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독순 Oct 26. 2024

빈티지가 아닌 빈티지 옷가게(1)

빈티지를 참 좋아하시나 봐요?

  여길 찾아온 손님은 대개 이렇게 말하곤 한다.


  “빈티지를 참 좋아하시나 봐요.”


  SPA 브랜드에서 갓 나온 옷을 입고 일해도 손님들은 나를 위아래로 훑은 뒤 마침내 저기, 하고 결심한 듯 사장님이 입은 빈티지도 살 수 있을까요? 하며 내게 용기 내어 묻는 것이다. 그러면 나는 기대에 찬 손님의 시선을 애써 회피해 이 상황을 모면하려 하고, 아니 빈티지 옷가게 주인씩이나 되는 사람이 빳빳한 새것만 고집한다고 하면 뭔가 범죄를 저지른 것 같은 죄의식이 몰려와 온갖 난처한 표정을 지어 연기하면 그제야 멋쩍은 미소로 빈티지를 참 좋아하시나 봐요, 하고 발치에 놓인 행어로 시선을 옮겨 간다.


  그러면 나는 진종일 손님이 무심코 놓고 간 그 한마디에 안절부절못하다가 어느새 가게 문 닫을 시간이 다가와 문을 잠글 때면 ‘넌 도대체 이 가게를 왜 열었니’하고 반성하며 내게 스스로 되묻게 되는 것이다. 자괴감이나 열패감처럼 텅 빈 감정은 분명 아닐 텐데 내 몸속에 찬 수분이 가게 문고리를 잡은 손끝만 남겨둔 채 모조리 증발해 건조한 공허만이 밀려온다. 빈티지 가게를 운영하려면 옷을 잘 입어야 해, 맞아, 하고 이 해답이 비밀번호가 되어 도어락 버튼에 대고 내뱉으며 문을 잠글 때면 나는 내 차림새를 흘끔 내려다보게 된다.


  배가 불룩 나와 있다.(한 때 ‘볼록’일 때도 있었다고 한다.)


  “빈티지 가게를 운영하려면 옷을 잘 입어야 해.”


  이 말은 개업을 앞두고 재이에게 자주 듣던 충고였다. 재이는 이 시국에 가게를, 더군다나 빈티지 옷을 팔겠다는 나의 무모함을 뜯어말렸다. 그중 저게 꽤 괜찮은 구실이라고 여긴 건지 빈티지 가게를 운영하려면 옷을 잘 입어야 한다는 충고를 입에 달고 살았고 나는 한 번도 진지하게 여겨본 적 없던 나의 스타일을 점검하기 시작했다. 나는 1년 365일 중 200일 정도는 통이 넓은 청바지를, 100일 정도는 기장이 긴 원피스를, 나머지 65일 정도는 투피스 짜리 정장을 입고 다녔다. 그러니까 정장은 순전히 입사 면접 탓이었다.


  “재이야, 나 면접만 60번 넘게 떨어졌어.”


  그러면 재이는 어느 쪽으로도 쏠리지 않게 두 눈썹을 평평히 모았다가 활시위를 당기듯 금속적인 어투를 쏘아내며 재차 빈티지 가게를 운영하려면 옷을 잘 입어야 한다며 나의 헛된 꿈을 관통했다. 우리는 결혼을 약속했고 나의 개업 행위가 우리 둘 사이에 놓인 미래를 금가게 만들 거라 재이는 확신했다. 물론 재이에게 확실히 따져 물어본 적은 없다. 다만 당시 나는 모든 일에 지쳐서 상대가 건넨 고언들을 아무렇게나 의역하고 속어를 섞은 뒤 죄책감 없이 마구 퍼붓고 다녔다. 대기업 공채는 점진적으로 줄어드는데 공기업의 서류 전형조차 넘질 못하는 나 자신이 부끄러웠고 급기야 점점 겁이 나서 주인공이 신입사원 역할로 등장하는 흔한 로맨스 드라마조차 못 볼 지경이 되었다. 드라마 속 주인공은 우여곡절을 겪다가 마침내 대기업에 입사하고 회장의 아들인 상무이사와 사랑에 빠져 사랑과 일, 돈과 명예까지 모두 쟁취해낸다는 신데렐라식 해피엔딩이지만, 내 인생은 내가 악역이라 결국 나 자신에게 모든 걸 빼앗길 처지였다. 언제까지 이 울타리 안에서 치고받으며 경쟁해야 하나. 이러다가 백수 도사가 되어 하늘 위로 승천하게 되는 건 아닌가. 만약 그렇다면 차라리 공기업을 넘어 천天기업인 옥황상제의 전속 비서로 배정받아 연금 대신 천금을 받으며 일하고 싶다고까지 망상하기에 이르렀다.


  관찰 카메라를 집 안 구석구석에다 설치한 뒤 녹화 영상을 무편집으로 방영한다면 나는 영락없이 이 세상 누구보다 쓸모없는 존재로 비칠 게 자명했다. 늦은 오후에 일어나야만 하는 무직자의 비애를 아는 유직자는 결코 없어 그들의 눈 밖에 난 나는 그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해 게을러질 수밖에 없었다. 언제 취직할 거냐? 언제 시집갈 거냐? 이 둘은 아무런 상관관계가 없는데 어른들은 매번 잘도 하나로 교직시켰고 그럴 때마다 늙은 신조어인 ‘취집’만이 수면 위로 뻐끔 떠올라 거품 물었다. 이래서 취집, 취집 하는가보다 푸념했는데 이 역시 대기업 취직만큼 뚫기 힘든 경쟁자가 즐비했고, 그들은 하루에 여덟 시간씩 피트니스센터에 머물거나 강남에 자리한 피부과를 제집 드나들 듯하며 누구보다 자기관리에 힘썼다.


  불성실한 나는 우울감만 밀려와 정체 없이 낯선 거리를 떠돌다 어느 작은 서점이 구원의 빛처럼 눈에 띄었다. 하얀 차양이 설치된 서점 안으로 이끌려 들어간 나는 그곳에서 내가 그토록 바라오던 책 한 권이 섬광처럼 번쩍이는 걸 목도했다. 이건 성서다. 『게으름에 대한 찬양』. 표제 하나에 매혹돼 주저 없이 집어 들었다가 금세 좌절했다. 그는 98세까지 살았고 하루에 삼천 단어 이상씩 기록했고 심지어 노벨문학상까지 받은 게으름과는 동떨어진, 성실하게 살다가 성실하게 죽은 백발 노인이었다. 이런 식으로 독자를 기만하면 안 된다고 열내던 찰나 덜컥 서류 면접에 통과했다는 메시지가 액정화면 위로 진동하며 섬광처럼 스쳐 지나갔다. 이건 성서다.


  재작년 아웃렛 백화점에서 이 년 차 재고떨이로 팔십 퍼센트 할인을 받아 산 특색 없는 투피스 정장을 옷장 안에서 휙 꺼내 입어 보았다. 그사이 체중이 따로 불진 않아 얼추 맞아 보였다. 우주왕복선에 투입될 인류 마지막 구원자라도 된 듯 나는 모든 컨디션을 대면 면접 날에 맞춰 카운트했다. 늘 그래왔듯 칠칠치 못하게 받자마자 바닥에 엎지른 음료처럼 시간은 놀랄 새 없이 빠르게 흘러가 통유리로 된 사옥 앞에서 서성이는 나를 발견할 수 있었다. 면접 순서가 지연돼 한 시간이나 대기실에서 달달 떨다 면접장에 입장했다. 한 명의 면접관이 세 명의 면접자를 상대하는, 새하얀 페인트로 깨끗이 칠해진, 오염된 침입자는 곧바로 걸러내겠다는 일념으로 그득한 백열 빛이 무한히 쏟아지던 곳에서 나는 이런 질문을 받았다.


  “장점이 무엇인가요?”


  집에서 백만 번이고 외운, 면접 예상 질문 중 하급 문항에 해당했는데 부모에게 등 떠밀려 퀴즈쇼에 참가한 어린아이처럼 나는 아무런 대답도 하지 못했다. 면접관은 한숨을 내쉬곤 왼손에 쥐고 있던 은색 펜텔 만년필을 사무용 탁자에다 쓱 굴린 뒤 다음 면접자에게 내 질문을 스레 넘겼다. 저는 근면 성실하고 애사심이 강합니다. 남을 도울 때 행복을 느끼고 주변 사람으로부터 잘 웃는다는 말도 듣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저는……. 바로 옆 2:8 가르마를 탄 짙은 눈썹의 면접자는 정말 근면 성실하고 애사심이 강하고 남을 도울 때 행복을 느끼고 잘 웃는 사람의 표정을 지어 보이며 자신이 가진 강점을 하나라도 놓칠까 모조리 부여잡은 채 낱낱이 말로 꿰어내 이어나갔다. 나는 눈물이 터질 뻔했다. 어떻게 얻은 대면 면접인데. 그리고 뒤로는 내겐 아무런 질문도 돌아오지 않았다.


  그날 재이에게 물어보았다.


  “재이야, 나 정말 그렇게 옷을 못 입어?”

  “응.”


  아주 재수 없게도 재이는 개업을 결심하기 전날까지도 내 선택을 두고, 두고두고 반대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