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준구 Oct 19. 2021

'조정래'라는 커다란 산맥

재미나게 수다스러운 이야기꾼

조정래 작가의 문학을 처음 접한 것은 ‘아리랑’에서부터 시작한다.

‘태백산맥’의 유명세가 너무 높아서 당연히 그 작품부터 읽어가는 것이 바람직했을지 몰라도 나는 이미 나와 있는 장편보다 한 권씩 나오기 시작한 ‘아리랑’에 더 관심이 갔다. 1권을 사서 읽어나가는데 마력같이 빨려 드는 속도감에 자뭇 놀랐다. 등장인물들의 매력에 반하고 시대와 상황에 녹아들어 갔다. 책의 말미에 이르면 다음 권은 언제쯤이나 나올까? 하는 기대와 설렘이 일었다. 연애할 때 다음 만남을 상상하는 것 같은.

그러다가 다음 권이 출간되면 이내 서점에 가서 기분 좋게 돈을 썼다. 새책 냄새를 맡으며 나 나름의 상상을 전개해보는 것은 여간한 즐거움이 아닐 수 없었다.


‘아리랑’의 전권을 읽어 나가며 장편이 주는 긴 호흡과 구성의 매력에 빠져들었다. 다음 작품인 ‘한강’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져 나갔고 이내 ‘태백산맥’을 탐독하기 시작했다. 그가 창조해낸 극 중 인물들의 다양함에 경탄하며 때때로 양념처럼 삽입되는 찐한 사랑의 생생한 묘사에 침이 마르기도 했다. 진지함 속에서도 해학과 쉼이 있는 구성이었다. ‘정글만리’를 마지막으로 조정래의 작품은 한동안 내게서 멀어졌다.

다양한 작가의 작품을 읽어야 하는데 나의 시선이 한 사람의 문학에만 편중하는 것은 아닌지 하는 어설픈 염려에서였다.     


어쨌든 장편 문학의 깊은 맛을 일깨워준 거목을 만났다는 것 자체가 내게 큰 감동과 기쁨이었다.

도봉정보문화도서관의 개관 20주년을 축하하는 자리에서 80의 노구에 이른 조정래 작가의 강연을 들었다.

코로나 시기라 몇 자리가 안 되는 좌석에 초대된 사람들도 행운이지만 나는 촬영자의 입장으로 참석했으니 더한 영광이 아닐 수 없었다. 스스로를 글 감옥에 잡아넣고 하루하루 성실하게 읽고 쓰고 기록하고 성찰하는 것을 쉬지 않는 것이 건강을 유지하는 비결이라고 했다. 시간을 낭비하지 말아야 하고 실지로 그렇게 살아가는 그의 모습 자체에 고개가 숙여졌다.


한반도에 태어나서 우리의 현실을 외면하고 역사의 책무를 저버리고 타협했던 과거 문인들의 모습을 언급했다. 역사 앞에서 정직한 사명을 다하는 작가이고자 ‘태백산맥’의 집필을 시작했다고 했다. 남한도 북한도 자신의 정권을 유지하기 위해 한반도의 역사를 왜곡하고 부분적으로 수용해서 확대하는 것에 대해 경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태백산맥’을 마치고 바로 아리랑의 취재에 들어가서 한반도의 구석구석과 유라시아와 미국에 이르기까지 그의 사전조사는 성실함과 책임의식에 입각한 소명과 같아 보였다.

배고픔과 허리띠를 졸라맨 저임금에도 불구하고 이를 묵묵히 견뎌낸 시민들이 오늘의 대한민국을 만들어낸 주역이란 사실을 간과하지 말라고도 했다. 우리는 충분히 복지국가의 혜택을 받을 만한 나라인 것을 잊지 말라는 당부도 잊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극복하지 못하는 과도한 경쟁과 저출산과 노인의 가난 부동산 등의 문제는 정치의 개역으로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다는 것, 대의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대표자들을 현명하게 분별해서 책임 있게 선택하고 주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가 시민단체를 지원하고 그를 통해 감시하고 환경문제에 관심을 갖는 것의 중요성 등을 언급했다.      

간간히 박수를 쳐야 할 타이밍을 알려주고 사회자의 질문과 리드가 아니어도 혼자서 잘 떠들어대는 그의 모습은 글에서만 이야기 꾼이 아니라 실상에서도 풍류와 해학이 있는 수다쟁이라는 사실을 알려준다.

두 시간의 강연이 어떻게 흘렀는지 홀리듯 그의 강연에 경청하며 촬영에 임했다.      

사람들이 가져온 책에 사인을 해주고 함께 사진을 찍는 해맑은 그의 모습에서 팔순이라는 나이는 그냥 숫자에 불과한 것 같았다. 나도 갑잡스레 팬심이 발동해서 선생님께 사인을 요청하고 사진도 찍었다.


“책을 한 권씩 사서 읽었고, 다음 권이 나오기만 기다릴 때는 정말 행복했습니다.

건강하시고 좋은 작품 또 보여주세요. 선생님!”


사인을 하시는 동안 나는 수줍은 아이처럼 용기 내어 마음을 고백했고

선생님의 얼굴엔 어느새 둥근달 같은 미소가 피어났다.

      

선생님의 미소와 사인



문학을 하는 후배들에게 1인칭 소설이 아닌 3인칭의 글을 쓰라고 당부하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3인칭의 글을 찾아볼 수가 없음을 안타까워하셨다.

1인칭과 3인칭의 차이는 그냥 단순한 간극이 아닌 것이다.   

   

여전히 청년 같은 팔순의 노 작가에게서 깊은 혜안과 절절한 삶의 교훈을 얻었다.

나의 나태함이 부끄러웠고 새삼스런 결단 같은 것도 해보았다.


누군가 통일에 대한 견해를 묻는 질문을 던졌고, 일본 작가 하루끼에 대한 평가를 묻기도 했다.

인상적이고 깊은 통찰이 엿보이는 답변을 남기셨다.


궁금하시다면 링크된 강연을 보시는 게 어떨까 한다.

나의 기억엔 한계가 있고 그의 음성은 여전히 힘이 실려있으니 말이다.  




youtu.be/HiGojL5s2GY




이전 06화 까레이스키 끝없는 방랑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