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스완 Aug 30. 2023

쌍둥이 임신은 36주가 헬이다

쌍둥이 임신이 위험한 이유



쌍둥이 임신은 36주가 헬(hell)이다. 대부분의 둥이 임산부들은 36주나 37주에 아기를 낳는다. 37주로 예정일이 잡힌 사람은 36주가 되면 진료실에 들어갈 때 이렇게 말한다.


“선생님, 저 수술 좀 빨리 해주시면 안 돼요? 죽을 것 같아요.”


나도 이 말이 목구멍까지 차올랐다.


30주부터 배가 부쩍 나오고는 있었지만, 36주에는 믿기지 않을 정도로 배가 부풀었다. 꼭 풍선에 머리와 팔다리만 달린 것 같았다.


한번 바닥에 앉으면 일어나는데 몇 번이나 마음의 준비를 해야했다. 이마저도 누군가 잡아주거나 막대기 같은 것으로 몸을 딛고 일어나지 않으면 불가능했다.


누우면 갈비뼈가 아파서 제대로 잠을 자지 못했다. 아기들이 왼쪽 오른쪽에 있어서 왼쪽으로 누우면 왼쪽 아기가 갈비뼈를 건드리고 오른쪽으로 누우면 오른쪽 아기가 갈비뼈를 건드렸다.


똑바로 누우면 숨이 쉬어지지 않아 어쩔 수 없이 옆으로 누울 수밖에 없었다.


자다가도 윽윽, 소리가 절로 났다.


36주차부터 달라진 건 수축여부였다. 아기들이 둘다 2킬로그램이 넘었을 때도 나는 거의 배뭉침을 느낀 적이 없었다. 자궁경부도 정상이었다. 그래서 임당인 것만 빼면 꽤 안정적으로 아기들을 품고 있었다.


그런데 36주에 들어선지 얼마 되지 않아 자다가 깰 정도로 배가 딱딱해졌다. 통증은 없었다. 몇 번 배뭉침을 느끼다 아무래도 이상해서 새벽4시에 일어나 2시간 동안 수축 시간을 쟀다.


배뭉침이 7-8분 간격으로 계속 있었다. 분만실에 전화하고 병원에 갔다.


교수님의 결정으로 나는 강제 입원 당했다.  당장 위험한 상황은 아니었지만, 쌍둥이는 막달에 양수가 터질 확률이 높고 내 경우는 첫째가 역아이기 때문에 아기가 발부터 나올 수 있어 위험하다고 했다.


쌍둥이 임산부가 왜 ’고위험군‘에 속하는지 실감하는 순간이었다.


그런 시간이 지나 어느덧 나는 내일 수술을 앞두고 있다.


마지막 hell의 한주를 보내고 37주 1일, 드디어 두 딸의 얼굴을 보게 된다.


아기 울음 소리를 들으면 나는 울까, 웃을까, 아니면 담담할까. 나는 나에 대해 잘 안다고 생각했는데 엄마가 된다고 생각하면 내 마음이 어떨지 가늠이 되지 않는다.


그래도 확실한 기쁨은 쌍둥이 임신이라는 길고 힘든 여정을 무사히 끝마쳤다는 것이다.
























이전 12화 내 맘대로 할 수 있는게 아무것도 없네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