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초린혜원 Dec 21. 2020

가난하지만 따뜻한 주문, 동지팥죽

이럴 땐 이런 음식/ 한 해의 끝에서 다른 한 해의 안녕을 기원하며

그거 알아요? 동지엔 달력을 나눴답니다.


이맘때쯤이면 집안에 수북이 쌓이곤 하던 달력이 올해는 어쩐지 빈한하다. 장기화된 코로나 때문인 지는 몰라도 달력을 인쇄하는 숫자가 예년보다 확연히 줄어들었다고 한다. 동지 무렵이 한 해의 끝이다 보니 달력을 전하면서 한 해를 보내고 맞는 마음을 다지는 게 일상다반사였는데 왠지 많이 아쉽기도 하고, 한편 서글퍼지기도 하고 그렇다.


방송일을 하다 보면 24절기에 어쩔 수 없이 민감할 수밖에 없는데, 시절이 아무리 달라졌다고는 해도, 24절기마다 얽힌 유래며 풍습들을 따라가다 보면 의외로 이야깃거리들을 많이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두런두런 누군가 들려주는 옛이야기가 매우 식상하면서도 한편으로는 귀를 기울이게 만드는, 신묘한 매력이 라디오에는 있기 때문이기도 할 테다.      


아주 오랜만에 현역 시절 썼던 원고를 살펴보니 하선동력(夏扇冬曆) 이란 단어가 동짓날  문장들 속에서 유독 빛나고 있다. 예전 우리의 세속력으로는 동지를 한 해의 시작이라 보았기에 왕실에서 신하들에게 동지엔 새해 달력을, 그리고 단오에는 부채를 나눠주는 풍습을 일컬음이다.


 '아!  나, 열심히 뭔가를 공부하며 원고를 것인가?' 피식 웃음이 새어 나온다. '동지'라는 한 단어, 마치 얼음을 끌어안고 있는 듯한 단어의 차갑고 견고한 외피를 깨고, 오래전, 혹독한 추위에도 잠시 볕이 들었던 그 겨울의 '동지'로 돌아가 보려 한다.


동지 팥죽은 왜 쑤는 거예요 엄마, 아직 이렇게 슬픈데


일 년 중 가장 긴 밤을 가진 동지는, 내 기억 속에선 항상 일 년 중 제일 추운 날로 각인이 돼 있다. 동지를 막 지난 어느 날, 아버지가 쓰러지셨고 그리고 며칠 후 그야말로 거짓말처럼 세상을 떠나셨기 때문이다.


말술이었던 아버지는 의사의 거듭되는 경고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처지를 술을 마시는 것으로 위로 삼으며, 오직 술의 기운을 빌어 하루하루를 버티는 삶을 살고 셨던 거 같다. 한 번도 물어본 적 없었고 그 어느 누구도 가르쳐주진 않았지만 이렇게 추측을 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어린 내가 보기에도 이미 너무 시꺼멓게 변한 그의 얼굴색이 병의 위중함을 알려주고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아버지가 돌아가신 이듬해 나는 겨우 4학년이었고, 여전히 수줍음이 과해 말 한마디를 나누는 것도 어려움을 겪었으며, 이런저런 충격으로 현격히 시력은 떨어져 안경을 는 아이가 돼 있었다. 이 시절에 안경을 쓴다는 것은 형언할 수 없는 결격사유 하나를 몸에 달고 다닌다는 뜻으로 읽히기도 했는데, 이런 이유로 점점 더 집 밖으로 나가지 않는 내성적인 아이로 자라나고 있었다.


벌어 놓은 것도 없이 덜렁 아이 셋만 남겨 놓고 가버린 남편을 원망하는 것조차 사치라고 생각했을까? 당장 먹고사는 문제에 봉착한 내 어머니는 그야말로 목구멍이 포도청이라 점점 더 자기 세계에 고립돼 가는 큰 딸을 세심히 돌볼 여력이 없었을 것이다.


여기저기서 사람들을 끌어모아 계를 하고, 밑천이 들지 않는 장사를 시작하는가 하면, 닥치는 대로 물건을 떼어다 팔기도 했다. 남편을 잃고 생업전선으로 몰린 내 어머니의 어깨는 어쩐 일인지 조금씩 더 단단하고 넓어져 갔다. 마치 어떤 세상 풍파라도 다 막아내겠다는 굳은 다짐을 겹겹이 두른 것처럼 말이다.


그렇게 서로를 돌볼 수 없고, 마주 볼 수도 없는 날들이 무심히 흘러 어느덧 아버지 첫 기일을 앞둔 동지가 찾아왔다. 아주 선명하지는 않지만 이 해의 동지는 조금 유별났던 것 같다. 동지 바로 전날 어마어마한 양의 팥을 물에 담가 두는 걸로 팥죽 쑬 준비를 해 놓고는 엄마는 총총이 일을 하러 나가셨다.


그러면서 틈틈이 집에서 방앗간으로 뛰어다니며 새알심을 빚을 찹쌀을 갈아 놓는 것도 잊지 않았는데, 이 날은 특별히 팥을 얹은 시루떡도 준비할 거라며 엄마는 왠지 신이 난 사람처럼 굴었다. 나는 어쩐지 기분이 상하는 것이었다. 아버지 기일이 다가오는 데, 동지가 뭔 대수라고!



양은 대접에 담긴 동지팥죽 나눔, 그것은 고마움


밤새 새알심을 빚느라 엄마는 거의 잠을 이루지 못하신 거 같았다. 아직 어린 자식들의 손을 빌릴 수 있는 처지도 아니다 보니, 혼자서 그 많은 새알심을 빚고 잠시 새우잠을 청하신 듯했다. 채 치우지 못한 밥상 위의 찹쌀가루에서는 시큰한 냄새가 배어 나왔다.


아침부터 집집마다 팥죽을 끓이는 구수한 냄새가 골목을 가득하게 채웠다. 엄마는 천성이 부지런한 사람이라 그렇게 잠을 못 잤는데도 불구하고, 서둘러 팥죽 끓일 준비를 하면서 그 와중에 도시락까지 싸는 것이 아닌가! 여전히 토라져 있던 나는 갓 말문이 트인 아이처럼 뾰족한 말들을 쏟아내기 시작했다


" 엄마, 아부지 기일도 다 됐는데, 이래 꼭 팥죽끼리야 되나?"

"..."

"엄마는 아부지보다 묵는 기 더 중요하나?"

"그기, 아이고"

"아이 기는 뭐가 아인데?"


한 번 날이 서기 시작한 나의 언어는 거침이 없었다. 널따랗고 단단한 등을 가진 엄마가 잠시 휘청였다.


"혜원아, 그기 아이고, 고마 아부지 생각도 나고, 아부지 기일에는 뭐 따로 하기 그래가, 동지도 됐고 했으이 동네 사람들 팥죽 하고 시루떡 좀 해가 나눠줄라꼬, 그라고 팥죽을 무야 아부지처럼 안 아푸지..."


흐려지는 말끝을 따라 엄마의 어깨가 잠시 들썩였고, 나는 울보라는 별명에 걸맞게 대성통곡, 목 놓아 울고 말았다. 마루 한쪽에는 대형 은행에서 나눠준 한 장씩 뜯겨 나가는 달력이 걸려 있었고, 12월 22일, 커다랗고 검게 새겨져 있던 숫자엔 그날의 감정과 시간이 고스란히 박제돼 버린 듯했다.


엄마는 있는 대접, 없는 대접 다 끄집어 내 한 끓여낸 동지팥죽을 차례대로 정성스럽게 퍼담으셨다. 그리고는 접시엔 팥시루떡까지 한 조각씩 올려서 '오봉'이라 불렀던 판에다 나란히 놓아 옆집, 앞집 할 것 없이 배달을 시키시는 거였다.


갓 끓여낸 팥죽과 김이 모락모락 나는 팥시루떡의 냄새가 그렇게 절묘한 조화를 이룰 수 있다는 것에 나는 일단 놀랐고, 팥죽 한 그릇에 담긴 오만가지의 감정과 의미에 눈도 마음도 많이 묵직해져 갔던 걸 기억한다.



고수레, 적극 실천자


독실한 크리스천이었던 우리 엄마가 악귀를 쫓는 풍습으로 시작한 동지팥죽을 왜 그렇게 해마다 열심히 끓이셨는지, 또 왜 그렇게 먹어도 남을 만큼 끓였는지 여전히 그 깊은 속내를 다~알 수는 없다. 다만 그해의 팥죽엔 고마움과 감사를 나누려는 마음과 가족의 무사안녕을 염원하는 맘이 컸던 거 같기는 하다.


아주 오래전 사람들은 동지 팥죽을 쑤게 되면 장독이나 헛간 같은 데 한 그릇씩 떠다 놓고 '고수레'를 외침으로 신께 고함과 동시에, 대문과 벽에 뿌리는 행위를 하고는 했다. 붉은색을 두려워한다는 악귀를 쫓고, 한 겨울 추위로 먹이를 구하지 못할 들짐승들을 위한 배려가, 거기에는 담겨 있음이다.


내가 아는 엄마라면 이런 걸 딱히 염두에 두지는 않았을 거다. 그저 한 끼 음식이라도 못 먹는 사람이 없었으면 좋겠고, 이 팥죽 한 그릇에 담긴 염원대로 누구나 다 건강하게 한 해를 보내고 맞았으면.. 그냥 그런 마음이었을 거다.


언제나 당신이 베풀 수 있는 한도 내에서는 무한히 베푸는 것이 사람의 도리라고 생각하신 분이기 때문이다. 그러니 여기에는 그 어떤 신앙과 믿음의 영역도 관여할 수 없는 부분 아니었을까? 언젠가 마루 기둥 끄트머리에 슬쩍, 팥죽을 바르고 있는 엄마를 보고 혼자 웃었던 적도 있었으니.



올해는 팥죽을 꼭 먹어야겠다


쓰다 보니 유태인들의 유월절 유래도 새삼 흥미롭다. 모세가 이집트에서 민중들을 이끌고 나올 때. 문설주에 어린양의 붉은 피가 발라져 있는 집들은, 재앙을 무사히 넘겼다고 한다. 이른바  ' pass over!', 붉은 기운이 어두움과 악을 상징하는 것들을 물리친다는 속설은 세상 어디에서나 유효함인가? 아무튼 엄마가 정성스럽게 끓여 이웃에게 고마움과 감사를 전한 그날의 팥죽에 담긴 마음에 더해, 올해는 몹시도 기운찬 주문을 한 번 담아보기로 한다.


코로나로 얼룩진 2020년을 살아내면서 우리는 누구랄 것도 없이 지쳤고, 속속들이 피폐해졌다. 사람과 사람의 연결성은 희미해졌으며 블루하고 글루미 한 기운만이 남아, 내일을 살 동력조차 자꾸 사그라들어감을 느낀다. 우리에겐 이 어둠을 물러가게 할 강력한 한 방이 필요해졌다.


당장 백신도, 치료약도 중요하지만 가난한 가운데도 더 나누려는 마음으로 풍요로웠던 기적의 그 시간을 적극적으로 소구 했으면 좋겠다. 하여 주저앉으려는 스스로를 일으켜 세울 수 있으면 더욱 좋겠고.


동지 팥죽에 담긴 소담한 기원으로, 지루하고도 끝이 보이지 않는 바이러스와의 싸움에 희미한 불빛이라도 비치기를 희망한다. 그저 팥죽 한 그릇이 아니라 불쑥 찾아온 불행을 반드시 씻어낼 수 있는 용기의 주문이어야 한다.


올해는 우리 모두의 간절한 마음이 각자의 신에 가닿기를 기도하며 '고수레'를 힘껏 외쳐보자.

그렇게 뜨끈한 팥죽 그릇씩 나누며, 속절도 없이 양산된  감정의 찌꺼기들을 비워내기로 하자.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