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홍단근 Mar 25. 2022

냉동 오징어 살리기

일본어투 한자어 명사로 된 부사 고치기

오징어 좋아하십니까? 산 오징어는 비싸지만 죽으면 퇴비 값이랍니다. 이처럼 우리말 부사는 생물 오징어이고 한자어 명사로 만든 일본어 투 부사는 냉동 오징어입니다. 이제는 냉동 오징어를 생물 오징어로 살려서 몸값을 올리도록 합시다.

    

 우리는 앞서 부사로 고치야 하는 조사 ‘의’를 살펴보았습니다. 일본어에서 한자어 명사로 된 부사가 있습니다.  이것은 부사로 풀어줘야 합니다. 교과서답게 해석해보겠습니다.

         

 ① ‘극도’는 ‘극도로, 매우, 몹시’로 가다듬습니다. “극도의 어려움”은 “매우 어려움”으로 모양을 다듬습니다.

 

 ② ‘극력’은 ‘강력하게,  힘껏’으로 교체합니다. “타협안을 극력 주장하다.”는 “타협안을 힘껏 주장하다.”라고 형태를 바꿉니다.

     

 ③ ‘급거’는 ‘서둘러, 허둥지둥’으로 갈아줍니다. “도지사는 저녁에 급거 화재현장에 도착했다.”는 “도지사는 저녁에 서둘러 화재현장에 도착했다”라고 틀을 바꿉니다.

    

 ④ ‘단연’은 ‘단연코, 가장, 훨씬’으로 교대합니다. “이순신 장군이 단연 돋보인다.”는 “이순신 장군이 단연코 돋보인다.”라고 틀을 교정합니다.

     

 ⑤ ‘대거’는 ‘대규모로, 왕창’으로 교정합니다. “중국과 수교하고 나서 관광객이 대거 몰려왔다.”는 “중국과 수교하고 나서 관광객이 대규모로 몰려왔다.”라고 새집을 지어줍니다.

  

 ⑥ ‘대개’는 두 가지로 교환합니다. 하나는 ‘거의, 꽤 많은, 대다수, 대부분’으로 받아줄 수 있습니다. “이 학교 학생들은 대개 명문대에 들어갔다.”는 “이 학교 학생들은 대부분 명문대에 들어갔다”라고 모양을 손봐줍니다. 다른 하나는 ‘보통, 흔히’로 받아 줄 수 있습니다. “대개 미역국은 소금으로 간을 한다.”는 “보통 미역국은 소금으로 간을 한다.”라고 메뉴를 바꿉니다.

     

 ⑦ ‘대략’은 ‘가량, 남짓, 만치, 만큼, 약, 얼추, 어림잡아’로 다듬습니다. “대략 수입이 두 배가 늘었다.”는 “어림잡아 수입이 두 배가 늘었다.”라고 맞바꿉니다.

     

 ⑧ ‘돌연, 아연, 홀연’은 ‘갑자기, 갑작스럽게, 예기치 못한, 엉겁결에, 얼떨결에, 불현듯’으로 대신합니다. “회장이 돌연 사퇴하다.”는 “회장이 갑자기 사퇴하다.”라고 새 집을 지어줍니다. “풀 죽은 아이들은 아연 활기를 띄다.”는 “풀 죽은 아이들은 갑자기 활기를 띄다”라고 다듬이질합니다. “그는 홀연 자취를 감추다.”는 “그는 갑작스럽게 자취를 감취다.”라고 새 거푸집을 만듭니다.

     

 ⑨ ‘목하’는 말 그대로 눈 밑, 눈앞을 의미하는 것으로 ‘바로 지금, 현재’로 대체합니다. “철수는 목하 연애 중이다.”는 “철수는 바로 지금 연애하고 있다.”라라고 꼴을 바꿔줍니다.

     

 ⑩ ‘별단, 별반, 별양’은 부정문과 같이 사용되고, ‘그다지’로 되돌립니다. “스포츠복지도 일반 복지와 별반 다르지 않다.”는 “스포츠 복지도 일반 복지와 그다지 다르지 않다.”라고 소재를 바꿉니다.

     

 ⑪ ‘사실, 실지’는 ‘실제로, 실지로, 진짜로’가 잘 어울립니다. “할아버지는 사실 의사가 하는 말을 잘 알지 못했다.”는 “할아버지는 실제로 의사가 하는 말을 잘 알지 못했다.”라고 모습을 갈아줍니다. “실지 토지를 경매로 받고자 하는 사람이 많았다.”는 “실제로 토지를 경매로 받고자 하는 사람이 많았다.”라고 모양을 갈아줍니다.

     

 ⑫ ‘상시’는 ‘평소대로, 평소처럼, 언제나’로 맞바꿔줍니다. “그는 아이들 사진을 상시 가지고 다닌다.”는 “그는 아이들 사진을 언제나 가지고 다닌다.”라고 껍질을 바꿉니다.


 ⑬ ‘속속’은 ‘연달아, 연신, 연이어, 잇달아, 잇따라, 줄곧, 줄지어’로 매만져줍니다. “남해안 여행상품 개발이 속속 이어지고 있다.”는 “남해안 여행상품 개발이 줄지어 이어지고 있다.”라고 새 옷을 입혀줍니다.

    

 ⑭ ‘순차’는 ‘차례대로, 차례차례’로 모습을 바꿉니다. “먹는 코로나 치료제가 다음 달부터 순차 도입할 예정이다.”는 “먹는 코로나 치료제가 다음 달부터 차례차례 도입하려고 한다.”라고 새 포장지를 입힙니다.

     

 ⑮ ‘시종’은 ‘내내, 처음부터 끝까지’로 모양을 바꿉니다. “대통령은 시종 화기애애한 분위기를 이어 갔다.”는 “대통령은 내내 화기애애한 분위기를 이어 갔다.”라고 갈아 줍니다.

      

 ⑯ ‘십분’은 ‘넉넉히, 충분히’로 받아줍니다. “구직자는 자신의 역량을 십분 발휘할 기업을 찾고 있다.”는 “구직자는 자기 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기업을 찾고 있다.”라고 바로 잡습니다.

     

 ⑰ ‘연일’은 ‘날마다’로 변경합니다. “겨울철 연일 고생하는 소방공무원을 위로하다.”는 “겨울철 날마다 고생하는 소방공무원을 위로하다.”라고 뜯어고칩니다.

    

 ⑱ ‘영영’은 ‘영구히, 영원히’로 변신시킵니다. “죽음이란 영영 만날 수 없는 단절이다.”는 “죽음은 영원히 만날 수 없는 단절이다.”라고 수리합니다.

     

 ⑲ ‘일괄, 일거(에), 일약’은 ‘단걸음에, 단박에, 단숨에, 단번에, 한 번에’로 보정합니다. “그 가게는 일약 맛있는 집으로 소문나다.”는 “그 가게는 단숨에 맛있는 집으로 소문나다.”라고 옹골차게 바꿉니다. “복잡한 관세협약이 일괄 타결되다.”는 “복잡한 관세 협약이 한꺼번에 타결되다.”라고 불순물을 제거합니다.

     

 ⑳ ‘일응’은 일단, 우선과 비슷한 말로 ‘먼저, 어쨌든, 한번’으로 손봅니다. ‘일응’은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되지 않았지만 자꾸만 쓰기 시작합니다. “불가피한 조치인 것은 일응 인정되나 제재를 피하기는 어렵다.”는 “불가피한 조치인 것은 어쨌든 인정되나 제재를 피하기는 어렵다.”라고 이름표를 바꿔줍니다.

     

 ㉑ ‘일시’는 두 가지 뜻이 있습니다. 하나는 ‘임시, 잠깐, 잠시, 한때’로 뜻합니다. 다른 하나는 ‘한꺼번에, 한 번에’를 의미합니다. “코로나로 일시 휴업 중인 가게가 늘었다.”는 “코로나로 임시 휴업 중인 가게가 늘었다.”라고 손을 봐줍니다. “피난민이 일시에 몰렸다.”는 “피난민이 한꺼번에 몰렸다.”라고 손질합니다.

     

 ㉒ ‘일층’은 ‘더욱, 한결, 한층’으로 형태를 손봐줍니다. 또한 ‘가일층’은 ‘더욱’을 강조한 말로 ‘더욱더, 더한층’으로 모양을 손봐줍니다. “경남은 비상 태세를 일층 강화했다.”는 “경남은 비상 태세를 더욱 강화했다.”라고 변화를 줍니다. “선진 복지 구현에 가일층 노력을 하겠다.”는 “선진 복지에 더욱더 노력을 하겠다.”라고 탈바꿈시킵니다.

     

 ㉓ ‘재삼’은 ‘거듭, 다시금, 되풀이해서’로 형태를 손봐줍니다. “환경문제의 중요성을 재삼 일깨워 줬다.”는 “환경 문제가 중요하다는 것을 거듭 일깨워 줬다.”라고 꼴을 손봐줍니다.

     

 ㉔ ‘적의’는 ‘알맞게, 적절히’로 수정합니다. “불법 투기를 적의 조치해 나갈 것이다.”는 “불법 투기를 적절히 처리해 나갈 것이다.”라고 형상을 바꿉니다.

     

 ㉕ ‘전연’은 부정문에서 사용되면 ‘도무지, 전혀, 조금도’로 형상을 교정합니다. 하지만 긍정문에서 사용되면 ‘모조리, 온통, 아주, 완전히, 전부’로 순화합니다. “가난한 형편에서도 전연 아쉬운 기색이 없었다.”는 “가난한 형편에서도 도무지 아쉬운 기색이 없었다.”라고 모양을 교정합니다. “아프고 난 뒤 세상이 전연 새롭다.”는 “아프고 난 뒤 세상이 온통 새롭다.”라고 생김새를 변경합니다.

    

 ㉖ ‘종일’은 아침부터 저녁까지 시간을 의미하므로 ‘하루 내내’로 전환합니다. 더욱이 종일, 온종일, 진종일을 이미 하루를 포함하므로 ‘하루 종일, 하루 온종일’은 중복된 표현입니다. “하루 종일 회의를 했다.”는 “하루 내내 회의를 했다.”라고 모양을 바로잡습니다. “온종일 집구석에 쳐 박혀 있었다.”는 “하루 내내 집구석에 쳐 박혀 있었다.”라고 모양을 변경합니다.

     

 ㉗ ‘필경’은 ‘결국, 끝내, 마침내로 치환합니다. “독재자는 필경 멸망할 것이다.”는 “독재자는 끝내 멸망할 것이다.”라고 모습을 변경합니다.


   하지만 교과서만으로는 전교 1등이 될 수는 없습니다. 달걀은 깨지 못하면 계란 프라이가 되고, 깨면 병아리가 됩니다. 묻고 더블로 가서 히트를 치려면 그림 그리듯 표현합니다. ‘극도’는 눈에 불을 켜고, ‘급거’는 맨 발 차림으로, ‘단연코’는 ‘무를 싹둑 자르듯’으로, 일괄은 ‘굴비 엮듯’과 같이 손에 잡히는 글로 그려줘야 합니다. 그림을 그려주지 않을 바에야 어려운 한자어 부사를 쓰지 않는 게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일본어투 한자어 명사로 된 부사 고치기를 표로 정리했습니다.




 


사람의 의미는 하나로 부족하기 때문이다

  일본어 투 1글자 한자어 부사 고치기


 사람 인(人)은 왜 두 획입니까? 사람은 둘이 되면 부족한 하나를 도와줄 수 있습니다. 글자도 마찬가지입니다. 일본어는 한자로 만든 1글자 부사를 많이 만듭니다. 이것을 생각 없이 우리말로 가져옵니다. 하지만 이런 부사는 여러 가지 해석이 나오므로 고유어를 비롯한 쉬운 말로 고쳐야 합니다. 그럼 하나하나 살펴보실까요?

     

 ① ‘가히’는 긍정문에서는 ‘과연, 정말로, 진짜로, 충분히’로 갈아 줍습니다. “가히 심각한 빈부격차”는 “정말로 심각한 빈부 격차”라고 교정합니다. 부정문과 의문문에서는 ‘어째서, 어찌’로 가다듬습니다. “가히 선비라 하겠는가?”는 “어찌 선비라 하겠는가?”라고 교체합니다.

     

 ② ‘감히’는 두 가지로 바꿉니다. 하나는 ‘만만히, 함부로’로 교대할 수 있습니다. “감히 얼굴을 들지 못했다.”는 “함부로 얼굴을 들지 못했다.”라고 다듬습니다. 다른 하나는 ‘무릅쓰고, 주제넘게’로 교환할 수 있습니다. “결례인 줄 알지만 감히 말씀드리겠습니다.”는 “결례인 줄 알지만 주제넘게 말씀드리겠습니다.”라고 모양을 바꿉니다.

      

 ③ ‘공히’와 ‘여히’는 ‘같이, 똑같이, 모두, 함께’로 모습을 바꿉니다. “한·미 양국이 공히 북한 문제를 중요히 여기다.”는 “한·미 양국이 모두 북한 문제를 중요히 여기다.”라고 형태를 바꿉니다. “주변국들은 남북정상회담을 여히 지지했다.”는 “주변국들은 남북정상회담을 모두 지지했다.”라고 다듬질합니다. 더 나아가 ‘명실공히’는 ‘이름 그대로, 이름처럼’으로 되돌립니다. “명실공히 한국을 대표하는 시인이 됐다.”는 “이름 그대로 한국을 대표시인이 됐다.”라고 생김새를 바꿉니다.

      

 ④ ‘과히’는 세 가지로 고칩니다. 첫째 ‘너무, 지나치게’로 틀을 바꿉니다. “과히 걱정하지 말라.”는 “지나치게 괴로워하지 말라.”라고 형상을 바꿉니다. 둘째 ‘과연, 정말로, 역시’로 받아줍니다. “과히 축제의 주간이라고 할 수 있다.”는 “과연 축제의 주간이라고 할 수 있다.”라고 꼴을 바꿉니다. 마지막으로 부정문에서는 ‘그다지, 별로’로 맞교환합니다.  “그 말은 과히 틀리지 않다고 본다.”는 “그다지 틀리지 않다고 본다.”라고 맞바꿔줍니다.      


 ⑤ ‘귀히’는 ‘귀중히, 소중히’로 모습을 고칩니다. “시간을 귀히 여기다.”는 “시간을 귀중히 여기다.”라고 모양을 고칩니다.


 ⑥ ‘극히’는 ‘가장, 최고로, 지극히, 대단히’로 형태를 수정합니다. “효율이 극히 낮다.”는 “효율이 가장 낮다.”라고 변경합니다.

    

 ⑦ ‘급히’와 ‘속히’는 ’빨리, 서둘러, 얼른, 어서, 재빨리, 재깍, 후딱‘으로 되돌립니다. “급히 나가다.”는 “서둘러 나가다.”라고 생김새를 손질합니다. “모든 고통이 속히 지나가기를 희망한다.”는 “모든 고통이 빨리 지나가기를 희망하다.”라고 바로잡습니다. 더 나아가 ‘신속히, 시급히, 조속히, 지급히’도  ‘급히’와 ‘속히’와 마찬가지입니다. “시급히 업무를 처리해야 한다.”는 “빨리 업무를 처리해야 한다.”라고 형상을 수정합니다.

      

 ⑧ ‘기히’는 ‘벌써, 앞서, 이미’로 생김새를 수정합니다. “기히 추진 중인 대책을 다시 점검하다.”는 “이미 추진하고 있는 대책을 다시 점검하다.”라고 꼴을 수정합니다.

     

 ⑨ ‘능히’는 ‘거뜬히, 넉넉히, 쉽사리, 손쉽게, 수월히, 용케, 잘, 충분히’로 틀을 수정합니다. “위기 상황을 능히 극복할 수 있다.”는 “위기 상황을 거뜬히 극복할 수 있다.”라고 틀을 갈아줍니다.

     

 ⑩ ‘심히’는 ‘매우, 몹시, 무척’으로 바룹니다. “이번 사건은 심히 중대하다.”는 “이번 사건은 매우 중대하다.”라고 뜯어고칩니다.

      

 ⑪ ‘엄히’는 두 가지로 고칩니다. 하나는 ‘삼엄히, 엄정히, 엄중히, 준엄히’로 받아줍니다. “책임자를 엄히 꾸짖다.”는 “책임자를 엄중히 꾸짖다.”라고 꼴을 다듬습니다. 다른 하나는 ‘가지런히, 단정히’로 틀을 다듬습니다. “몸가짐을 엄히 해라.”는 “몸가짐을 단정히 해라.”라고 모양을 뜯어고칩니다.

     

 ⑫ ‘실로’는 ‘실제로, 진짜로, 정말로, 참으로’를 의미합니다. “실로 오랜만에 고향을 방문하다.”는 “정말로 오랜만에 고향을 방문하다.”라고 모습을 뜯어고칩니다.

    

 ⑬ ‘실은’은 ‘사실은, 실제로는’으로 형태를 뜯어고칩니다. “실은 저도 학교에 가지 않았습니다.”는 “사실은 나도 학교에 가지 않았습니다.”라고 변신시킵니다.

     

 ⑭ ‘실히’와 족히’는 ‘넉넉히, 충분히’로 생김새를 뜯어고칩니다. “대국민 홍보를 실히 하였습니다.”는 “국민에게 홍보를 충분히 하였습니다.”라고 보정합니다. “두세 시간은 족히 걸리는 코스입니다.”는 “두세 시간은 넉넉히 걸리는 코스입니다.”라고 틀을 뜯어고칩니다.

     

  ⑮ ‘정(正)히’는 두 가지로 고칩니다. 하나는 ‘올바르게, 정확히’로 꼴을 뜯어고칩니다. “업무용 택시 이용요금으로 정히 청구합니다.”는 “업무용 택시요금으로 정확히 청구합니다.”라고 모양을 바로잡습니다. 다른 하나는 ‘정말로, 진짜로, 참으로’를 의미합니다. “정히 가시려거든 저를 같이 데리고 가십시오.”는 “정말로 가시려거든 저를 같이 데리고 가십시오.”라고 모습을 바로잡습니다.

     

 ⑯ ‘정(淨)히’는 ‘깨끗이, 단정히, 정갈히’로 형태를 바로잡습니다. “밥을 정히 짓다.”는 “밥을 깨끗이 짓다.”라고 생김새를 바로잡습니다.

      

 ⑰ ‘주로’는 ‘거의, 꽤 많은, 대다수, 대부분’으로 손질합니다. “설영은 옷을 주로 시장에서 구매했다.”는 “설영은 옷을 대부분 시장에서 구매했다.”라고 손봅니다.

     

 ⑱ ‘중히’는 두 가지로 고칩니다. 하나는 ‘귀중히, 소중히’로 틀을 바로잡습니다. “어머님 유품을 중히 여겼다.”는 “어머님 유품을 귀중히 여겼다.”라고 모양을 손질합니다. 다른 하나는 ‘무겁게, 엄중히’로 모습을 손질합니다. “민생사범을 중히 처벌하다.”는 “민생사범을 무겁게 처벌하다.”라고 형태를 손질합니다.

      

 ⑲ ‘친히’는 ‘몸소, 직접’으로 생김새를 손질합니다. “사모님께서 친히 피자를 만들어주셨다.”는 “사모님께서 직접 피자를 만들어주셨다.”라고 꼴을 손질합니다.

     

 ⑳ ‘쾌히’는 두 가지로 고칩니다. 하나는 ‘기꺼이, 시원스레, 시원히, 유쾌히, 통쾌히, 흔쾌히’로 틀을 손질합니다. “사장은 사원의 주장을 쾌히 승낙했다.”는 “사장은 사원의 주장을 흔쾌히 승낙했다.”라고 손을 봐줍니다. 다른 하나는 ‘ 쾌차하게’로 수정합니다. 신체가 쾌히 건강한지라.”는 “신체가 쾌차하게 건강한지라.”라고 치환합니다.

     

 ㉑ ‘필히’는 ‘꼭, 반드시’로 탈바꿈합니다. “보건소에 필히 신고하세요.”는 “보건소에 반드시 신고하세요.”라고 모양을 손을 봅니다.

     

 ㉒ ‘험히’는 두 가지로 변경합니다. 하나는 ‘ 험상궂게’로 모습을 변신시킵니다. “얼굴이 어찌 험히 생겼는지 한 마디도 못했다.”는 “얼굴이 어찌 험상궂게 생겼는지 한 마디도 못했다.”라고 모습을 손을 봅니다. 다른 하나는 ‘위험하게, 함부로’로 형태를 손을 봅니다. “몸을 험히 다루다.”는 “몸을 막 다루다.”라고 전환시킵니다.

      

 지금까지는 교과서답게 바꿔주었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재미가 없습니다. 우리말은 부사가 그림이 되어야 합니다. ‘귀히’는 ‘보석처럼'나  ‘명품처럼’으로, 급히는 ‘눈썹 날리게’나  ‘발바닥이 안 보이듯’으로, ‘정히’는 ‘콩 한 알까지’로 글로 그려주십시오, ‘괘히’도 ‘두 손을 들고’로, ‘필히’는 ‘해가 두 쪽이 나도’와 같이 읽는 이 머릿속에 그림 한 편을 선사해 주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일본어 투 1글자 한자어 부사 고치기를 표로 정리했습니다.

        




이전 24화 똑같은 엄지손가락도 지문이 다르다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