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꾸준함과 거리가 먼 사람이었다
나는 꾸준함과 거리가 먼 사람이었다. 끈기도 없었고, 무엇이든 오래 지속하지 못했다. 성격이 급해서 뭐든지 결과가 빨리빨리 나오길 바랬다. 아르바이트에 지원했을 때도, 대학 입시를 할 때도, 자격증 시험을 봤을 때도. 바로 다음 날 결과가 나왔으면 좋겠다고 생각한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 결과(변화)가 빨리 나타나지 않는데도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하는 건 세상에서 제일 어려운 일이었다.
그런 내가 운동을 꾸준히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벼랑 끝에 선 것 같았기' 때문이다. 나는 운동을 시작하기 전 내 몸이 얼마나 안 좋은지 깨달았다. 우연히 인바디를 잴 기회가 있었는데, 체지방률은 표준 이상으로 나오고 근골격근량은 표준 이하로 나온 것이다. 특히 근골격근량은 너무 적어 거의 표시가 있는 둥 마는 둥했다. 평소 공부하랴 뭐하랴 바쁘다는 핑계로 운동은 전혀 하지 않고 살았다. 그러니 몸에 근육이 있을 리가 없었지만, 그 인바디 결과는 나에게 상당히 큰 충격으로 다가왔다. 아직도 그 인바디를 쟀을 때가 생생하게 떠오르니 말이다.
그때 나는 당장 운동이 필요하다는 걸 뼈저리게 느꼈다. 발등에 불이 떨어진 것 같았다. 절로 마음이 조급해지고 발을 동동 구르게 됐다. '이대론 정말 안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운동을 시작하게 된 거다. 이렇게 운동을 안 하고 있다간 정말 내 몸이 어떻게 안 좋아질지 모른다는 생각 때문에.
그게 운동을 꾸준히 할 수 있었던 근본적인 이유이고, 비결은 따로 있다. 아주 간단하다. 첫 번째는 타이머를 사용하는 것이다. 휴대폰으로 30분이나 40분 정도 타이머를 맞춰놓고, 운동을 시작한다. 이때 실제로 운동하는 시간보다 적게 시간을 맞춰서도 안 되고, 너무 넉넉하게 시간을 맞춰놔도 안 된다. 너무 적게 시간을 맞추면 마음이 조급해져 틀린 자세로 운동하거나 대충하게 된다. 너무 넉넉하게 시간을 맞추면 세월아 네월아 운동하게 된다. 실제 운동하는 시간보다 조금 여유롭게 맞춰놓는 것이 좋다.
어차피 운동하면서 휴대폰을 볼 수 없으니 타이머를 맞춰놓고 시간 안에 끝내기로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나는 운동하는 시간보다 중간중간 쉬는 시간이 많은 것 같고, 너무 천천히 운동하는 것 같아 타이머를 맞춰놓고 운동하기 시작했다. 그러니까 훨씬 빠르고 집중해서 운동을 할 수 있었다. 타이머가 울리기 전에 운동을 다 해야 한다는 압박감은 살짝 있었지만 오히려 그 압박감 덕분에 효과를 봤다.
두 번째로 매일 얼마나 운동했는지 체크하는 것이다. 노트에다가도 적어보고, 달력에다가도 표시해보는 등 시도를 많이 헀지만 내 개인적으로는 휴대폰 메모장이 제일 보기 편한 것 같아 휴대폰 메모장에 남겨두었다. 오늘 날짜를 쓰고, 체크리스트 형식으로 오늘 운동량을 적는다. 그리고 운동을 다 한 후 체크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매일 내가 얼만큼 운동을 했는지 한 눈에 다 보여서 뿌듯하다. 매일 운동을 얼만큼 했는지 보이니까 미룰 수도 없다. 힘들다는 핑계로 운동을 적게 한 날에는 "이 날은 평소보다 운동을 적게 했네? 피곤하거나 힘들어서 그런 거겠지만 체크란이 비어있는 걸 보니까 기분이 안 좋다. 앞으로는 피곤해도 정해진 양을 다 하는 습관을 들이자!"라며 반성하기도 한다.
그 당시 내가 기록했던 방법. 이런 식으로 매일 얼만큼 운동을 했는지 체크를 했다.
운동을 시작하고 몇 달간은 이 체크리스트 방법을 썼다. 아직 운동하는 게 습관이 안 됐으니까. 기록해야 꾸준히 하는 습관을 들일 수 있다고 생각했다. 지금은 매일 운동하는 게 습관이 되었으므로 기록하지 않지만 운동을 시작한 지 얼마 안 됐을 때는 기록하는 걸 추천한다. 내가 언제 얼만큼 운동을 했는지, 무슨 운동을 했는지 기록하는 것도 있지만 처음에는 성취감을 느끼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운동을 많이, 오래 하지 않아도 기록을 함으로써 매일 꾸준히 하는 게 눈에 보이면 뿌듯해지고 더 운동을 할 의지가 생기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