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해수 Mar 10. 2023

어느 ADHD인의 계획 세우기 4단계(0)

'계획 세우기'의 재정의




어느 ADHD 인지행동치료 책을 봐도 '계획 짜는 법'이 절반 이상을 차지합니다. 저도 아침 9시가 되면 플래너에 계획부터 짜기 시작합니다. 할 일을 정리하고, 잊은 일은 없는지 체크하고, 예정된 일은 무엇이 있는지 살핀 뒤에 오늘 할 일을 결정해요. 


약물 치료 전에는 플래너를 전혀 쓰지 못했습니다. 인생에 계획이란 게 없었어요. 하루살이조차 인생의 플랜이 다 있는데, 저는 하루살이만도 못했습니다. 연초마다 불타는 마음으로 플래너를 사기는 했지만, 두 페이지쯤 쓰다가 말아서 그냥 예쁜 플래너 수집하는 사람이 되곤 했습니다. 하지만 그래도 할 일을 잊지 않으려고 다양한 방법을 썼어요. ADHD 인지행동치료 책에 나온 방법을 따라하기도 하고, 포스트잇에 할 일을 적어 모니터에 붙이기도 하고, 구글 캘린더의 간트 차트 기능을 쓰기도 하고, 때로는 PM 포지션에 있는 분에게 일정관리를 통째로 맡기기도 했죠. 하지만 어쨌거나 계획을 제대로 안 세우다 보니 일상에 구멍이 펑펑 났습니다. 약속을 겹쳐 잡는다든가, 일을 무리하게 맡는다든가, 해야 할 일이나 사야 할 물건, 세금 납부일 등을 완전히 까먹어버린다든가. 몇 년 동안은 그냥 구멍이 난 채로 살았던 것 같아요.(이 구멍은 결국 주변 사람들이 메워주게 됩니다. 저는 이것도 ADHD가 플래너를 쓰고 계획을 써야 하는 중요한 이유 중 하나라고 생각해요.) 플래너를 쓰려는 시도는 정말 많이 했습니다. 생산성 관련 책도 몇 권을 봤는지 몰라요. 그런데 나중에는 '플래너 쓰기'조차 잊어버리는 저를 발견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플래너를 굉장히 잘 활용하고 있답니다.




✅ 가장 먼저, 계획의 재정의


'계획은 꼭 지켜야 하는' 거라고 생각했던 과거의 저에게 해주고 싶은 이야기가 있어요. 해내지 못한 투두리스트의 남은 일거리에 좌절하고, 하루 계획을 짰는데 예상 밖의 일이 치고 들어오면 스트레스를 받고, 그 결과 계획 세우기를 완전히 포기했던 저에게 외칩니다.



계획은 지켜야 하는 게 아니야! 

 

지켜야 하는 게 아니면... 계획은 뭘까요? 지금의 저는 계획을 이정표로 여깁니다. 플래너는 오늘 어느 방향으로 가야 하는지 알려주는 정보일 뿐이에요. 그런데 '계획 세우기' 필드에서 지금까지도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론인 투두리스트는 '해야 할 일'의 목록입니다. ADHD뿐만 아니라 전 세계 수많은 사람들이 이 '할 일' 목록에 고통받고 있습니다! 왜냐면 투두리스트의 모든 일을 해내기란 정말 어렵거든요. 그런데 이게 '해야 할' 일의 목록인 탓에, 투두리스트를 다 채우지 못하면 우리는 '해야 할 일을 못한 사람'이 되어버립니다. 듣기만 해도 자존감이 뭉텅이로 사라지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계획을 이정표로 본다면, 플래너나 투두리스트는 더 이상 저에게 '이 일 해!!'라고 스트레스를 주는 존재가 아니게 됩니다. 그냥 네비게이션처럼 가만히 말하고 있을 뿐이죠. '오늘은 이 방향으로 가야 해'라고요. 그 길로 갈지 말지는 제 선택입니다. 일정에 변동이 생기거나, 뜻밖의 일이 생기면 그 길로 가도 됩니다. 오늘 못 간 길은 내일 가면 되죠. 까먹지 않을 거예요. 오늘의 내가 플래너에 적어놨으니까요!





✅ 쓰는 것보다 보는 게 중요하다


과거의 저에게 한 마디 더 해야겠습니다.



플래너는 다시 보려고 쓰는 거야!


플래너를 다 쓰면 어떤 행동을 하시나요? 아마 플래너를 덮겠죠? 다 썼으니까요? 그런데 저는 그러면 안 됐습니다. 플래너를 덮어서 눈 앞에서 계획이 사라지는 순간 계획의 존재마저 잊어버리더라고요. ADHD는 시각이나 청각 등 감각적인 단서가 바로 코앞에 놓여 있지 않으면 해당 사물의 존재를 잘 기억하지 못한다고 해요. 가장 간단한 예로는 냄비를 불에 올려놓고 잠시 딴 데를 보다가 잊어버리는 것이 있겠습니다. 냄비가 계속 눈에 보이면 괜찮은데, 눈에 보이지 않으면 냄비의 존재가 머릿속에서 삭제되는 거죠. 나중에야 새카맣게 탄 냄비가 저를 맞이하겠죠. 이는 작업 기억력이 부족해서 생기는 상황이래요. 그래서 잊고 싶지 않은 일이 있다면 그와 관련된 시각적 신호를 준비해 주는 게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정리 상자에 이름표를 붙인다든가, 꼭 갖고 나가야 하는 물건은 눈에 잘 띄는 곳에 둔다든가, 제가 며칠 전에 쓴 글에서처럼 아침에 눈 뜨자마자 운동복과 약이 보이게 한다든가요. 이 기묘하고도 간단한 특징을 더 어릴 때 인지했더라면 좋았을 텐데요. 


그래서 저는 플래너가 '이정표'라는 역할을 다하게 하기 위해서 하루종일 책상에 펼쳐 놓습니다. 눈만 돌리면 오늘의 계획을 다시 볼 수 있게, 변화를 수시로 플래너에 업데이트할 수 있게요. 


플래너를 쓰고 덮는다고 할지라도, 플래너는 쓰는 것보다 보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플래너를 덮었다면 최소한 하루에 열 번은 다시 펼쳐서 자신의 현재 위치를 확인해야 해요. 하지만 저는 덮는 순간 잊기 때문에 그냥 펼쳐 놓고 있습니다. 이렇게 책상의 청결도는 -1이 되었지만 제 생산성은 +1이 되었습니다. 생산성을 위해서라면 단정한 책상 정도는 제물로 바칠 수 있죠. 






이번 글에서는 저의 강박적인 면과 허술한 면을 다뤄 주기 위한 생각 두 개를 썼어요. 어떤 분은 이미 비슷한 생각을 하고 계실지도 모르고, 또 이게 뭐 대단한 깨달음이냐고 할 수도 있어요. 하지만 저는 지금도 의식적으로 "계획은 이정표야"라고 스스로에게 말해줘야 계획에서 도망치지 않게 되고, "계획은 다시 보는 거야"라고 생각해야 계획을 계획답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그럼 다음 글에서 본격적으로 플래너를 쓰면서 계획을 세워볼까요! 




이전 08화 회사에 살아서 도착했어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