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시드니 Feb 05. 2024

[팀장] 너, 뭐, 돼?

태도가 무너진 사람들에게


태도가 무너진 사람들에게는

거울치료가 최선이다.





팀장이 되면서 요구되는 역할이 많다. 비전, 사업목표 설정, 목표관리, 목표달성을 위한 KPI설정, KPI를 달성하기 위한 세부계획과 그에 수반되는 리스크, 인사 조직관리까지. 언급한 것들을 잘한다고 해서 칭찬을 받거나 포상을 받는 것도 아니다. 다만 못하면 욕을 먹는다.    

  

앞선 화에서 납득하기 어려운 Top down 업무진행으로 인해 사기가 떨어졌다고 했었다. 여전히 권한은 주지 않고 책임만 묻는 직장생활은 답답하다. 그럼에도 인정해야한다. 이곳은 많은 사람들이 오밀조밀 모여있는 조직이고, 혼자 나선다고 해서 해결될 일이 하나도 없다.     


이런 상황에서는 무던해지는 게 필요한 것 같다. 모든 분야에 관여도를 높여서 결론을 내리려고 하기 보다는, 어떤 부분은 무던하게 흘러가길 기다려야 한다. 신수정 KT 부사장의 <일의격>에 이런 구절이 나온다.    

 


“한 책에서 전략적 무능 이라는 표현을 읽었다. 이 말은 우리가 모든 것에 유능하려고 애쓸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모든 것을 제대로 하고, 모든 것을 잘 하려고 하면 바쁘고 에너지가 한없이 든다. 그러므로 때로 어떤 것들에는 ’무능‘해질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가장 가치 있고 중요한 일에 초점을 맞추고 나머지는 전략적으로 대충해도 된다.” 신수정 <일의격>     


사실 나도 욕심이 많은 사람이다. 마케팅,영업,브랜드,생산,전략 등 모든 분야를 챙기고 그 와중에 모든 사람과 관계가 좋으려고 한다. 의견이 다를 때는 갈등보다는 대화로 풀어갈려는 성향이다보니 막무가내 스타일을 만나면 좌절에 빠진다. 그 상황이 좌절스럽다기보다는 그 사람을 품지 못한 나에 대한 좌절이라고 할까? 모두에게 인성좋고 유능한 사람으로 기억되고 싶어하는 욕심이 있다.     



하지만 인정해야한다. 나는 인성좋고 유능한 사람이 아니다. 논리적이지 않을 때는 매섭게 근거를 캐묻고, 대화가 안되는 상대에게는 때때로 내 말을 들을 수 있도록 전기충격을 준다. 듣지 않고 근거없이 찍어 내리려는 경우에는 언성을 높이기도 한다. 그럴 때 내 태도가 조금 어그러진다고 해도 죄책감을 느끼지 않으려고 한다. 기분이 태도가 되는 사람들, 자신의 무지를 분노로 푸는 사람에게 나조차 태도를 선하게 유지할 필요는 없다. 아닌 건 아니라고 단호하게 말해야 좋은 세상이 오고, 어린 후배들이 보고 배운다.  

    

참고로 경험상, 태도가 망가진 사람들에게는 거울치료가 최고다. 선을 넘지 않는 범위에서 내가 가만히 있는 가마니가 아니라는 걸 보여줄 필요가 있다. 기억할 점은 Debating을 한 후에는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 행동해야 한다. 서로 악의가 있는 건 아니니까, 서로 잘해보자고 그러는 거니까. 해맑게 대가리 꽃밭처럼 보이는 것도 필요하다. '전략적 무능'은 태도가 형성되지 않은 사람들 앞에서는 언제나 유효하다.

       



ps. <면접관 일기> 원고작업으로 3월까지 <막내팀장 일기>연재를 멈추겠습니다. 다시 새로운 책으로 돌아올게요!

이전 11화 [팀장] 저는 방법을 말하는데, 왜 비전을 물어보세요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