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KAY Oct 19. 2020

추상화 시작하기

해석도 어렵지만 시작도 어렵다는 추상화. 그림을 그저 취미로 즐기는 비전문가들이 한 번쯤 궁금해하면서도 언젠가는 시도해보고 싶은 장르다. 보통은 인물, 풍경, 정물 등을 그리곤 하는데, 사진을 똑같이 보고 그리거나 미리 포토샵으로 목표한 이미지를 만들어 출력한 후 대조해가며 그린다. 갑자기 흰 캔버스 하나 세워두고 "마음이 움직이는 대로 그려보세요"라고 한다면 그림을 배운 지 1년이 됐든 3년이 됐든 주저하기 마련이다. 


그 어려운 시작을-맛보기에 불과하지만-했던 곳이 캐나다이다. '단풍국'이란 애칭에 맞게 노랗고 빨간 낙엽이 떨어지던 어느 해 가을, 퀘벡을 여행하던 중이었다. 프랑스에서 온 이민자가 많은 곳이라 그런지 예술가들이 많았고 그림을 그리는 데일리 클래스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어 한 번 참여하게 됐다. 때마침 클래스의 주제는 추상화였다. 


클래스를 연 화가 A는 영어가 서툰 프랑스계 이민자였다. 그리고 추상화를 배우겠다고 찾아간 사람은 퀘벡을 여행 중이던 독일 사람과 나, 단 둘 뿐이었다. 각자의 모국어가 다르고, 그렇다고 영어가 모두 능숙한 것도 아니어서 처음엔 서먹한 면도 있었지만 이내 편안함을 찾아갔다. 예술 세계에서 언어는 장애가 되지 않는다고 했던가...



추상화에도 계획이 필요하다는 걸 이때 처음 알았다. 


A는 참가자들의 국적을 미리 확인하고는 구글 번역기를 돌린 듯한 질문지 하나를 만들어 각자에게 나누어 주었다. 그리고는 작업실 내부를 구경할 시간을 준 뒤 책상 주변에 쌓여있던 잡지들을 보면서 따뜻한 차 한잔을 마실 것을 권하였다. 잔잔한 음악이 흐르는 공간에서 아늑한 조명 아래 앉아 웰컴 티 한 잔을 들이키니 마음이 한결 차분해지는 걸 느꼈다.


이어 머릿속에 떠오르는 단어들을 질문지에 자유롭게 적어보라고 하였다. 나는 '평화', '자연', '둥근' 등의 단어들을 적었고 레드, 골드, 블루 등 마음에 드는 색상을 떠올렸다. 동그라미와 물결 문양도 그려 넣었다. A가 말했다. "계획이 다 세워졌네요. 이제 작업을 시작해보세요." 


스케치 한 번 없이 단번에 그림이 완성됐다. 



꿈보다 해몽이라고 하던가. 나는 이 조그만 작품에 이렇게 제목을 붙이고자 한다. '남과 북'


퀘벡으로 가기 전에도 그러했고, 다녀온 후에도 지금까지 내가 주로 다루는 글의 주제는 북한, 그리고 통일 이슈다. 개인적인 글의 취향은 여행과 일상이지만, 꼬박꼬박 월급을 받아가며 써내는 글은 무겁고 치열하다. 


어쩌면 내면의 심리상태도 그림에 반영됐을까. 같은 듯 다르고, 이어질 듯 끊어져 있다. 조화를 이루며 합쳐지는 것 같다가도 한 순간 물거품 되어 사라지기도 한다. 자연스럽고 평화로워 보이지만 사실은 애잔하고 먹먹하다. 


그러고 보니, 

우리(남과 북)의 미래가 한 점의 추상화와 같다.


또 그러고 보니, 

나의 가볍고 즐거웠던 추억 하나가 무거운 현실로 귀결돼 버렸다. 





  

 

이전 02화 퇴근 후 화실로 가는 이유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