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레누스는 집필을 마쳤다. 그는 이런 끔찍한 일을 겪은 뒤에 다시 인문학을 가르치는 교육자로 학생들 앞에 설 수 있을지 의문이었다.
그는 아드리안의 최후를 들려준다. 쓰러진 뒤 열두 시간을 혼수상태에 있던 그는 치매 증세를 보이며 이미 자아를 망각했다. 석 달의 정신 요양원 생활 끝에 세레누스는 튀링겐의 레버퀸 부인에게 아들의 일을 알리기로 한다. 어머니를 기다리는 동안 아드리안은 자살을 기도한다. 이는 막연하게나마 어머니를 슬프게 해서는 안 된다는 의지의 발로였고, 한편으로는 악마에게 의지한 사람도 육체만 포기하면 구원받을 수 있다는 초기 프로테스탄티즘의 믿음을 따른 행동이기도 했다. 연못에 몸을 던진 그를 겨우 발견해 냈고, 아드리안의 어머니는 산 아들을 되찾았다. 그는 다시금 어린 시절 응석받이가 되었고, 어머니는 아들을 보듬었다.
세레누스는 1935년 쉰 살을 맞은 아드리안을 보기 위해 부헬 농장을 방문한다. 구부정하고 초췌한 아드리안의 모습은 가시 면류관을 쓴 그리스도처럼 측은해 보였다. 그는 친구를 알아보지 못하는 흐리멍덩한 눈빛이었다. 아드리안이 세상을 떠나기 한 해 전인 1939년에 다시 찾았을 때 그의 어머니는 여든 살이었다. 더 수척해진 모습은 마치 엘 그레코가 그린 귀족의 모습과 같았다. 세레누스는 정신을 놓은 아드리안의 모습이 더욱 정신적으로 고양된 모습으로 보이는 아이러니에 가슴이 미어지는 듯했다.
1940년 8월 25일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하던 무렵 아드리안 레버퀸은 세상을 떠났다. 토마스 만의 또 다른 멘토인 프리드리히 니체가 40년 전에 정신병원에서 삶을 마감한 것과 똑같은 날이다. 세레누스는 이 극한의 절망적인 상태에서 희망의 빛이 떠오를 수 있을까 생각하며 친구의 영혼과 독일의 운명에 안녕을 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