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일기획 글로벌 AE 김현문, 안소현
김원세: 현문 님, 소현 님 안녕하세요. 광고 배우는 대학생 김원세입니다. 이렇게 만나 뵐 수 있어서 영광입니다. 현문 님과 소현 님이랑 가볍게 수다 떨고 싶어서 찾아왔어요. 사실 이 인터뷰로 책을 내겠다는 건 부차적인 목표고, 여기서 즐겁고 유익하게 수다 떠는 게 중요한 것 같습니다. 업계에 계신 선배님들 만나서 이렇게 이야기 나누고 가는 게 저한테 되게 많은 도움이 되더라고요.
김현문: 좋은 것 같아요. 저도 학교 선배들 많이 찾아다녔어요. 저희 학과는 취업한 선배들한테 밥 얻어먹으러 가는 문화가 있었어요. 다양한 분야의 선배들 이야기를 들었고, 그게 제가 회사에 지원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됐죠. 이야기를 들어보고 나랑 안 맞을 것 같으면 거를 수도 있고요.
김원세: 인터뷰라는 명분이 만남을 추진하기 좋은 것 같아요.
안소현: 확실히 그냥 만날 때는 얘기가 삼천포로 빠질 수 있죠. 나는 이런 얘기가 듣고 싶어서 왔는데, 선배는 자꾸 다른 얘기를 하실 수도 있잖아요.
김원세: 후배들이 자주 연락 오나요?
김현문: (웃음) 입사 지원 철 되면 연락 와요. 자기소개서나 포트폴리오 때문에.
김원세: 두 분 다 연세대를 졸업하셨잖아요? 괜스레 작아지는 기분이네요.
김현문: 그런데 막상 저희 동기들을 보면 학교가 다양해요.
안소현: 맞아요. 학교는 그렇게 중요하지 않은 것 같아요. 뿐만 아니라 광고회사에 대한 선입견도 있잖아요? 광고회사 다닌다고 하면 응당 창의력 대장이겠거니 보는 거죠. 그런데 AE의 역할은 캠페인을 기획하고 운영하면서, 다른 분들이 크리에이티브를 잘 낼 수 있게끔 도와드리는 것이에요.
김현문: 그리고 AE의 역할은 회사마다 다르고 부서마다도 달라요. 홈페이지 관리하는 AE도 있고, 카피 쓰는 AE도 있고, 전략 컨설팅을 해주는 AE도 있어요. 되게 다양해서 저희가 하는 이야기는 한 회사의, 한 부서의 이야기로만 참고하는 게 좋을 것 같아요.
김원세: 두 분은 근무하신 지 얼마나 되셨나요?
김현문: 이제 3년 차예요. 19년 7월에 입사했어요.
안소현: 저는 1년 차예요. 20년 7월에 입사했어요. 그리고 입사하고 나서 총 교육 기간을 제외하면 현업에 투입된 건 9월쯤이었어요.
김원세: 왜 제일기획에 지원하셨나요?
김현문: 다른 회사도 물론 다 좋지만, 솔직히 글로벌한 일을 하고 싶은 마음이 있었어요. 제일기획은 국내 광고회사 중에서 제일 글로벌하니까요. 또 45개국에 회사를 두고 있으니까 해외로 나갈 기회도 있고요. 저희 본부장님은 이탈리아에 있으세요. 저랑 같이 일하던 분은 사우디에 계시고, 전 전 팀장님은 체코에 계세요. 45개국이라 지도 아무 데나 찍으면 웬만하면 다 있어요. 다들 한 번쯤은 해외에서 광고를 해보고 싶다는 생각으로 제일기획에 오는 것도 있겠죠?
김원세: 그러면 다들 외국어를 잘하시겠어요.
김현문: (옆을 보며) 에이.
안소현: 저는 해외에서 초중고를 다니다가 온 케이스예요. 오히려 계속 외국에서 자라왔다 보니, 한국으로 대학 온 이후로는 외국에 나가고 싶다는 생각이 크게 들지는 않더라고요.
김현문: 소현 프로는 엄청난 인재예요.
안소현: 하하 아니에요. 저는 국내 기업에서 일하는 게 언어적 이점이 있을 것 같더라고요. 외국에 나가서 일하면 영어를 잘하는 게 엄청난 플러스는 아니잖아요? 디폴트로 볼 수 있는데, 국내 기업에서 영어를 잘하는 건 도움이 되죠.
김현문: 영어를 잘하면 확실히 이점이 있긴 해요. 실제로 저희 팀은 해외랑 연락할 일이 너무 많아요. 영어로 민감한 사안을 다루기도 하고요. 저도 사실은 국내파라 영어를 못했는데, 하다 보니까 되더라고요. 전화 받아도 못 알아듣고 그랬었는데 결국엔 업무 영어라서 듣다 보니까 들려요. 그래도 준비를 하고 오는 게 좋죠. 영어를 많이 보긴 해야 하거든요. 회사에서도 영어 잘하는 걸 좋아해요.
안소현: 잘하면 손해될 게 없죠.
김현문: 국내 브랜드랑 일하면 영어 쓸 일이 없긴 한데, 회사 입장에서는 어디에 갖다 놔도 잘하는 사람을 뽑고 싶으니까 영어는 필요한 것 같아요. 그래서 독자분들이 학생이라면 영어는 해 놓으면 좋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어요.
안소현: 영어는 준비해 놓으면 갈 수 있는 길이 조금 더 넓어져요. 일도 글로벌 부서다 보니까 정말 많은 부분을 영어로 진행하고요.
김현문: (웃으며) 물론 인사팀의 의견은 아닙니다만.
안소현: 그런데 저는 제 자소서에서 ‘글로벌’ 키워드를 뺐어요.
김현문: 보기만 해도 글로벌이라서?
안소현: “영어 말고 네가 할 수 있는 게 뭔데.” 같은 챌린지가 들어올까 봐 좀 덜어냈어요.
김현문: 저도 영어를 강조하진 않았어요. 그런데 면접 질문이 그거였어요. “영어는 잘해요?” 그럼 “못하진 않습니다. 의사소통은 잘 됩니다.” (웃음)
안소현: 맞아요. 애티튜드가 중요하죠.
김현문: 저도 처음에는 당황했던 게, 국내로 갈 줄 알았거든요. 내가 맡은 광고가 우리 집 TV를 틀면 나와야 하는데, 글로벌 광고는 우리가 타깃이 아니니 아쉬운 부분이 있었어요.
안소현: (웃으며) 우리가 만든 광고를 우리가 못 봐요.
김현문: 국내를 한번 해보고 글로벌로 가고 싶었는데 그게 좀 아쉽네요.
김원세: 그렇다면 두 분은 제일기획에 입사하기 위해서 어떤 노력을 하셨어요? 취업을 하는 데 도움이 됐던 활동들을 들어보고 싶어요.
김현문: 저는 아까도 말씀드렸듯이 선배들을 쫓아다녔어요. 회사 관련해서 막 물어보고, 또 제가 했던 것들을 엑셀에 정리했어요. 그래야 내가 했던 활동이 한 눈에 보이면서 쓰임새가 파악되고, 그 안에서 우선순위도 나뉘더라고요. 그중에서 마케팅 학회 했던 건 기억에 남아요. 매주 다른 주제, 다양한 산업군으로 PT를 했는데, 실제로 선 제안으로 이어지기도 하고요. 그렇게 되면 광고회사에서 하는 일이랑 똑같거든요.
안소현: 저는 여러 가지를 했어요. 대학교 영상 크루에 있었는데 거기서 만든 콘텐츠가 진로를 결정하는 데 큰 도움이 됐죠. 음악 콘텐츠였는데, 대학생 때 제가 타깃 층을 파악해서 기획해봤어요. 그리고 영상 콘텐츠를 좋아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뮤지션들을 데리고 와서 오프라인 공연까지 연계시켰고요. 그렇게 콘텐츠를 주도해서 만들었던 경험이 있어요.
김현문: 취업은 결국 자기 자신을 셀링하는 거니까 ‘날 어떻게 브랜딩 할 거냐.’가 핵심이잖아요? 제 자소서를 보면 ‘내가 어떤 사람으로 보여야지.’가 있어요. 예를 들면 제 포지셔닝은 ‘웬만한 트렌드는 다 꿰고 있는데, 나 공부도 꽤 한다?’ 이거였어요.
안소현: 맞아요. 저는 제가 대학생 때 했던 콘텐츠의 형태가 기사, 영상, 강연 등 다양하거든요. 그래서 ‘이만큼 콘텐츠에 진심인 애가 없을걸? 근데 나 영어도 좀 한다?’였어요. 그런데 많이들 강조할 수 있는 ‘나 영어 잘해.’를 조금 꼬아서 ‘나 이런저런 문화권에 살아봐서 웬만한 소비자는 다 알아. 남들은 공부해야 하는 문화권인데, 나는 저 사람들이 무슨 생각하는지도 다 알아.’ 그런 식으로 저를 파는 거죠.
김원세: 사고 싶네요...
안소현: 개인적으로 좋은 것과 남들에게 팔릴 만한 건 구분해야 하는 것 같아요.
김현문: 자소서를 보면서 계속 객관화를 해야 해요.
안소현: 맞아요. 그래서 저는 자소서를 친구들이 아니라 부모님께 보여드렸어요. 친구들은 제 또래잖아요? 면접에 들어오는 분들은 부모님 나이대고요. 그래서 “이런 애가 면접에 들어오면 뭘 물을 것 같아?”라며 부모님께 보여주는 거죠.
김원세: 그렇게 입사하게 된 제일기획에서 어떤 일을 하실지 궁금해요. 오늘은 출근해서 어떤 일을 하셨나요?
안소현: 일단 커피 한잔 마시고...
김현문: (웃음) 커피 한잔 마시고, 저는 브랜드 소재 관리를 하고 있어요. 소셜 미디어에 올라오는 소재들을 참고하고, 다른 캠페인 영상 수정 관련해서 제작팀이랑 얘기했어요.
안소현: 저는 기존에 진행하던 업무 진행하고, 만약 업무가 조금 느슨한 시간이 있으면 트렌드 뉴스레터 보는 걸 좋아해요. 트렌드 칼럼 같은 거 보고, 유튜브 핫 콘텐츠 찾아보고요. 사실 그게 저희 일이기도 해요. 그래서 아무도 뭐라고 하지 않죠.
김현문: 다들 보니까요. 그리고 봐야 말이 통해요. 오늘만 해도 저희 셀장님께서 자녀도 둘이시고 저랑 열 살 넘게 나이 차이가 나는데, “문명특급에 나온 윤여정 봤냐?”라고 얘기하시고요. 사실 그런 얘기를 같이 나눌 수 있는 게 신기하죠.
안소현: 맞아요. 저도 열 살 넘게 차이 나는 옆 부서 프로님이 “에스파 무대 봤냐?”라고 하시고, 밈(Meme) 같은 것도 되게 잘 아셔서 제가 모르면 장난치시고요. 업의 성격이 그런 것 같아요. 예민하고, 변화가 있으면 빠르게 알아가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모이게 돼요.
김원세: 전 그렇지 않은데 큰일이네요.
안소현: 괜찮아요. 회사에도 다양한 사람들이 있어요.
김현문: 그래도 그런 걸 신입에게 기대하는 부분은 있죠.
안소현: 실제로 저희가 제일 맞닿아 있기도 하고요. 젊은 인사이트를 기대하시고, 그런 면을 좋아해 주시죠.
김현문: 그래서 조금이라도 어릴 때 이 업계에 오는 게 나한테 메리트가 있겠다 싶더라고요. 더 말랑말랑하고 매사에 관심이 많을 때 이게 업에도 도움이 되니까 얼마나 좋아요.
김원세: 두 분 다 AE이신데, 평소에 직무 습관이 묻어 나올 때가 있으세요?
김현문: 눈치를 많이 보게 되죠.
안소현: (웃음) 들숨에 “감사합니다.” 날숨에 “확인해보겠습니다.”
김현문: 사실 되게 많아요. 제가 만약 옥외 캠페인을 하고 있으면 길을 걷다가도 옥외 매체를 보게 되고요. 주말에는 더 현대를 갔는데 ‘여기는 안에 매체가 없네.’ 이런 생각을 하게 돼요. 지금은 제가 의류 브랜드를 하거든요? 그럼 이 브랜드를 착용한 사람들의 데모그래픽을 파악하게 돼요. ‘이걸 저 연령대가 입네?’ 이렇게 제가 맡은 브랜드나 매체를 일상에서 유심히 보게 되는 것 같아요.
안소현: 눈에 걸리는 거죠. 개별 광고를 소재라고 부르거든요. 소재 같은 걸 보면 ‘저건 타깃층이 뭘까? 기획안이 뭘까?’를 생각해보게 돼요. ‘저건 구매자층은 이쪽인데, 광고 타깃층은 저쪽이구나. 구매와 타깃층을 나눴구나. 이래서 모델은 이 사람을 썼구나. 그래서 옥외를 여기에 걸었네.’ 다양한 요소가 어쩔 수 없이 눈에 걸리는 게 있어요.
김현문: 우리는 AE라서 모든 걸 다 봐야 하잖아요? 카피나 매체가 따로 있어도 AE가 광고주 니즈에 맞춰 다듬어서 가져가야 해요. 모든 영역을 잘 보기 위해서 넓은 시야와 다양한 관심이 필요하죠. 그러니 AE의 약자가 “아(A), 이(E)것도 제가요?”라는 말도 있어요.
안소현: 광고주랑 직접 커뮤니케이션을 해야 하니까 다 알아야죠.
김원세: 그렇군요. 이번엔 서울살이에 대해서 여쭤보고 싶어요.
김현문: 저는 대학교에 들어가면서부터 자취를 했어요. 확실히 서울이 기회가 많고, 문화적으로 제일 앞서 있어요. 새로운 전시가 열리거나 새로운 공간이 생기면 그때그때 바로 가볼 수 있죠.
김원세: 자취 유지비는 어떠신가요?
김현문: 많이 들죠. 그런데 제가 20살 때부터 써 와서 그런지 익숙해졌어요. 한번은 친구가 샤넬 백을 샀더라고요. 제가 그걸 어떻게 샀냐고 했는데 “너 월세 몇 달 치 안 내면 살 수 있어.”라고 농담을 해요. 자기는 본가가 서울이니까 월세를 안 낸다 이거죠. 그런 농담을 들으면 현타가 오는데, 확실히 돈 모으는 게 다른 것 같아요.
김원세: 소현 님은 본가가 서울이신가요?
안소현: 네. 저는 본가가 서울이에요. 그렇다고 해서 제가 돈을 모으는 게 아니라서요. (웃음) 그만큼 써요.
김현문: 요즘 제 마인드는 ‘나 취업 2년 늦게 했어.’ 이거예요.
안소현: “원래 신입은 돈 모으는 거 아니랬어.”
김현문: 그러면 이제 평생 못 모으죠. (웃음) 저희 사수님도 저보고 쇼핑 좀 그만하라고 해요. 그리고 우리 회사는 새 옷을 사 입고 오면 꼭 알아보더라고요.
안소현: 다방면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이 모여서 그런 것 같아요. 그러고 보면 자율 복장도 장점인 것 같네요.
김원세: 미팅 때도 캐주얼하게 가세요?
김현문: 네. 광고주 만날 때도 캐주얼하게 가요.
안소현: 광고주도 저희에게 포멀한 복장을 기대하지 않아요. 저도 첫 미팅 땐 멋모르고 로퍼 신고 셔츠 입고 재킷 입고 갔거든요. 오히려 광고주는 캐주얼하게 입고 오셨더라고요.
김현문: 한 번씩 포멀하게 입고 오시는 광고주도 있어요. 거기 갈 때는 포멀하게 맞춰 입고 가면 되고, 경쟁사 브랜드만 안 입으면 돼요. 그래서 회사에 여분 신발이 하나 있어야 해요. 갑자기 미팅이 생기면 신발만 갈아 신고 갈 수 있게끔. 예의죠.
안소현: 다른 계열사 동기들 얘기를 들어보면, 우리 회사의 기업 문화가 압도적으로 자유로워요.
김현문: 그렇죠. 일반 대기업들보다는 저희가 되게 자유롭죠. 출퇴근도 그래요. 제가 야근을 하면 다음 날 늦게 출근할 수도 있는 거고요. 그런데 이런 게 다른 회사에서도 통용되는 게 아니니까.
김원세: 저도 인터뷰 전에 일찍 와서 회사 앞에서 기다렸거든요.
김현문: 계속 출근하죠?
안소현: (웃음)
김원세: (웃으며) 곧 점심시간인데 출근하시더라고요.
김현문: 제작은 더 자유로워요. 아이디어를 내야 하니까 밤 11시나 새벽 1시에 퇴근하기도 해요. 그러니 아예 1시에 출근하시는 분들도 있어요.
김원세: 보면서 부럽더라고요. “아, 나도 제일기획 지각하고 싶다...”
안소현: 저도 취준 할 때 그런 생각 많이 했어요.
김현문: 다 그렇죠.
안소현: 지금 제 친구들은 길 가다가 보면 회사에 불이 안 꺼진다고 놀리거든요.
김현문: “이태원의 등대다.”
안소현: 그게 입사 전에는 매일 반짝반짝 빛나니까 ‘와, 너무 멋있다.’ 생각했는데, 지금은 너무 슬퍼요. ‘이래서 밝은 거였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