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미 작가의 <편애하는 문장들>을 읽었다. 작가가 좋아하는 책의 구절과 작가의 일상을 연결한 에세이다. 그중 박혜윤 작가의 <숲 속의 자본주의자>라는 책에서 인용한 구절이 참 마음이 들었다. 기억해 두고 싶어서 일기장에 사각사각 적어두었다.
이런 마음으로 포기했다. '있는 것을 챙기자.' 추수가 끝난 황량한 논에 떨어진 쭉정이 벼 이삭을 줍는 심정으로 별 볼 일 없지만 내 마음에 작은 기쁨을 주는 일, 내가 좋아하는 소소한 것들을 했다. (중량) 이것 역시 '열심히'는 아니고 충분히 자고, 웃고, 떠든 다음 남는 시간에만. 그랬더니 그게 모여서 꽤 그럴싸한 나만의 무언가가 생겼다. - 박혜윤 <숲 속의 자본주의자> 중에서 -
지금 읽는 책을 다 읽으면 꼭 읽어봐야지. 마지막 장을 덮자마자 인터넷 서점에서 <숲 속의 자본주의자>를 주문했다. 오전에 주문했는데 바로 오후에 도착했다. 세상 참 좋아졌다.
신문기자였던 박혜윤 작가는 미국 시골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한다. 억지로 돈 버는 삶을 내려놓고 정기적인 입금 노동 없이도 행복한 삶을 꿈꾼다. 자고 싶을 때 자고, 하고 싶을 때 한다는 작가의 평화로운 일상에 여유와 풍요로움이 가득하다. 이 책에는 내가 적어두었던 구절 말고도 훌륭한 문장들이 가득했다. 곧바로 인생 책 리스트에 등극했다.
이 책에는 뇌의 가소성에 관한 이야기도 나온다. 뇌는 고정된 무엇이 아니라 연결된 회로로 우리는 수많은 생각의 회로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어떻게 받아들이냐는 것은 우리의 선택이라는 것이다. 작가는 이러한 내용을 질 볼트 테일러의 <나는 내가 죽었다고 생각했습니다>를 인용하며 설명했다. 읽어볼 만한 좋은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미리 준비해책상에 올려두니 보릿고개에 빼곡하게 채운 곳간처럼 마음이 든든하다.
좋아하는 책 세 권을 쪼르르 세워둔다. 좋아하는 것들이 끊임없이 이어지며 연속적으로 아름다운 파동을 만들어낸다. '좋아하는'은 새로운 '좋아하는'으로 이어지고 잔잔한 동심원을 그리며 나의 세계를 더 아름답고 넓어지게 만든다. '좋아하는'의 연결고리를 발견하고 이어가다 보면 언젠가 꽤 그럴싸한 나만의 세상이 만들어질 것이다. 가슴이 두근두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