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제일제문소 Mar 19. 2023

글쓰기, 그기 돈이 됩니까

일단 나는 안되니까 늘어놓는 푸념섞인 부제목

브런치 또는 블로그로 판을 벌이는 사람 대부분은 그래도 어디서 글 좀 쓴다는 얘길 들어본 사람일 거다. 아, 물론 요즘은 그와 무관하게 블로그를 쿠팡파트너스 등등 수익 창출의 파이프라인으로 삼는 분들도 있겠지만 그건 논외로 치고. 아니, 논외로 칠 게 아닌 것 같기도 하다. 글쓰기로 나의 생각이든 마음이든 뭐든 표현해보고 하는 맥락에서는 다를 수 있겠지만 꾸준히 쌓아가야 쇼부(?)가 난다는 맥락에서는 한 가지일 수도 있겠다. 돈이 벌리든, 글을 잘쓰든...일단은 뭐 부럽습니다.


좋은 글을 잘 쓰고 싶다. 이건 아마 무언가를 글로 써낸다는 '글짓기'라는 행위가 나에게 인식된 이후부터 아마 변함없이 가져온 마음일 거다. 좋은 글, 잘쓴 글에 대한 정의나 생각은 아마도 계속 변해왔겠지만 다른 건 몰라도 글쓰기는 나에게 있어 그래도 남들보다 조금은 더 잘해내고 싶은 자존심의 영역이기도 하다. 고맙게도 나의 똥글, 망글들을 고운 시선으로 바라봐주는 사람들이 있어 나는 그래도 글은 좀 쓰는 솔삼이로 살고 있긴 하다.


하지만 나의 글쓰기는 '근데 이걸로 뭘 할 건데?'라는 질문을 마주하면 길을 잃곤 한다. 늘 이랬던 것은 아니다. 모두의 흑역사라고 하지만 나에겐 거의 치명타 수준인 싸이월드에는 정말 내가 뭘 할 생각도 없이 '싸질러놓은(너무 저렴한 건 알지만 도저히 이거 말고 표현할 방법이 없다)' 글들이 너어무 많다. 싸이월드 뿐이겠는가. 페이스북, 이글루스, 워드프레스...글을 게시할 수 있는 웬만한 플랫폼에는 나의 디지털쓰레기가 산적해있다. 그 누구보다도 완벽하고 꼼꼼한 디지털장례식이 간절한 사람, 바로 나다.


그때는 쓰지 않으면 견딜 수가 없었다. 글이 마음에서 흘러내렸다. 그 흘러내린 마음들이 김연수, 김영하 같은 큰 그릇에 담겼으면 좋았겠지만 안타깝게도 나라는 간장종지에 흘러 빛을 보지 못했다. 고작 싸이월드 다이어리 포도알로 남았을 뿐. 포도알은 도토리와 달라서 미니룸 벽지도 하나 살 수 없었다. 딱히 쓸 데가 없었다는 말이다. 하지만 그래도 열심히 썼다. 수강신청하는 학관 복도 컴퓨터에서도 쓰고, 시험기간에도 쓰고, 남자친구한테 차이고도 썼다.


그렇게 써재끼던 시절이 있었기 때문에 그래도 지금의 나는 글을 읽으면 어떤 부분이 이상한지 빨리 잘 알아차리고 나만의 호흡을 만들어낼 수 있게 되었다. 사실 마음 먹고 글쓰기 트레이닝을 하려면 쉽지 않았을 거다. 그저 젊어 흘러넘치는 마음이 일단 양적승부를 먼저 보게 했고 과제로든 호기심으로든 닥치는 대로 많은 글을 읽어야 했던 상황이 아무렇게나 쌓여있던 나의 생각들을 잘 정돈해주었다. 여기까지는 좋았다. 모로 갔지만 일단 김서방의 먼 친척까지는 만났다. 문제는 지금부터다.


나의 글은 딱히 목적이 없었다. 그저 해소였다. 내가 깊게 생각하는 것에 대해 완성된 글을 하나 써낼 수 있게 된다면 이제 그 상황은 종료. 글쓰기는 나만의 엔딩요정이었다. 엔딩을 향해 계속 고민하면서, 기어코 엔딩에 가야 만날 수 있는. 하지만 요즘은 시키는 일 말고 내가 유일하게 조금 잘한다는 소리를 듣는 게 글쓰기인데 '그럼 이걸로 내가 뭘 해야하나..?'하는 생각이 앞서다보니 어떤 글을 써내는 데 있어 더 주저하게 된다. 그럼 계속 목적 없는, 해소를 위한 글을 쓰면 되나?


그건 더 어렵다. 이제는 무언가를 해소하지 않으면 못견딜만큼 차오르지 않고 흘러내리지 않는다. 이 표현이 맞는지 모르겠지만 언젠가부터 감정과 마음이 주르륵 흘러내리지 않고 밑이 쑥 빠진 채 검은 베이글(feat.에에올)만 남아있는 상태가 되어버리기 때문이다. 다시 요동치는 마음이 찾아온다면 어딘가에든 또 열심히 쓰레기를 만들게 되겠지만 나이가 들어버린 나는 이제 그런 요동치는 마음으로 사는 게 더 두렵고 벅차다. 감정의 쓰나미에 휘둘리면 이제는 영 돌아오지 못할 것 같기 때문이다.


목적과 이유를 만들어주면 좀 나아질까? 너무 완성도를 생각하지 말고 뭐든 꾸준히 쌓으라고 하는데 여기서 어려운 건 완성도보다 꾸준히다. 그 노래 잘하는 김동률이 본인의 보컬에 되게 관대하다고 하는 것처럼 나 또한 내 글의 완성도에 관대하다(하지만 오빠의 정규앨범은 2011년 이후로 나오지 않고 있다...). 거기다 나는 꾸준함을 뒷받침할 마음의 온도까지도 필요한 사람인데 이 아랫목 온돌을 오랫동안 따뜻하게 계속 유지할 군불을 어디서 어떻게 때야할까.


나도 이제 어엿한 직장생활 15년차 자낳괴니까 돈이 되면 뭔가 열심히 하려나?



이전 18화 그래서 나는 뭐가 다른가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