 왜 저런 황당한 주장을 했고 어떻게 해서 저런 주장을 믿는 사람들이 나오면서 큰 논란을 만들었을까? 재미있는 일화가 있는데, 달리는 어린 시절 부모님과 함께 파리에 가서 밀레의 <만종>을 처음 보자마자 비명을 질렀다고 한다. 그 이유는 달리의 눈에는 <만종>의 붉은 감자바구니 안에 아기의 관이 선명하게 보였기 때문이라고 한다. 어린 시절부터 괴짜로 불린 아이였기에 당시에는 아무도 그의 말에 귀 기울이지 않았지만 그가 스페인을 대표하는 유명한 화가가 되자 이야기가 달라진다. 달리 역시 여러 경로를 통해 밀레의 <만종>에 대한 자신의 주장을 입증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을 하고 발표까지 했기 때문이다.  

  달리는 어린 시절 밀레의 <만종>에서 받았던 그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성장하면서 아예 밀레의 작품에 대한 연구를 논문으로 발표하기 까지 한다. 먼저 1933년에는 밀레의 <만종>에 대한 연구물을 <<미노타우로스Minotaur's>>지 제1호에 발표했고, 이어서 30년 후인 1963년에는 <<밀레 <만종>의 비극적 신화>>라는 연구물을 발표했던 것이다. 

  프랑스와 유럽의 미술계와 학계는 처음에는 밀레의 <만종>에 대한 달리의 계속되는 의문과 말도 안 되는 주장을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았는데 계속되는 확신에 찬 그의 주장에 결국 루브르 박물관이 응해서 <만종> 원작 그림을 당시로서는 최첨단 기법이었던 X-Ray로 촬영하게 된다. 루브르 박물관의 의도는 X-Ray를 통해 <만종>의 감자바구니 안에는 죽은 아기 시신이 있지 않고 그냥 감자만 있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입증하려는 것이었다. 그러나 루브르 박물관의 이러한 과학적인 시도는 오히려 더 큰 혼란과 논란을 촉발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X-Ray에 의해서 육안으로 잘 안보이던 거무스름한 직육면체 물건이 보였던 것이다. 그것은 마치 달리의 확신에 찬 주장을 뒷받침하기라도 하는 듯 감자바구니 안에 뭔가 이상한 흔적 자국이 있다는 것이 드러났는데 달리는 이것이 아기 관이라는 주장을 했던 것이다. 

  재미있는 것은 당시 X선 검사 결과를 본 많은 사람들과 과학자들이 달리의 주장에 적극 동의하지도 않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완전 허무맹랑한 이야기로 넘기지도 않았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달리의 주장에 따라 그림을 보면 황량한 느낌의 벌판, 아기요람처럼 보이는 감자바구니, 슬픔의 묵상처럼 보이는 부부의 자세, 땅을 팠을 때 쓴 것 같은 쇠스랑, 그리고 마치 천국이 열리는 것 같은 하늘의 모습 등 묘지에서 볼 수 있는 풍경들이 많았기 때문이었다. 게다가 결정적인 것은 많은 예술가들이 <만종>을 미리 예고하고 있는 그림이라고 평가하는 밀레의 1855년 작품인 <접붙이는 농부>에서도 농부 부부가 등장하는데 여기서는 여인의 팔에 살아있는 아기가 있었다는 것을 그 증거로 내세운다. ......  2부에서 계속   

  

이전 18화 코로나 이후 다시 프랑스 -역사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