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유운 Nov 03. 2022

성장소

2022 아르코문학창작기금 선정작

이제 아무도 종이를 말아 표류를 고백하지 않는다   

   

정처 없이 사랑하는 마음 

그런 건 유행이 지났으니까      


자라는 것을 생각한다 

숲의 한가운데서 시작되는 여름처럼     


 나의 성장에 대해 말해 보자면,

 방위를 모르는 지도 한 귀퉁이에 서툴게 너와 나의 이름을 엮어서 ‘우리’라고 쓰는 버릇이, 그런 비슷한 슬픈 일들이 많아지는 과정이었다.      


 우리는 우리를 우리라고 말하며 점점 둥글고 환해졌다. 느리고 성실하게. 또한 간결하게. 다 자란 것들은 더 이상 슬프지 않다고 믿으면서.     

 

 집을 짓는 꿈을 꾸었다. 투명하고 어디로든지 갈 수 있는 집. 네가 흐린 얼굴을 하고서, 나의 어깨를 툭툭 쳤다. “창문을 크게 만들지 마.”      


 우리가 자라는 동안 좁은 창문으로 어떤 장면을 보는 게 좋을지. 가령 녹색의 이파리들이 쏟아지는 장면이나 아무도 영영 그곳에서 태어나지 않는 장면. 잘 자라기 위한 집은 좋은 냄새가 나야 했다. 죽은 자들이 창문에서 쉼 없이 떨어지고 있더라도.   

  

 죽을 때까지 자라는 소년에 대한 괴담이 있었다. 그 소년의 끔찍한 최후를 말하는 대목에 다다르면 너는 웃으며 몸서리를 쳤다. 무섭고 징그러워. 웃는 목소리.  

    

  내 이마에 너의 시선이 닿았다. 너의 그 둥근 눈동자마저도 누군가 만져서 만들었다. 그런 것들을 알아차릴 때마다 소름이 끼쳤다.      


 자란 만큼 병이 든 네가 내 손을 잡았다. 네가 병이 든 만큼 가벼워질까 봐 두려웠다. 말도 배우지 않고 걷는 나쁜 피. 네 손 아래로 저벅저벅 걸어가는 그것들을 만질 수 있었다. 

이전 01화 일직선으로 꾸는 꿈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