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교관 Jun 19. 2024

어제의 하늘보다 오늘의 하늘이 10

253

253.


 [4일째 저녁]


 휴대전화에는 는개의 메시지가 다섯 개나 들어와 있었다. 는개는 마동의 집 근처에 있는 카페에서 기다리고 있으니 연락을 보면 와 달라는 것이었다. 는개의 메시지를 제외하고 모르는 번호로 4통의 부재전화가 와 있었다. 모르는 번호는 분명 형사일 거라고 생각했다. 마동은 두 편 동시 상영관에서 영화를 보고 집으로 오자마자 샤워를 했다. 영화 속의 사라 발렌샤 얀시엔은 마동을 또렷하게 쳐다보았다. 머릿속 사라 발렌샤 얀시엔의 얼굴은 지금 마동을 기다리고 있는 는개의 얼굴로 바뀌었다. 언젠가부터 사라 발렌샤 얀시엔의 얼굴은 는개의 얼굴로 자꾸 겹쳤다. 마동은 물을 세게 틀었다.


 샤워기의 물줄기가 유난히 차가웠다. 다시 한번 가서 영화를 봐야겠다. 는개를 만나고 나서 다시 한번 그곳에 가서 영화를 보면 는개의 얼굴로 바뀌는 사라 발렌샤 얀시엔이 무엇을 말하려고 하는지 알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녀가 화면 밖으로 뿜어내는 눈빛에 담긴 의미를 알고 싶었다. 그곳에 앉아서 그대로 한 번 더 영화를 보고 올 요량이었지만 안타깝게도 오늘의 마지막 상영이었다. 샤워기의 물줄기를 받으며 비누칠을 했다. 평소처럼 진지하고 꼼꼼하게 하지 않았다. 비누칠을 대충 하고 샤워기로 한 번 씻어낸 후 나왔다.


 샤워는 진중하고 진지하게 하는 것이 몸이 편안하고 상쾌한 기분이 오래간다. 비누칠도 몸의 구석구석 거품을 내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뽀드득하는 소리가 날 때까지 꼼꼼하게 씻어준다. 비누거품이 잔뜩 나오는 전용타월로 구석구석 씻어낸다. 물론 그러기 전에 땀을 흘리며 조깅을 한 시간 동안 하는 것이다. 그러면 하루 동안 쌓인 마음의 검은 때도 깨끗하게 씻겨 내려간다. 하지만 는개가 기다리고 있어 그러지 못했다. 회색 브이네크라인티셔츠와 두꺼운 카고바지를 입었다가 다시 여름용 체크면바지를 입었다. 티셔츠와 어울리지 않았다. 두 편 동시 상영하는 영화처럼.


 마동은 옷을 갈아입고 는개에게 전화를 했다. 세 번 울리고 그녀가 받았다.


 “어떻게 된 거예요? 무슨 일이 있는 거예요?”


 “무슨 일이야 늘 있지. 그렇게 됐어. 지금 갈 테니까 조금만 더 기다려줘.”


 “여자를 너무 오래 기다리게 하는 거 아니에요? 저 점심도 굶었고 배가 너무 고파요. 이미 지쳤다구요.”


 수화기너머로 는개의 표정이 들렸다. 표정은 잔상처럼 한동안 마동을 따라다녔다. 는개는 퇴근해서 마동의 집 근처 카페에서 두 시간 넘게 기다리고 있었다. 마동은 카페의 문을 열고 들어갔다. 는개가 기다리고 있는 카페는 모던타임스라는 오래전 유행했던 이름의 카페다. 요즘 흘러넘치는 세련된 카페에 견줄 바는 못 되는 카페지만 이곳도 오로지 커피의 맛으로 아직까지 살아남은 작은 로컬카페였다. 마동은 이곳에서도 몇 번 커피를 홀로 마셨다. 커피는 인스턴트커피를 사용하지 않고 더치커피를 내주었다. 모던타임스의 주인은 나라별로 다른 더치커피를 손님에게 소개하고 내려주었다. 과테말라, 케냐 AA, 브라질 산토스, 콜롬비아 메델린의 달콤한 향기와 약간의 신맛이 특징이라 이곳을 찾는 단골들이 많아진 카페였다.


 마동은 이곳에도 설마 하며 메뉴판을 보니 역시 비싸지만 주인은 찾는 사람에게 코피루왁을 판매했다. 대부분의 카페에서 코피루왁을 팔고 있다. 그렇게 구하기 힘들다는 커피가 한국의 한 도시에 있는 여러 작은 카페에서는 넘쳐나고 있었다. 한국은 정말 없는 게 없는 나라다. 귀하다는 코피루왁이 이렇게 판매가 왕성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보니 사육으로 인한 판매가 만연하고 있다고 믿을 수밖에 없었다. 사향고양이들의 고통을 마동은 잠시 느꼈다. 그렇게 좋아하던 커피에 거부감이 들었다.


 모던타임스라는 이름은 카페의 주인이 모던타임스를 좋아해서 만들어진 카페였다. 카페 안은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하게 원목의 느낌이 강하게 들었다. 벽면은 붉은 벽돌로 인테리어가 되어 있었고 한쪽 벽면에는 천장에 붙은 작은 영사기가 돌아가며 영화 모던타임스가 반복되고 있었다. 영화 모던타임스는 채플린이 노래를 부르는 장면을 제외하고 무성영화의 성격을 띠기 때문에 그냥 눈으로만 영화를 봐도 찰리채플린의 처절한 코미디를 볼 수 있었다.


 는개는 커피 잔을 두고 모던타임스가 상영되고 있는 홀 가운데 테이블에 앉아서 책에 시선을 고정하고 있었다. 카페 안에는 러시안 레드의 ‘i hate you but i love you’가 물수제비처럼 퍼지고 있었다. 러시안 레드의 노래 대부분이 노래 속 이야기가 느껴졌다. 어떤 사연이나 풍경 등, 자신이 겪은 일들이 일일이 가사로 풀어내고 음을 만들어 노래로 부르고 있었다. 그렇게 하기란 만만찮은 일이다. 그런 식으로 노래를 부르는 싱어 송 라이터들은 가수의 수명이 길 수밖에 없다. 러시안 레드의 신비스러운 목소리와 노래는 욘시의 분위기와도 흡사했다. 물론 마동만의 생각이었다.


[계속]

이전 15화 어제의 하늘보다 오늘의 하늘이 9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