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20 댓글 3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500만 팔로워 ADHD 크리에이터, 홀더니스 가족

지루함을 고문처럼 느끼지 않으려면

by ADHDLAB Mar 21. 2025


월 첫째 주 열린 ADHD Parenting Summit에서 진행된 강의를 하나씩 정리하려고 합니다.
이번 강의는 ADHD 전문가들이 연사들을 인터뷰하는 형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 정리할 인터뷰이는 500만 팔로워를 보유한 ADHD 크리에이터, 홀더니스 부부(Kim & Penn Holderness)입니다. 남편이 Penn, 부인이 Kim이에요.

처음 이들을 알게 된 건 인스타그램 알고리즘 덕분이었어요. ADHD를 주제로 한 유쾌한 코믹 영상을 올리는 걸 보고 신선한 충격을 받았습니다. ADHD의 특징을 콘텐츠로 만들 수 있다는 점도 놀라웠고, 그 영상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는 사실도 흥미로웠죠.

이들은 <ADHD is Awesome>이라는 책을 출간해 아마존 베스트셀러 목록에 올렸으며, 유튜브와 SNS를 포함해 총 5백만 명 이상의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영상 조회수는 10억 뷰를 넘겼죠.



인터뷰 정리


강연 제목:
Powerful Stories From YouTube's #1 Family That Will Radically Change How You Parent Your ADHD Child


브런치 글 이미지 1


1. ADHD에 대해 부모가 알아야 할 점

- Kim: 남편과 아들이 ADHD 진단을 받았어요. 그런데 그들에게는 superpower가 있습니다. 세상을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방식으로 바라보는 능력이죠. 그리고 아주 예리한 관찰자이기도 해요. 제가 미처 보지 못하는 것들을 남편과 아들은 알아차립니다.

- Penn: 결혼 초반, 부부간 대화가 필요할 때 집중을 유지하는 게 어려워서 힘들었어요. 하지만 Kim은 내가 반드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소중한 사람(worthy)이라는 걸 알기에 최선을 다해 집중하려고 했죠. 대신, 테이블 아래에서 휴지를 접거나 찢으면서 머릿속 에너지를 계속 소비하곤 해요. 다행히 Kim은 이런 행동을 이해해 주고, 제가 집중하려고 노력하고 있다는 걸 알고 있어요.


2. ADHD와 기억력 문제

- Penn: ADHD 아이들이 뭔가를 잊어버릴 때, 부모들은 아이가 일부러 말을 무시했다고 오해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주의를 올바른 방향으로 전환하는 게 어려워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 Penn: 그래서 메모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저는 종이에 To-Do List를 적고, 완료할 때마다 체크하는 습관이 있어요. 이 단순한 체크박스 표시가 작은 도파민 보상을 주고, 동기부여가 됩니다. 하지만 사람마다 맞는 방법이 다르죠. 어떤 사람은 스마트폰에 할 일 목록을 저장할 수도 있고, 포스트잇을 활용할 수도 있어요. 중요한 건 스스로에게 맞는 시스템을 찾아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는 것입니다.

- Kim: 우리 아들은 크롬북의 할 일 목록 기능을 활용하도록 연습시키고 있어요. ADHD 아이들에게는 체계적인 도구를 익히는 것이 큰 도움이 됩니다.


3. 지루함을 고문처 느끼지 않게 하기

-Penn: ADHD 아이들은 지루한 일을 Borture라고 부릅니다. Boredom(지루함) + Torture(고문)의 합성어예요. ADHD 아이들은 지루함을 견디기 어려워서 과잉행동을 보일 때가 많습니다. 그래서 집안일 같은 반복적인 일을 지속하기가 쉽지 않죠.

* 해결책? 집안일을 재미있게 만드는 게 필수!

우리 가족은 설거지할 때 **음악을 틀거나 Knock Knock Joke(넌센스 퀴즈 같은 말장난)**를 하면서 재미있게 합니다. (한국에서는 수수께끼나 난센스 퀴즈로 대체할 수도 있을 듯). ADHD 아이들에게 지루함은 진짜 고문처럼 느껴질 수 있으니, 약간의 재미를 더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Kim: 아이가 집안일에 집중하지 않는다고 비난하기보다는, 격려하면서 현실적인 기대치를 설정해야 합니다. 아이가 감당할 수 있을 만큼만 기대하는 게 중요해요.

-Kim: 우리 아들이 다니던 학교에 흔들리는 의자(Rock Around Chair)를 기부한 적이 있어요. ADHD 아이들은 집중할 때 피젯팅(Fidgeting, 꼼지락거리는 행동)을 하는데, 이는 오히려 집중을 잘하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ADHD 아이들은 에너지가 넘치기 때문에, 집중할 때도 이 에너지를 사용하려고 몸을 움직이게 되죠. 그래서 ADHD 아이들에게 적절한 환경을 마련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리 및 배울 점

강의를 통해 제가 생각해본 것들입니다.

홀더니스 가족의 ADHD에 대한 관점을 배우고 싶습니다.

그들은 ADHD를 장애 또는 장애물이 아니라,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강점으로 바라보는 태도를 가지고 있다는 게 인상적이었습니다.


ADHD 아이들이 가진 어려움을 극복하려면, 부모의 이해와 맞춤형 해결책이 필요합니다.
 *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문제를 미리 예방하는 것"
 * "집안일도 지루하지 않게, 아이에게 맞는 방식으로"
 * "ADHD의 특성을 받아들이고, 아이가 잘할 수 있도록 돕는 환경 만들기"


앞으로도 ADHD Parenting Summit의 강연 내용을 하나씩 정리해 보겠습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 주세요!


목, 토 연재
이전 01화 ADHD 실행기능 부트캠프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