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겨울꽃 Oct 21. 2023

말과 하나가 된다는 것. 1

승마의 진정한 매력

  80번 남짓 말을 타면서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이 두 번 있었다.     


  승마는 평보, 속보, 구보의 순서로 배우게 되는데 ‘평보’는 ‘말이 걷는다’라고 생각하면 된다. 승마 체험을 하게 되면 대부분 평보를 기본으로 한다. 엉덩이가 통통 튕기며 아팠던 추억이 있다면 그것은 속보이다.  

    

  속보는 살짝 달리는 정도인데 말이 달리기 시작하면 안장에 앉아있는 사람은 의지와 상관없이 몸이 들썩인다. 이렇게 계속 부딪히면 사람이든 말이든 불편할 수밖에 없다. 잠깐의 체험에서는 필요 없겠지만 승마를 정식으로 배우게 되면 경속보, 좌속보를 배우게 된다. 경속보는 말의 반동에 따라 사람이 섰다 앉았다 하는 방법이고 좌속보는 안장에 앉은 상태로 반동에 따라 몸을 자연스럽게 움직이는 것인데 엉덩이가 뜨지 않는 게 좋다.      


  엉덩이를 안장에 붙이는 일은 어렵다. 그래서였는지는 모르겠지만 대부분의 승마장에서는 경속보만 가르쳤다. 경속보도 리듬을 잘 맞춰 일어나야 하는 것이기에 쉬운 것은 아니었다. 말의 등이 사람의 엉덩이를 밀어 올리는 순간에 자연스럽게 일어났다 앉아야 한다. 이 박자가 맞는 순간은 말과 한 몸이 되는 희열을 느낄 수가 있다. 하나의 음도 어긋나지 않는 완벽한 음악 같다고 해야 할까?     


  경속보를 하면서 가장 완벽했던 순간은 딱 한 번 있었다. 내가 탔던 말은 얼굴에 하얀 다이아몬드 무늬가 박혀 있었고 몸 대부분이 부드러운 카페라테처럼 연한 갈색이었다. 귀는 쫑긋 서 있었으며 갈기가 부드럽게 휘날리던 순간이었다.      


  말이 움직이는 것에 따라 나의 몸이 부드럽게 조화를 이루며 앉았다 일어났다를 반복하고 있었다. 말의 움직임과 내 동작이 하나가 되자, 어떤 어긋남도 느껴지지 않는 완벽한 순간을 느낄 수 있었다. 나의 의지로 움직이고 있으나, 말로 설명할 수 없는 이끌림에 의해 자연스럽게 반응하고 있는 기분이랄까. 그때 들렸던 말의 숨소리와 말을 향해 내가 했던 말까지 생생하게 기억난다. 


  나는 말에게 이야기했다. “고마워. 고마워. 너도 느끼고 있니?” 


  이런 경속보가 그때 한 번이었다는 사실이 슬프기는 하지만, 한 번이라도 있었다는 사실이 고맙기도 하다.     

  이때부터 승마의 진정한 매력을 느끼기 시작했다.      


이전 05화 말뽕 맞은 사람들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