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시간의 기록 Oct 25. 2024

따로 또 함께

긴 휴식기를 갖고 다시 pt를 받기 시작했다. 힙 운동을 했다. 무릎선이 발끝을 나가지 않도록 무릎과 발바닥을 수직으로 만든다. 발바닥을 바닥에 충분히 누르면서 몸을 수직으로 움직인다. 이때 허리선은 비스듬하게 만든다. 허벅지와 평행에 가까울 만큼 비스듬히 숙여도 좋다. 엉덩이는 뒤로 힘껏 빼야 한다. 이렇게 동작을 반복하면 엉덩이 부분이 뻐근해지면서 힘이 들어간다. 단순한 힙 운동이라서 계단 오를 때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엉덩이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나요?      


엉덩이와 허벅지 사이 구분이 선명해진다. 어디서부터 엉덩이가 시작되는지 경계가 희미한 그 선이 선명해진다는 것. 와. 열심히 해야겠네. 허벅지와 엉덩이 경계를 확실히 하여 엉덩이가 당당히 본연의 모습을 찾을 수 있도록. 선생님은 시범을 보여주시며 단순한 동작도 제대로만 한다면 얼마나 큰 운동이 될 수 있는지 알려주셨다.     


단순한 동작도 제대로 하려면 얼마나 정신집중을 해야 하는지, 느슨했던 정신 줄을 꽉 조이는 느낌이었다. 내가 편한 대로 아무렇게나 했던 동작을 교정받느라 더디게 진행되지만, 이렇게 해야 정확한 운동이 된다는 걸 알아간다. 힘이 엉뚱한데 쏠리지는 않은지, 목표가 되는 알맞은 곳에 힘이 들어가고 있는지 점검하면서. pt 선생님은 여기서 멈추지 않는다.      


‘한계를 늘리셔야 해요.’      


한계를 늘리려면 우선 한계가 어디인지 알아야 하지 않을까? 혼자서는 나의 한계를 시험하지 않기에 내가 어디까지 할 수 있는지 알지 못했다. 처음으로 캐틀벨을 들고 런지를 했다. 쇠공에 손잡이가 달린 캐틀벨은 케틀(주전자)과 덤벨(아령)을 합친 말이라고 하는데 4kg 부터 시작하여 무게를 늘렸다. 8kg, 12kg, 16kg... 까지 (겨우) 들고 런지가 가능하다는걸 알게 되었다. 나의 한계가 어디인지 알려면 일단 해 봐야 안다. 운동에서 나의 한계를 알아보는 건 다른 것에 비해 얼마나 간단한가. 들어봤다가 아니다 싶으면 그저 내려놓기만 하면 되는데.     


나는 혼자가 아니라 누군가와 함께 할 때 힘을 받는 사람이었다. 그 힘은 내가 그어놓은 선을 넘어가게 한다. 혼자서 하기 힘든 무엇을 해보려 혼자를 벗어난다. 달리 말하면 나의 한계를 넘어가는 건 나에게서 오는 것이 아니라 함께 할 때 온다. 자발적으로 비용과 시간을 들여 나를 좀더 긴장감있게 운동할 수 있는 환경으로 데려다 놓는다. 내가 얼마나 다른 사람의 시선을 의식하는지!      


혼자서는 결코 손이 가지 않는 책들이 있다. 마음은 언제나 그 언저리를 맴돌지만 좀처럼 손이 닿지 않는다. 언제나 그 자리에 있던 캐틀벨에 손이 닿지 않았던 것 처럼.     


손을 뻗는 심정으로 함께 읽는다. 나를 자극에 노출시키고 그러한 자극에 반응하면서 나만의 테두리에서 벗어난다. 익숙한 방식과 나만의 속도로 읽는 혼자 읽기도 좋지만, 편하기만한 운동에서 벗어날 때 희미하고도 흐릿하게 근육선이 생기듯이(근육이 아니라 근육선) 혼자 읽기에서 얻지 못 했을 무언가를 함께 읽으며 얻는다.      

혼자라면 찾아보지 않았을 책들을 찾아보고, 시도하지 않았을 책을 함께 읽으면서 범위를 조금씩 넓혀간다. 책벗의 읽기가 거울처럼 나의 읽기를 비춘다. 책을 읽고 난 감상을 나누는 즐거움, 내가 지나친 부분을 다시 보는 발견의 기쁨, 모두 함께 읽을 때 가능하다. 함께 한 공동의 기억과 느낌이 형성된다.      


아무리 함께 하여도 혼자 가꾸는 시간이 없으면 발전이 없다. 배우고 나서 혼자 동작을 익혀보며 그 느낌을 찾아가는 시간을 갖는다. 함께하기와 혼자 사이를 부지런히 오갈 때 내가 자라고 나의 자람을 보아주는 사람들이 있어 보람은 더 커지는 게 아닐까. 그렇게 따로 또 함께 한다. 




이전 08화 감정근육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