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에 이어 어린 시절 나를 소환한 피아노
나는 7살 때부터 초등학교 6학년까지 피아노를 쳤다. 피아노는 내 세계의 중심이었고, 내 외로움을 달래주는 친구이기도 했다. 뭔가 남부끄럽지 않게 ‘잘한다’고 말할 수 있는 하나였기에, 어린 시절의 나는 자연스럽게 피아니스트를 꿈꿨다. 사실 그 꿈이 아주 구체적인 것은 아니었지만 피아노를 치다 보니 그렇게 생각했던 것 같다.
그래서 콩쿠르도 나가봤다. 하지만 결과는 늘 장려상 정도였다. 나는 일등이 아니었고, 그게 그 당시에는 힘들었던 것 같다. 점점 피아노가 실패의 집약체처럼 느껴지기 시작했다. 실력이 부끄러웠고, 재능이 부족한 나 자신이 참담하기도 했다. 좌절감, 압박감, 불안함, 스트레스… 하지만 그때의 나는 그 감정들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했다. 그저 속상해서 눈물이 나올 것 같은데, 자존심 때문에 울 수 없는 그런 마음이었다.
그럼에도 피아노를 포기한다는 건 내 7년을 부정하는 것 같아서 쉽게 놓을 수 없었다. 하지만 결국, 초등학교를 졸업하면서 피아노도 마무리했다. 누군가의 강요나 압박 없이, 나 스스로 고민하고 결정한 선택이었다. 그때의 시원섭섭함은 참 쓰라리면서도 좋았던, 복잡한 감정이었다.
그 시절의 나를 돌아보면, 엄마 아빠가 그저 묵묵히 바라봐 주셨다는 게 새삼 떠오른다. 그때는 따뜻한 위로나 격려를 받지 못해 서운한 마음도 들었지만, 지금은 그저 지켜봐 주셨던 것이 얼마나 큰 지지였는지 알 것 같다. 나에게 선택할 시간을 주셨고, 내 감정을 방해하지 않으셨다. 덕분에 나는 피아노를 놓는 과정까지도 온전히 내 감정대로 받아들일 수 있었다.
어쨌든 이런 이유로 피아노를 초등학교 이후로는 사실 쳐다도 보기 싫었다.
그래서 대학을 졸업하고 결혼을 할 때까지 단 한 번도 피아노를 치지 않았다.
나의 가슴 쓰라린 실패를 마주하는 것 같았기 때문이다.
그렇게 잊고 있던 피아노를 다시 치게 된 계기는 글쓰기를 다시 시작한 계기와 좀 비슷하다.
(누군가 자꾸 어릴 적 나를 소환..)
몇 년 전 내 동생이 갑자기 가족 단톡방에 영상을 하나 올리며
"누나, 어릴 때 피아노 잘 쳤었네~" 하고 말하는 게 아닌가.
영상을 열어 보니 아빠가 캠코더로 찍어준 내 콩쿠르 영상이었다.
내가 초등학교 6학년(13살) 때 전도 콩쿠르 대회에 나가 피아노를 치는 영상이었는데 내가 봐도 헉! 하고 잘 치는 게 아닌가 그리고 마지막에는 장려상에 내 이름이 있었는데 등수로 따지면 10등 정도였다.
또다시 머리에서 종이 울렸다.
'내가 이렇게 피아노를 잘 쳤다고?'
'장려상이지만 등수로 따지면 제주도 전체에서 10등 정도잖아? 생각보다 잘했는데?'
그에 이어
'이렇게 잘했는데 피아노 다시 한번 쳐볼까?'
그렇게 나는 어린 나를 보며 다시 피아노 앞에 앉게 되었다.
이제는 그 시절을 추억하며 편한 마음으로 피아노를 취미로 치고 있다. 어릴 적 치던 피아노가 부담이 아닌 멋진 취미가 된 것이다.
예전처럼 치열하게 연습하지 않아도, 실수를 해도, 그저 즐길 수 있다는 것이 참 좋다.
이제 와 돌이켜보면, 그 시간이 나를 많이 성장하게 해 주었다. 내 감정을 좀 더 세심하게 들여다볼 줄 알게 되었고, 그것이 나를 깊이 있는 사람으로 만들어 준 것 같다.
지금은 그 모든 경험이 감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