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듀공공 May 14. 2024

간장포케

비빔국수, 비빔밥, 샐러드를 아우르는 휘뚜루마뚜루 레시피

반팔을 입고, 살랑살랑 부는 바람을 맨발로 느끼는 것이 좋아지는 늦봄 혹은 초여름. 이 시즌이 되면 뜨겁지 않은 음식이 생각나곤 한다. 나는 워낙 국수를 좋아해서 비빔국수류를 많이 먹고는 했었다. 그러나 흰 밀가루로 만든 국수를 먹고 싶지 않은 요즘에는 비빔국수를 쉽게 먹을 수가 없어 슬프다.

흰 소면으로 만든 국수를 온전히 대신할 수는 없지만, 또 다른 매력의 맛으로 그 허전함을 채워주는 레시피가 있어 기록한다.




간장포케

*재료: 파스타면 1인분, 닭안심(원하는 육류 가능. 없어도 괜찮음), 샐러드 채소, 다진 마늘 1T, 간장 2T, 알룰로스 1T, 참기름 1T, 깨(갈아도 좋음), 김가루


- 파스타면은 삶아서 한 김 식혀둔다

- 면 삶을 동안 채소류를 준비한다. 한입에 먹기 좋은 크기로 준비하면 좋다

- 다진 마늘 1T, 간장 2T, 알룰로스 1T, 참기름 1T를 섞어둔다

- 육류를 넣고 싶으면 준비한다. 닭안심은 올리브오일, 소금, 후추를 뿌려 오븐에 200도 10분 구웠다. 참치를 넣는 경우 기름 빼고 반 캔 정도 넣었다

- 면과 채소, 육류를 그릇에 담고 준비한 소스를 뿌린다

- 깨와 김가루도 취향껏 올리고 잘 섞는다




닭안심을 넣은 간장포케에 시원한 매실에이드. 후식은 톡톡 터지는 생블루베리


대단할 것도 복잡할 것도 없는 레시피인데, 희한하게 참 맛있다.

처음 만들 때는 참치, 로메인, 깻잎을 넣어 만들었다. 그 후에 닭안심, 로메인, 깻잎, 셀러리, 양배추를 넣어 만들어 보기도 했다. 웬만하면 다 잘 어울리니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가지고 있는 재료들을 활용하면 되겠다.

개인적인 취향으로 육류는 옵션이고, 채소류 중에서 깻잎은 필수이다. 김가루도 있으면 좋고 없어도 나쁘지 않은 정도. 육류는 돼지고기나 소고기를 넣어도 괜찮을 듯하다.

파스타면 대신 귀리+퀴노아+병아리콩 등을 넣어서도 만들어보았는데, 확실히 면류가 들어가는 것이 훨씬 맛있긴 하다. 두부면도 완전 추천!

깨는 반쯤 갈아서 넣어주었다. 소스 만들 때 깨를 넣으면 손실되는 경우가 많아서 소스 뿌린 후 따로 넣는 편이다. 고소한 깨는 소중하니까 :)


시원한 보리차를 곁들인 간장포케 feat 참치. 후식은 이 계절에만 맛볼 수 있는 산딸기



그리고 파스타 면을 편하게 익히고자 구매한 전자레인지용 파스타쿠커를 아주 요긴하게 사용 중이다. 평소에 나물 데칠 때나 브로콜리 등을 살짝 삶을 때도 잘 사용하고 있다. 전자레인지 사용에 거부감이 없다면 추천.






이전 06화 두부아몬드케이크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