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임수정 Oct 08. 2022

어떤 희망은 위협이 된다

부정이 낳은 희망

슬픔에는 5단계가 있다고 한다. 부정, 분노, 협상, 우울, 수용이다. 아이의 알러지 진단을 처음 받은 순간부터 지금까지를 떠올려보면 이 슬픔의 5단계와 비슷한 심리상태를 거쳐온 것 같다. 


가장 위험한 단계는 '부정'이다. 처음 알러지 진단을 받으면 놀라고, 그 다음에는 '아닐지도 모르잖아...일시적인 걸지도 모르잖아...'하며 마음 속에서 은근히 이 사실을 부정해본다. 이 부정은 곧 희망이다. 알러지가 있다고 했지만, 이 정도는 아주 미량이니 괜찮지 않을까? 거짓말처럼 그새 나아져 있는 것은 아닐까? 하며 희망을 품는다. 그리고 이 희망은 해이함을 낳아 식품 성분표에 있는 '탈지분유'나 '난백분말'과 같은 우유, 계란 성분을 뜻하는 또 다른 단어들을 걸러내는 눈을 어둡게 만들고 기어코 아이가 아나필락시스를 또 겪게 만드는 빌미가 된다.


이사온 뒤 집 근처의 대학병원으로 전원하면서 그간 있었던 아나필락시스 이벤트들에 대한 히스토리를 쭉 정리해야 했다. 선생님은 "그런데, 아이가 알러지가 있다는걸 알면서 왜 자꾸 시도를 하는거죠?"라고 물으셨다. "시도한게 아니라 성분명에 있던 단어를 미처 못봐서 실수로 먹이거나, 문의했을 때 우유 성분이 없다고 했는데 들어있었다"고 대답했지만 결국 이런 실수와 상황을 낳은 것은 내 마음 속 깊은 곳의 부정, 그리고 위험한 희망에서 비롯된 해이함과 부주의함이었을 것이다.


"아이 알러지 수치가 크게 변화가 없어서 아마 성인이 되어서까지 계속될 수 있을 것 같다"는 말을 들었을 땐 하....정말 오장육부의 깊은 곳에서 탄식이 절로 나왔다. 하지만 그 말 덕분에 희망을 내려놓게 되고, 빠르게 수용에 이르게 된 것 같다. 아이가 평생 알러지와 함께 살아가야 한다면  "곧 없어질거야"라고 말해줄 것이 아니라 아이가 스스로를 지킬 수 있도록 좀 더 철저히 교육시켜야 할 것이다. 또 아이에게 알러지로부터 최대한 안전한 환경을 제공해줄 수 있도록 진학, 진로에도 여러 옵션을 검토해 보아야 할 것이다. 


언제 없어지나 하는 '기다림'에서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에 대한 '준비'로 초점이 옮겨가자 분노와 우울에 잠겨있던 내 안의 이성이 깨어났다. "왜 이런 일이 일어났나?", "누가 잘못했나?", "언제 끝나나?"라는 질문은 해결책을 찾아내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래서, 지금부터 어떻게 하면 되는가?"만 생각하려 한다. 




한때는 알러지 있는 아이들에게 너무나 무심한 우리나라와 사회에 대해 답답함과 분노를 느끼기도 했다. 큰 틀을 개인이 바꾸기는 어렵지만, 계란으로 바위를 치는 심정으로 내 아이의 접점이 되는 모든 사람들과 기관들에게 최선을 다해 아이의 알러지에 대해 소통한다. 혹시나 내 아이 같은 아이가 훗날 입학했을 때 그 사람들과 기관이 좀 더 편안하게 배려해줄 수 있었으면 하는 마음이다.


힘들 때마다 하나씩 써온 글들을 엮으려 하는 것은 나처럼 '부정' 단계에서 실수로 아이를 힘들게해 자책하고 있거나 '우울'의 단계에서 좀처럼 헤어나지 못하는 많은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을까 하는 마음이다. 희망을 찾는 것은 인간의 본능이니까. 이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을 찾아봅시다.


이전 10화 육체의 가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