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6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사람들은 보고 싶은 것만 본다  

by 광자 Oct 29. 2020

0. 우리는 보고싶은 것을 본다


여러분은 어떤 류의 사람인가요.


자신이 본 것을 믿는 사람인가요 아니면, 자신이 믿는 것을 보는 사람인가요.


저는 제 자신이 전자라고 생각했습니다, 왜냐면 저는 경험을 엄청 중시하거든요. 그리고 제 자신이 직접 그 상황에서 느꼈던 그 감정과 느낌이 아무런 이유없이 들었던 것이 아니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제 느낌이 틀릴 때도 있더라구요. 아니, 생각보다 많더라구요. 내 느낌이 정확하다고 생각했는데, 알고 보니 아닌 경우 꽤 있었고 그럴 때 저는 '아 내가 보고 싶은 것만 봤구나'라는 생각을 했어요.


오늘 이야기해볼 원펀맨 속에 등장하는 대중들도 이렇습니다. 진실이 아닌, 자신들이 보고 싶은 것만 보죠. 도대체 사람들은 왜 보고 싶은 것만 보며 현실을 왜곡하는 걸까요. 이유는 이렇습니다.



출처 : YES 24출처 : YES 24

1. 사람들은 대머리 히어로를 인정하지 않는다


사이타마는 취미로 히어로를 하는 사람입니다. 민머리의 복장도 희한한 이 남자는 누가 봐도 삼류 히어로 입니다. 솔직히 히어로라는 단어를 붙이기도 싫어요, 왜냐면 히어로 하면 아이언맨처럼 화려하거나 캡틴 아메리카같은 그런 근육미가 있어 줘야 하잖아요. 히어로가 대머리라니 뭔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니 인정 못 합니다.


하지만  이 민머리 히어로, 정말 엄-청 강합니다. 강하다는 수식어가 빈약하게 느껴질 정도로 어마어마한 게, 진심으로 주먹을 날리면 지형이 바뀝니다. 그것뿐이 아니에요. 구름이 갈라져서 지구 밖에서도 그 모습이 보여요. 다른 A급 히어로들이 쩔쩔매던 것들을 톡 하고 처리할 만큼 말도 안 되게 강한 사이타마지만, 사람들은 그를 인정하지 않습니다. 자신들이 동경하던 히어로의 모습과 거리가 멀기 때문입니다.


무면허 라이더 출처 : 더위키무면허 라이더 출처 : 더위키


2. 자신의 믿음을 지키는 것이 더 중요했던 사람들


사람들이 원하는 건 실패 속에서도 딛고 일어나는, 힘들지만 그 힘듦을 이겨내는 그런 역경 속 용사와 같은 히어로였던 겁니다. 아니면 아예 멋있고 잘생기거나요. 하지만 사이타마는 이 두 스타일 중 아무것에도 속하지 않는 타입이었죠. 그래서 사람들은 사이타마를 인정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눈앞에서 사이타마의 힘을 확인했음에도 불구하고 믿지 않습니다.


한 번은 인어 괴물이 사람들을 위협한 적이 있습니다. 괴물이 너무 강해서 히어로들이 감당을 못합니다, 이때 무면허 라이더라는 히어로가 끝까지 노력은 해보는데요, 그냥 계속 맞기만 합니다. 대응을 못 해요. 무면허 라이더가 거의 죽어갈 때쯤, 사이타마가 등장해 딱 주먹 한 방에 괴물을 죽입니다. 사람들은 이 모습을 두 눈으로 다 봐요. 사이타마가 한 방에 괴물을 죽이는 모습을요. 하지만 믿지 않습니다, 사이타마의 힘을 인정해버리면 자신들의 히어로에 관한 인식이 무너져내리니깐요.


오히려 사람들은 무면허 라이더가 다 헤치우고 사이타마가 마지막 공격만 한 거다, 비겁하다고 말합니다. 아마 마음속 깊은 곳에서는 알고 있었겠죠. 자신들이 믿음이 거짓되었다는 것을. 하지만 이 사람들에게 그런 것은 중요한 게 아닙니다, 자신들이 믿고 싶은 것을 지키는 것이 이들에게는 더 중요한 일이니깐요.


출처 : YES 24출처 : YES 24

3. 백설 공주 살인사건


믿고 싶은 것만 보는 사례는 또 있습니다, 바로 고백으로도 유명한 미나토 가나에의 소설 [백설 공주 살인사건] 안에서 등장하는 사례입니다.


어느 날 미모의 화장품 회사 여직원이 토막살인을 당하는 사건이 벌어집니다. 사람들은 그 여직원을 시기 질투한 동료 여직원을 범인으로 의심합니다. 한 남자 직원을 두고 삼각관계였다는 이야기와 / 미모의 여직원에게 콤외모 콤플렉스를 느꼈다는 점을 근거로 한 언론사는 범인으로 의심되는 여직원의 주변 인물들을 만나 인터뷰를 해나갑니다.


사람들 인식이 참 무서운 게, 범인으로 단정하고 다들 인터뷰를 해나가니 인터뷰마다 '그러고 보니깐 사실- ' '사실은 저도 이런 점이 꺼림직했는데요-'라며 자신들의 추리들이 사실인 양 쏟아냅니다. 결과적으로는 범인은 따로 있었어요, 하지만 이 소설에서 중요한 것은 그것이 아닙니다. 사람들은 자신들이 믿고 싶은 것을 사실로 생각하며, 실제로 그 여자가 범인이냐 아니냐는 애당초 관심이 없었습니다.

그저 사람들은 자신들의 호기심에 대한 답, 애매한 감정들을 묵혀두기 싫었고 확정 짓고 싶었을 뿐인 거의였죠.


출처 : 브런치, OPENISLAND출처 : 브런치, OPENISLAND

4. 마무리 : 스스로 계속 점검해보기

만약 사이타마가 사람들은 가만 앉혀두고 '자 여러분 잘 봐요 이게 제힘입니다.'하고 제대로 힘을 보여준다면 어떨까요. 아마 큰 변화는 없을 겁니다, 일단 사람들이 모이지 않을 거예요. 사람들은 흥미가 없거나 자신이 바뀌어야 한다는 필요성을 느끼지 않으면 행동하지 않으니깐요.


사람은 쉽게 변하지 않는다는 말이 이 때문인 것 같습니다, 내 믿음 체계를 바꾸고 싶지 않고 그것을 바꾸기 위해 너무나 많은 수고를 들여야 하는데 그러고 싶지 않은 거죠.


때때로 스스로 질문을 던져야겠습니다. 나 또한 원펀맨 안의 대중들처럼 내가 보고 싶은 것만 보고 있지는 않은지, 내 생각 안에 갇혀서 세상을 해석하고 있지는 않은지 하구요.



이전 09화 보루토에는 없지만 반요 야샤히메에는 있는 것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