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연금술 스토리텔러 Oct 17. 2022

파도야! 나는 네가 쓰는 글자의 뜻을 알고 싶어

"이제 너의 길을 가라!"

카보 다 로카(CABO DA ROCA)


파도야! 나는 네가 쓰는 글자의 뜻을 알고 싶어

한국으로 돌아가기 전에 한번 더 카보 다 로까(CABO DA ROCA)에 들렀다. 10일 전에 충분히 머물지 못한 아쉬움이 있었기 때문이다. 다시 온 것을 환영이라도 해주려는 듯이 바람은 그날만큼 강하게 불지는 않았다. "하하 호호" 함께 하는 이들이 없어 약간 고즈넉하게 느껴졌다. 


십자가 탑이 있는 곳까지 갔다가 울타리를 넘어서 바다 길을 따라 아래쪽으로 걸었다. 대서양의 웅장하고 장엄한 기운이 세포 곳곳을 일깨우는 듯 정신이 맑아지기 시작했다. 


“파도야~ 네가 무슨 말을 하는지 나는 알고 싶어. 내가 들을 수 있도록 말해줄래?"


걸음을 멈추고 한참 동안 바다를 바라보았다. 언제나 그렇듯이 “여기 땅이 끝나고 바다가 시작되는 곳”이라는 말은 내 심장을 두드린다. 


나는 왜 이토록 이곳이 나를 각성시키는지 그 이유가 궁금했다.  파도가 쏴아아~~~! 쏴아아~~~! 소리를 내며 다가왔다가 사라지더니 또 언제 부서졌냐는 듯이 다시 손을 잡고 다가온다. 마치 "우리 집에 왜 왔니 왜 왔니 왜 왔니" 어린 시절 아이들과 손잡고 부르던 소리가 귓가에 들리는 듯했다. 


'그러게 나는 왜 또 이곳에 왔을까.' 파도는 먼 길을 달려와 땅에 닿으면서 부서지고 만다. 휘몰아쳐 오더라도 땅과 만나면 여지없이 부서지고 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도는 멈추는 법이 없다. 


파도의 사명은 정녕 부서지기 위한 것일까. 그렇게 허무한 일을 왜 저렇게 매일 바보처럼 하는 것일까. 


그러다 알게 되었다. 파도가 몰려오는 것은 지구에 살고 있는 인간을 각성시키기 위한 것이라는 것을. 그것은 우리들에게 스스로 정한 한계선을 넘어와 보라는 초청의 손짓이라는 것을. 그리고 그 신호를 알아들을 때까지 계속 보내고 있고 보낼 것이라는 것을. 



서유럽의 땅 끝 (Cabo da Roca)에서 질문하다 

나는 언제부터인가 누구에게나 운명적으로 꼭 들러야 하는 장소가 따로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곳에 가면 장소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진동과 개인의 고유한 진동이 만나 영혼의 소리를 들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만약 누군가 들을 수만 있다면 운명이 바뀔 수도 있다고 생각하기 시작했다. 


나는 2016년 6월 6일에 이곳에서 질문했다.
“제가 어떻게 살면 될까요” “저는 무엇이 되어야 될까요" 
 
더 솔직히 말하면 내가 어떻게 하면 성공할 수 있나요?라는 질문이었고
그 비법을 알려달라고 한 것이었다. 



그때, 바다에 떠 있는 특이한 모양의 파도가 눈에 들어왔다. 검붉은 청색 물감 위에 하얀 붓으로 글씨를 쓰는 것처럼 보였는데 그것은 어떤 글자처럼 보이기도 했고 암호로 보이기도 했다. 나는 끌리듯이 따라갔다. 그리고 그 뜻이 궁금했다. 간절히 알고 싶어서 감응력을 구했다. 그리고 들을 수 있었다. 


"해주야! 이제 너만의 길을 걸어라. 
다른 이에게 너를 증명하려 말고, 
다른 이의 길을 좇아가지 말고, 
이제는 너만의 길을 걸어라!” 


난 숨이 멎는 것 같았다.
타인의 욕망을 욕망하는 그 어리석다 생각한 모양새를 내가 취하고 있었다. 
어쩌자고; 나는 또 나를 지우고 남들을 따라가려고 했단 말인가;


이전 07화 예상치 못한 인연을 만나다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