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강물 Nov 12. 2023

프롤로그- 창백한 빛

  비가 온 후에 날씨가 쌀쌀해졌다. 떨어진 낙엽은 사람들의 발걸음에 짓이겨져 인도에 들러붙었다. 바삭하던 가을이 지나간다. 며칠 전부터 온풍기를 틀었다. 따뜻하지만 건조한 바람이 서점에 가득 찼다. 콧속이 메말라 갑갑하고 눈꺼풀도 뻑뻑해진 느낌이다. 여러 번 눈을 깜박였다. 눈물이 날 것 같지만, 눈물은 나지 않을 것이다. 추우니 몸을 잔뜩 움츠렸다 피면서 이상하게 씩씩해진다.

  가을이 왔다 싶었는데, 겨울이 올 것 같다. 행복이 왔다 싶었는데, 슬픔이 오는 것처럼, 계절도 삶도 나를 기다려주지 않는다. 원하는 삶을 꽉 붙잡고 싶은 사람을 바보로 만든다. 아니, 아니지. 기다리는 건 없다. 기다림은 원래 있었지만 사라진 것이 다시 오기를 바라는 마음일 텐데, 내가 원하는 건 없었던 무엇이고 있었다고 착각한 무엇이다.

  그래서 글을 쓰는지도 모르겠다. 없는 것을 있게 만드는 힘은 내가 아는 것 중에서 글쓰기가 유일하다. 흘러가는 것을 단어와 문장으로 가두는 힘, 그 힘에 의지해 척박한 현실의 땅에서 그런대로 버티고 서 있다.  


  며칠 전에 핸드폰이 망가졌다. 꼭 자영업자라서 그런 건지는 모르겠지만, 전화를 할 수 없고 받을 수 없다는 건 상당한 공포였다. 새 핸드폰을 곧바로 샀는데 하루종일 만지작거린다. 핸드폰 구조와 형식은 그대로니 나를 기기에 맞추는 작업을 열심히 하는 것이다. 그 과정은 재미있다. 유튜브에는 어떻게 하면 그 과정을 잘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넘쳐난다.

  세상에 맙소사. 어떻게 이렇게 오랫동안 집중력을 잃지 않고 빠져있을 수 있지. 놀라고 감탄하고, 한편으로는 좌절한다.  

  핸드폰은 세상으로 향하는 창이라기보다 나를 가두는 문이다. 나보다 나를 더 잘 아는 알고리즘에, 입력된 자료를 토대로 원하는 출력을 유도하는 어떤 규칙에 사로잡혀 있다. 나는 그렇게 끝없이 유도당한다.

  기기가 무슨 잘못일까? 그런 생각이 들면서도, 모든 잘못을 나에게 돌리기에는 나는 나를 제어할 수 없고, 나를 밀어붙이는 힘은 나에게서 나온 것 같지 않다. 그러면 사회 탓? 아니면 핸드폰을 만든 사람들? 자본은 욕망을 먹고사는 제도이고 나도 그 제도 안에 살기에 벗어날 수 없다고 한탄만 하면 안 될 것 같다. 이런 생각을 하면서 저절로 뜬 핸드폰 케이스 광고 사이트를 클릭했다.

  젠장.

  너무 이쁜 딥그린 케이스를 발견했고, 비싸서 망설였고, 다른 것을 검색하기 시작했다. 아니다. 끝없이 서핑만 할 것 같아서 처음 발견한 케이스를 샀다. 다시 취소하고 저렴한 케이스를 샀다. 그러면서 나는 자본의 유혹으로부터 나를 지켰다고 허황된 용기를 얻는다. 저항이 아닌 투정으로 내 삶을 장식한다. 이럴 때면 나는 나를 참을 수 없고, 마치 강요된 권태 속에 갇히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삶은 구름처럼 흘러가고, 적응과 부적응 사이에서 나만의 것을 건져 올리려고 발버둥친다. 나는 이 단어를 좋아한다. '발버둥치다.' 기를 쓰고 뭔가로부터 벗어나려는 행동이지만, 마치 어렸을 때 밥 달라고 떼쓰는 장난꾸러기 같기도 하다. 두 팔과 두 다리를 하늘에 뻗고 뒤집힌 거북이처럼. 그렇게 똑같은 삶에서 똑같지 않으려고 발버둥친다. 그래서 우리는 똑같으면서 너무 다르다. 강요를 튕겨내는 힘의 차이가 분명히 존재한다.


  칠 년 정도 되었나? 그 시기동안 내 손 위에 가장 많이 올려졌던, 그리고 가장 많은 시간을 함께 보냈던 핸드폰이다. 부서진 핸드폰에 애착이 생길 만도 한데, 괴상하게 그렇지 않다. 분명 괴상한 일이다. 오히려 새 핸드폰에 대한 기대감과 얼른 새로운 기능을 만져보고 싶은 욕구만 더 커진다. 화면이 안 나올 때, 이 생각부터 들었다.

  드디어 바꿀 수 있구나!

  사용가치가 없어지자 애정도 함께 식어버렸다. 과거 핸드폰은, 아, 며칠이나 됐다고 벌써 과거라는 말을 붙이다니, 어느새 없는 존재가 되어 새 핸드폰이 생긴 이후로 한 번도 만지지 않았다. 오래 함께 한다고 무조건 애정이 생기는 건 아니다. 알고 있다. 그렇지만, 쉽게 버릴 수도 없다. 나는 고장 난 핸드폰을 서랍 속에 오래 보관할 것이다. 내 서랍 속에는 부서진, 그리고 새 폰으로 교체하면서 쓰지 않게 된 폰들의 무덤이 있다.  

 

  이불을 둘러쓰고 따뜻한 옥수수수염차를 홀짝였다. 창문을 열었다.

  이제 정말 겨울이네.

  열린 창문에 대고 말했다. 매년 똑같은 계절의 반복 같지만, 매일매일 날씨가 다르고, 항상 예측하지만 맞을 때도 있고 틀릴 때도 있다. 맞춘 것보다 틀란 것에 더 의미를 부여한다. 맞춘 것은 예상을 잘했다기보다 예상할 수 있을 정도로 변화가 없이 고정되었다는 뜻이다. 예측이 발달할수록 내 생활패턴과 내 정체성까지 포함되고, 인간은 밭 한가운데 꽂아진 허수아비가 된다. 예측 가능한 고정된 인간으로.

  벗어나자, 이런 외침도 예측의 영역에 속한 지 오래되었다.

  다시 똑같은 반복에 도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측과 불확실성 사이에서 나만의 삶을 이룩한다. 우리는 똑같으면서 너무 다르다. 그래서 사랑할 수 있고, 그래서 고독을 발명했고, 그래서 절망 속에서 순도 높은 희망을 발견한다. 며칠 전에 뉴스에서 본 타인의 죽음 소식에 나도 모르게 눈물을 쏟은 것처럼.  갑자기 쏟아진 눈물에 나도 놀랐고, 아마도 알고리즘도 놀랐을 것이다.

  

  하늘이 우중충하고 창백하다. 나는 겨울이 되면 깊은 잠에 빠지는 곰처럼 알 수 없는 창백함에 푹 빠진다. 그렇다고 축 져지지는 않는다. 오히려 제법 날카롭게 변한다. 논리적으로 변한다는 뜻이 아니라, 나를 예리한 감각으로 관찰하고,  내 안으로 더 응축해 깊게 빠지는 시기다.

  창백한 빛은 지성이 아니다. 뭐라고 불러야 할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눈송이 같은 깃털을 품고 있는 창백한 빛은 내가 나를 보는 시선이다. 매몰차고 날카로우면서 푸근한.  매년, 나는 이 시기를 거치면서 일 년 동안의 시간을 뒤돌아본다. 조정한다. 아니, 붙어있는 뭔가를 털어낸다. 싹둑 잘라내기도 한다. 떨어진 것들에 대한 애증으로 다시 가져다 붙이기도 한다. 내 몸 어딘가에도 잘려나간 것들의 무덤이 있다. 그 서랍은 제법 튼튼하고 슬픔에도 뒤틀리지 않는다. 일 년에 한 번 열었다가 닫는다.

  붙였다 떨어졌다, 그리고 다시 붙이는 과정에서 새로운 의미가 발생한다고 나는 믿는다. 그 의미가 특별하지 않더라고, 새롭지 않더라도, 연결을 만들어내고, 그 연결은 내 안에 들어온 나와 타인과의 혼탁한 절망과 욕망, 그리고 희망을 정리하는 힘이 있다. 그 관계의 힘으로 다시 일 년을 산다. 창백함에 빠지는 일은 건강한 고독을 씹는 느낌이다.

  일하러 가야지, 중얼거리며 몸을 일으켰다.

  열린 창문으로 차갑고 날카로운 바람이 불어온다. 닭살이 살짝 돋는다. 으스스, 이렇게 맑게 잠에서 깬 건 오랜만이다. 창백한 빛이 내 몸에 가득 찬다.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