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민트아트 Sep 07. 2024

질문으로 시작하는 그림 감상

  지금 유명한 화가의 전시회장 앞에 와있다고 상상해 보자. 입구에 들어서자, 벽면에 화가의 작품 세계를 설명한 글이 보인다. 그 글을 꼼꼼히 읽는다. 그리고 발걸음을 옮겨 첫 그림을 만나는 순간 여러분은 작품을 잠시 바라본 뒤, 그림 가까이 다가가 옆에 있는 작은 라벨을 들여다볼 것이다. ‘아. 이런 작품이군.’ 작가 혹은 전시기획자가 알려준 정보대로 제목과 의미를 확인하고 안도한 뒤, 다음 그림이 있는 곳으로 갈 것이다. 이때 뒤에서 몰려오는 사람들의 눈치를 보느라 작품 앞에 오래 서 있지 못하고 또 다른 쪽으로 내키지 않는 발걸음을 옮기고 있을 것이다. 물론, 모든 사람이 이렇게 작품을 감상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사람이 북적이는 전시장에서 대부분의 관람자는 똑같은 패턴을 보이며 지나간다.


  그럼, 명화를 소개하는 책을 읽거나 인터넷에서 마음에 드는 그림을 발견했을 때는 어떻게 감상하고 있을까? 짐작건대 여러분은 그림을 관찰하는 시간보다 그림에 대한 정보를 읽는데 시간을 더 투자할 것이다. 자신이 그림을 보고 떠오르는 느낌과 생각이 틀릴지도 모른다는 걱정 때문에 화가나 저자의 의견, 평론가의 의견대로 그림에 대한 첫 느낌을 수정하고야 말 것이다.


  이쯤에서 드는 의문 하나가 있다. ‘그림 감상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이다. ‘말 그대로 그림을 보고 느끼는 거지. 뭐가 더 있어? 화가의 의도대로 감상하면 되는 것 아냐?’라는 반응이 나올 수 있다. 그럼, 화가의 의견, 평론가의 의견을 그대로 따르는 것이 좋은 감상일까?


  감상은 ‘작품을 깊이 음미하고 그 미적인 내용을 이해하며 즐기는 일’이라 한다. 한마디로 그림 감상은 ‘그림을 보고 즐기는 일’이다. 한정희는취미는 전시회 관람』에서 감상의 목표는 작품을 즐기는 것이고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이 작품과 친해지는 것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작품에 대해 알아 가기 위해서 우선 그것을 관찰하는 단계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렇다면 우리의 ‘감상’에는 관찰과 즐김이 빠져 있는 것은 아닐까?

  자. 그럼, 읽기를 멈추고 다음의 그림을 조금 천천히 관찰해보자.  

        

                              

  그림을 보는 순간 궁금증이 생길 것이다. 이 궁금증으로부터 질문이 시작된다. 이 남자는 왜 검은 날개를 달고 있는 것일까? 하얀 날개가 천사를 상징한다면 검은 날개는 악마를 상징하는 걸까? 남자는 다리 건너편 무엇을 바라보고 있는 것일까? 사자는 왜 저렇게 얌전히 있는 것일까? 사자는 화면 밖의 누구를 보고 있는 것일까? 사자와 남자의 관계는 무엇일까? 암사자가 아니고 수사자를 그린 이유가 있을까? 왜 하늘은 황토색일까? 황사를 표현한 것일까? 저 멀리 보이는 것은 아파트일까? 가로등은 왜 딱 한 개만 있을까? 이렇게 질문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이때 이 그림을 그린 화가는 누구이고, 제목은 무엇이며, 이 화가가 속한 미술 사조는 앞선 궁금증들 뒤로 밀려나게 된다. 어쩌면 이런 정보들이 그림과 친해질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빼앗아 갈 수도 있다.


그림에 대한 사전 정보는 선입견을 불러오고 첫 만남을 망치게 한다. 첫 느낌을 권위에 기대 수정하지 말자. 그림은 순수한 마음으로 만나야 한다. 순수한 마음으로 상대를 꼼꼼히 관찰하고 떠오르는 질문을 통해 조금씩 가까이 다가가는 것이 그림 감상의 첫걸음이 되어야 한다.


  여기까지 읽은 분이라면 “이게 무슨 그림 감상법이야?”라는 의문을 품을 수 있다. 그림을 감상하고 비평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학자들의 다양한 이론이 존재한다. 하지만, 이 책은 전문적인 그림 감상법을 전달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아무런 지식이 없어도 주눅 들지 않고 당당하게 그림을 감상할 자격이 충분하다. 그림은 전문가들이나 보는 것, 너무 어려운 것이라는 생각이 이미지는 넘쳐나지만 그림 감상과는 멀어지는 시대를 만들었다.    


 그렇다면 학교의 미술교육은 어떠한가? 대부분 학교의 미술 수업은 주당 1~2시간 정도이다. 이 시간 안에 수행평가라는 명목하에 표현 위주의 실기 활동을 배치하고 나면 감상 교육을 할 시간이 턱없이 부족하다. 물론 감상과 표현을 적절히 배치해 수업하는 분도 있다. 하지만 감상 시간을 따로 확보하기란 물리적으로 어려운 것이 공교육의 현실이다. 짧은 시간을 쪼개 감상 교육을 한다고 하더라도 화가 이름, 작품 제목, 시대적 배경, 화가가 속한 미술 사조, 작품의 상징적 의미(교과서에 나오는 공식적인 내용)를 전달하기도 바쁘다. 이런 현실로 인해 학교에서의 감상 교육은 정보 전달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교사가 먼저 변해야 한다. 학생들이 그림과 친해질 기회를 어떻게든 마련해 그림에 말을 걸고 친구가 될 수 있도록, 상상력과 창의적 사고를 확장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이 변화에 대한 갈망이 명화 하브루타에 대한 책을 쓰게 된 이유이자 출발이다.          


  명화 하브루타는 미술 교사뿐만 아니라 명화를 통한 자녀 예술교육에 관심이 많은 부모님, 명화와 친해지고 싶은 분들이 쉽게 따라 할 수 있을 만큼 그 방법이 매우 간단하다. 책에서 제시하는 방법대로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그림과 친숙해진 자신을 만나게 될 것이다.

이전 01화 질문하라! 이것이 그림과 친해지는 비밀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