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지민 Jul 05. 2023

구름 같은 너, 단정 짓지 않을게

나는 누군가가 나를 재단하거나 나에 대해 단정 짓는 것을 극도로 싫어한다. 설사 그게 날 제대로 본 것이라 할지라도 선입견이나 단정 짓는 마음을 담은 말투라면 마음속에서 반항하는 마음이 활활 타오르기 시작한다. 타오르기 시작한 마음은 꺼지기 어려워서 나는 어떻게든 기를 쓰고 반대의 모습을 보이려고 온 에너지를 다 써버린다. 나는 아주 작은 조각들이 모인 집합체라서 나도 나의 완전한 입체를 알지 못하며 작은 조각들은 시도 때도 없이 바뀔 가능성을 갖고 있는데 그걸 모조리 무시당하는 게 싫다. 물론 집합체 그리고 완전한 입체 이야기가 보편적인 인간의 모습인 건 잘 알고 있다. 난 특별하다, 뭐 이런 게 아니라 유독 나는 저런 면을 무시당하는 것을 참지 못하는 사람이라는 것.


당하고 싶지 않은 짓은 내가 남에게 하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물론 쉽지 않지만 노력을 위해 의식하려고 신경 쓰려고 노력한다. (노력을 두 번 쓸 정도로 노력한다. 이건 내가 나름 신경을 쓴다는 의미도 되지만 정말 어렵다는 의미기도 하다.) 그런 내가 이제 태어난 지 이제 이 년도 되지 않은 아이를 앞에 두고는 자꾸 까먹는다. 그래서 늘 단정 짓고 마음대로 재단해 버리고 그것에서 벗어나면 대체 왜 그러는 거냐고 넌 대체 종잡을 수 없다며 (가끔이지만) 화를 낸다. 아주 사소한 생활의 단면에서부터 아이의 본성이라 생각할 만한 진지하고 깊은 것까지 다양한 것으로. 


아이는 고기를 잘 먹지 않았다. 단단한 식감을 좋아해서 상대적으로 흐물흐물한 고기의 식감이 마음에 들지 않는 건지 잘게 잘라 줘도 크게 줘도 바싹 구워 줘도 부드럽게 익혀 줘도 뱉어냈다. 그래, 넌 고기를 싫어하는구나. 내가 고기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 건 괜찮지만, 잘 먹이고 싶은 엄마 마음 깊숙한 곳에서 늘 속이 상하는 일이었다. 많이 시도하다가 이제는 넌 고기를 좋아하지 않는 아이, 그래 그럼 다른 단백질을 찾자 하는 마음으로 고기를 구워주지 않은지 좀 됐다. 그러던 어느 날 나의 철분 보충을 위해 구워둔 소고기를 냅다 주워 먹는 게 아닌가. 너무 신나고 기특하고 기뻐서 내 몫의 고기를 몽땅 잘라 주었다. 그러다 그 자리에서 다 먹어 치우는 아이를 보고 아니, 갑자기 왜? 넌 고기를 싫어하잖아?라고 정말 소리 내서 물어봤다. 아직 말도 대답도 못하는 아이를 앞에 두고 정말 이상(이 말을 쓰는 것도 참 이상하지만, 그 순간에는 정말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었다.)한 애라는 생각이 앞서서 말로 나와버린 것이다. 이것 말고도 어떤 취향이나 기호를 보였기에 그게 아이의 고정된 면이라고 생각해 버리고 거기에 맞춰주다 어느 날 다른 모습을 보이면 내가 알고 있는 모습과 다른 모습을 보이는 것에 아니 갑자기 왜? 넌 이런 아이였잖아! 아니 갑자기 왜 변한 거야? 뭐 이런 류의 반응을 몹쓸 태도를 자주 보였다. (자세한 설명 없이 눙치는 것처럼 넘어가는 건 어떤 아이템이었는지 어떤 사건이었는지 기억이 하나도 나지 않기 때문이다... 슬프다... 그 감정만 남아있다... 또륵)


그러다 문득, 아니, 내가 뭘 하고 있는 거지. 이제 막 세상에 온 아이에게 완전 백지에게, 아직 해야 할 경험도 선택해야 할 기호도 구만리인 이 아이에게 뭘 벌써 자꾸 고정적인 시선을 두려 하는가 싶은 생각이 들었다. 선입견도 단정도 재단도 그렇게 싫어하는 내가! 내가! 내 아이에게 그런 시선과 마음을 보였다니. 너무 실망스러웠다. 왜 그랬을까 생각하느라 몇 날 며칠 마음이 무거웠다. 짧은 내 생각이 내린 결론이란, 변수가 많고 정신과 육체적 에너지 소모가 절대적으로 큰 육아에 있어서 사소하고 엄청 부족한 데이터를 기반으로라도 일반화하며 무엇 하나라도 단순화시키려 했던 게 아닐까 하는 것이다. 그럼 조금이라도 편하니까. 그런 내 생각 자체가 잘못된 것인데 내가 고정시켜 버린 아이의 어떤 면에 대해 다른 모습을 보이면 아이를 탓하고 문제 삼기까지 했다니. 휴. 정말 별것 아닌 일이지만 (꼴랑 안 먹던 고기를 잘 먹게 된 한낱 먼지 같은 일을 이렇게 확대했다는 것도 참 웃기다...) 내게 많이 반성할 것을 던져주었다. 


자꾸 넌 그렇잖아, 너 이거 좋아했잖아, 저거 싫어했잖아 이런 데이터로 쌓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그렇지 않으면 잊어버리기 때문이다. 옆에서 지켜본 아이는 늘 변한다. 조금은 타고난 면모인가 싶은 것도 정말 사소한 기호도 아무 이유 없이 훽훽 변하고 또 갑자기 그전으로 돌아갔다가 또 다른 모습을 보이고. 그게 당연하다 싶다. 아직 뭔가가 굳어지기엔 가능성이 가득하고 부드럽고 유연한 마음과 정신일테니까. 


구름 같은 아이의 몸과 마음을 단정 짓지 않기 위해서 어디 이마에라도 써붙이고 다녀야 하는 게 아닌가 싶다. 에휴, 어렵다. 어려워.      

매거진의 이전글 나한테는 왜 그렇게 안 했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