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은 Jan 30. 2023

아이에게 본심은 필요없다.

본심이 왜곡될 수 있는 이유


아이를 키우다 보면 항상 드는 생각이 있다.


" 엄마 마음을 이리도 몰라?"


"엄마는 널 너무 사랑하니까 그래."


"엄마의 본심을 이렇게 몰라주니?"


이 세상에 아이를 사랑하지 않는 부모가 있을까?

혼내고 꾸짖고 호통치는 부모도

그 뒤엔 자식을 사랑하는 마음이

아이가 잘 못 클까 봐 걱정되는 마음이

한편에 자리 잡고 있다.









그런데 아이에게

본심은 중요하지 않다.

그건 어차피 엄마인 나는 알고 있으니까.

말하지 않아도 나는 아이를 향한 내 본심을 안다.


하지만 아이는 엄마의 본심은 잘 모른다.

단지 표현된 말투와 행동으로 엄마의 마음을 유추한다.

엄마의 화난 말투, 한심하게 쳐다보는 눈빛, 비꼬는 말, 거친 행동들...

이런 표현들로 아이는 속으로 생각한다.


'나는 뭐하나 잘하는 게 없어'


'나도 잘 하고 싶었는데...'


'엄만 날 사랑하지 않나?'


'이럴거면 날 낳지 말지...'


'내가 뭘 그리 잘못한 걸까?'


'내가 엄마 아빠만큼만 커봐'


이런 생각들이 자리잡으면 아이의 자존감이 더욱 떨어진다.

물론 엄마와의 신뢰도 깨진다.


아이들은 엄마의 본심보다 엄마의 마음 표현이 더 중요하다.





마음속으로야 조금 부족한게 보이더라도


"와~ 잘했네. 엄마는 그 나이때 이렇게 못했는데."


"엄마가 OO이 사랑하는 게 느껴져?"


"어떻게 하면 엄마가 OO이 사랑하는 걸 잘 느낄 수 있을까?"


"애썼네. 이만큼 하기도 힘들어 훌륭해."


"OO 이는 하면 뭐든 잘 할 거야. "


본심은 내가 잘 알고 있으니 아이가 엄마의 본심을 알 수 있도록

마음속에만 담아두지 말고 밖으로 꺼내어 마음껏 표현해 주도록 해야겠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