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Henry Sep 27. 2024

“새로운 바람, 조선의 길”



제1장: 혁명의 서막


한양, 1884년 12월 4일.


김옥균: “박영효, 서재필, 지금이 그 순간이오. 이 작은 불꽃이 조선을 완전히 바꾸게 될 거요.”


박영효 (창밖을 바라보며): “혁명은 쉽지 않을 겁니다, 김옥균. 왕권을 건드리는 일은 언제나 피를 부르게 마련이지요.”


서재필 (무겁게 고개를 끄덕이며): “그러나 지금 아니면 우리는 다시 기회가 없을지도 모릅니다. 청나라의 영향력을 떨쳐내지 않으면 조선은 끝없이 쇠퇴할 것입니다.”


김옥균 (결연한 목소리로): “맞소. 이제 우리는 청나라에 더 이상 복종하지 않을 것이오. 자주국가 조선을 세워야만 이 땅의 백성들이 빛을 볼 수 있소.”


한양, 왕궁


김옥균: “폐하, 우리 조선이 스스로 서야 할 때입니다. 청나라의 손에서 벗어나 자주 독립해야 합니다. 폐하께서 우리를 지지해 주신다면, 우리는 조선을 근대화하여 강한 나라로 만들겠습니다.”


고종 (고민하는 표정으로): “김옥균, 내가 너희에게 맡기겠다. 다만 조선의 안위를 책임질 수 있어야 하느니라.”


김옥균 (미소를 지으며): “폐하, 오늘 조선은 새로운 나라로 태어날 것입니다.”


제2장: 성공의 첫걸음


1885년, 서울의 변화


박영효 (박수 소리 속에서 연설하며): “우리 조선은 이제 더 이상 청나라의 속국이 아닙니다! 우리는 자주 독립 국가로서 서양의 문물을 받아들여 강력한 국가로 거듭날 것입니다.”


서재필: “여러분, 새로운 조선의 문이 열렸습니다. 신분제는 이제 사라질 것입니다. 모든 백성들이 평등한 권리를 갖고, 서양의 교육을 통해 우리의 미래를 이끌어갈 인재들이 될 것입니다.”


청중 중 한 명 (흥분한 목소리로): “이제 우리도 서양처럼 잘 살 수 있게 되는 건가요?”


서재필 (확신에 차서): “그렇습니다. 오늘을 기점으로 조선은 새로운 길을 걷게 될 것입니다. 근대화된 나라로, 세계와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나라가 될 것입니다!”


제3장: 개화의 도전


1887년, 왕궁에서의 논쟁


이완익 (분노에 차서): “김옥균! 그대의 개혁이 백성을 혼란에 빠뜨리고 있소. 신분제를 없애고 서양식을 받아들이는 것이 옳다고 생각하오? 조선은 전통을 지켜야지, 외세의 문물을 무분별하게 받아들여서는 안 되는 법이오.”


김옥균 (냉정하게): “이완익 대감, 변화 없이는 우리는 앞으로 나아갈 수 없소. 전통이란 좋지만, 지금의 조선은 쇠퇴하고 있소. 서양식 교육과 산업화를 통해 우리 백성을 먹여 살릴 수 있어야 합니다.”


이완익: “조선은 유교의 땅이오! 전통을 버리면, 백성들의 혼이 사라질 것이오!”


박영효: “그러나 지금 조선의 백성들은 배고픔에 시달리고 있소. 더 이상 옛 방식만 고집할 수는 없습니다. 우리는 조선이 강대국이 되는 길을 선택해야 하오.”


이완익 (결연한 목소리로): “나는 그대들의 개혁을 인정할 수 없소. 나와 같은 사람들이 가만히 있지 않을 것이오.”


제4장: 개화의 꽃


1892년, 서울의 새로운 모습


서재필 (거리의 변화를 보며): “서울이 이렇게 바뀔 줄은 몰랐습니다. 철도가 깔리고, 사람들이 이제는 전신으로 소식을 주고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백성들도 서양식 학교에 다니기 시작했고, 이제 더 이상 문맹이 아닌 시대가 오고 있습니다.”


김옥균 (미소를 지으며): “이것이 바로 우리가 꿈꾸던 조선이오. 신분제가 없어지고, 모두가 평등한 세상. 서양의 기술과 교육을 통해 조선이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소.”


박영효 (흐뭇하게): “경제도 이제 눈에 띄게 성장하고 있소. 농업뿐만 아니라 산업화도 시작되었소. 이제 우리는 더 이상 후진국이 아니오.”


서재필: “하지만 일본과 러시아의 눈길이 무섭습니다. 우리 조선을 지키기 위해서는 그들과의 외교를 더욱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김옥균 (단호하게): “맞소. 자주 독립을 지키기 위해 우리는 군사적, 외교적 균형을 유지해야 합니다. 서양 열강과 손을 잡아 일본과 러시아의 위협에 맞설 준비를 해야 합니다.”


제5장: 미래를 향해


1895년, 서울 근대화의 중심에서


박영효 (신문을 들고 와서): “김옥균, 서재필! 보시오, 미국과 영국이 우리 조선을 공식적으로 독립국으로 인정했다고 하오. 우리는 이제 완전히 자주 국가로 인정받은 것이오!”


김옥균 (기쁜 표정으로): “마침내 우리가 이뤘구려. 자주 독립과 개혁의 성과가 빛을 보게 되었소.”


서재필: “이제는 우리가 이 나라의 미래를 젊은 세대에게 넘겨주어야 할 때입니다. 그들이 우리의 개혁을 이어나가고 더 나은 조선을 만들어 나갈 것이오.”


김옥균 (고개를 끄덕이며): “맞소, 이제는 젊은이들이 조선을 이끌어야 할 때요. 우리가 뿌린 씨앗은 이들이 키워야 하오.”


에필로그: 새로운 아침


1910년, 미래를 향해


김옥균 (서울의 거리를 거닐며): “조선은 이제 자주 독립국으로서 강한 나라가 되었소. 개화의 바람이 불었던 그날 이후, 조선은 한순간도 멈추지 않고 달려왔소. 백성들은 교육받고, 산업은 성장했으며, 우리는 세계 속에서 당당한 나라로 자리 잡았소.”


서재필 (웃으며): “그래요, 김옥균. 우리는 조선을 바꿨고, 새로운 세대가 우리의 꿈을 이어받고 있습니다. 이제 조선은 더 밝은 미래를 향해 나아갈 것입니다.”


---------------------------------------------------------------------------------------------------------------------------'

이 글은 내가 쓴 것이 아니다. 요즘 인기가 폭발 중인 챗GPT 4o가 쓴 글이다. 내가 조건을 갑신정변이 성공했고, 조선이 성공적으로 개화했다는 가정하에서 챗GPT 4o에 대체 역사소설을 부탁했다. 글을 써보라고 명령을 내린 지 정확하게 59.23초 만에 이 내용이 나왔다. 나는 토씨 하나 고치지 않고 원문 그대로 옮겼다. 


처음 버전은 설명체라 대화체로 바꿔 달라고 부탁했다. 첫 번째 쓴 글도 1분 남짓 걸렸지만, 내용 전개는 완전히 달랐다. 똑같은 요구를 해도 인공지능은 그때마다 서로 다른 스토리를 들려준다. 그것도 명령을 내린 시간을 합해도 글을 완성하는데 길어야 1분이다. 조건을 세부적으로 정해 주고, 더 자주 내용 수정을 요구하면 챗GPT는 그 과정에서 스스로 진화한다고 한다. 더 자주 대화하고, 더 많은 세부 정보를 주면, 글의 내용이 월등히 좋아진다는 뜻이다. 


이 글을 읽는 사람의 느낌이 서로 다를 것이다. 가능하면 각자의 생각대로 읽는 것이 좋겠다. 그래서 챗GPT 4가 쓴 글을 토씨 하나 고치지 않고 그대로 옮겼다. 앞에 있는 표지는 챗GPT에 이 글과 어울리는 표지를 한 번 그려보라 했더니 보여준 결과물이다. 그것도 17초 만에 나온 작품이다. 계속 수정해서 그려보라 하면 나아질 것이다. 


우리는 이런 시대에 살고 있다. 챗GPT 다음 버전의 이보다 성능이 수십 배 더 우수하다 소문이 있다. 이것만 해도 정신을 못차릴 지경인데 이보다 더 똑똑해진다니? 할 말이 없어진다. 이것 말고도 클로드(Claude)라는 인공지능은 지적 문서를 기가 막히게 만들어 준다고 한다. 이게 다가 아니다. 구글의 Bard, Meta의 LLaMA 도 대화형 AI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다. 이들도 챗GPT 만큼 똑똑하다고 말한다. 


더 이상 보고서나 기획서 잘 쓰는 것이 능력이 아니다. 그건 이들에게 맡기면 우리보다 훨씬 더 잘할 것이다. 왜냐하면, 인간보다 더 많이 알고, 더 자료가 많고, 더 논리적이기 때문이다. 이제 우리는 어디로 가야 하나? 우리는 이들보다 더 높은 수준의 창의성과 비판적 사고를 길러야 할 것이다. 그것을 무기로 이들과 협력하며 함께 미래를 준비해야 하지 않을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