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금 나와라, 뚝딱!(2)

금린이의 5개월 투자일지

by 카르멘 Jan 10. 2025
아래로

재알못.

재테크를 1도 모르는 사람.

금린이.

금투자를 이제 막 시작한 사람.

2024년의 나. 로부터 2025년 한 뼘 성장하기 위해

5개월의 금투자 일지를 돌아봤다.

수익률을 보니 오르락 내리락이 있었지만, 그래도 작년 금값의 상승세에 수익률을 봤다.

문제는, 올해! 어떻게 바라보고 투자하는 게 좋을까?

겸사겸사 금 나와라, 뚝딱(1)에 이어 (2) 편을 정리해 봤다. 나와 같이 올 한 해 재테크 공부 좀 해보자는 많은 분들이 계실 테니 도움이 되길 바라며.

https://brunch.co.kr/@drishiti/132



2024~2025년 금의 향방


00. 금시세의 기본 원리

 -  금은 대표적 안전자산이다. '안전하고자 하는 욕구'를 반영한 자산이란 말.

-  때문에, 금값은 불안요소가 늘 때 오른다.

-  불안요소란 물가상승 압력,  금리인하 전망, 세계 경제 및 지정학적 변수의 증가다.

- 반면 금은 다른 자산투자재의 대체제다. '다른 자산투자재에 대한 반작용'이 적용된 자산이란 말. 금리는 이자가 없는 자산이기 때문에 이자가 붙는 자산의 매력도에 따라 시세에 영향을 받는다.  경제성장에 영향을 받는 주식도 마찬가지.(경제성장전망치, 고용전망 지표가 중요한 이유)

- 미국의 경우 미국의 국채금리가 오르면 이자가 없는 금의 투자 매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따라서 미 국채 금리와 금값은 반대다.


01. 2025년 전망

- 미국 투자은행 골드만 삭스에 따르면,  2025년 1월 6일 연말 금값 전망치를 2910달러로 하향 수정.  3천 달러 도달은 2026년 말로 미룸.

(2024년 11월엔 2025년 말까지 온스(31.1g) 당 3천 달러 도달 전망을 예측했었다)


02. 금시세 소폭 하향 수정이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기준금리 인하 속도 (생각보다 늦추기로) 조절, 금 기반 상장지수펀드(ETF) 자금 유입 감소

- 미 국채 10년물 수익률이 8개월 만에 최고 수준.


03. 금시세 장기적 관점

- 투기는 줄었지만 중앙은행들의 금 매수세는 여전히 강세.

- 뉴욕 월가의 애널리스트들은 작년보다는 떨어지지만 올해 국제 금값도 느린 속도로 계속 상승 전망

- 세계금위원회(WGC)도 올해 금값 전망에 대해 상승, 그러나 지난해보다는 상승폭 완만할 것 예측


04. 2024년 금값 상승 이유

- 우크라이나/ 중동 전쟁, 슈퍼 선거의 해 등 변수가 높아 연간 27% 급등

- 중국, 인도, 튀르키예 등 세계 중앙은행의 금 매수세 높음


05. 2025년 금값 변동요인

- 금시세 하락 요인 : 트럼프플레이션(트럼프+인플레이션) _관세 확대, 재정확, 이민장벽 정책 등으로 미국 내 물가 상승압력 증가, 물가상승 압력=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속도 둔화=금값 상승세 하락

-금시세 상승 요인 : 중국 및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긴장, 미국 달러약세와 물가상승 압력(안전자산 추구)

* 결국, 미국의 물가상승은 금값의 상승과 하락에 동시에 영향을 준다고 봐야 할까? 어느 편에 더 무게를 줄지가 관건!


06. 미국경제가 세계 각국 통화정책(환율 등)에 주는 영향

-미국이 중국 등에 관세를 높게 부과하면 한국의 중간재 수출도 감소. 반면 한국의 수출제품에 대한 반사이익 기대 가능.

-자동차, 반도체 산업 등이 큰 타격. 미국이 전기차 보조금 축소 등 가동하면 미국 시장 점유율이 높은 한국자동차 전략 차질 발생. 한국 반도체 기업의 미국 내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 위협.

- 세계 각국 주둔 미군 분담금 인상 요구 또는 철군은 지정학적 위기 높임. 이로 인한 국제유가상승은 한국에 물가요인으로 작용.

- 트럼프 1기 때 세금을 깎아주고 지출을 늘려 미국채 발행 늘고 금리 상승.


<금시세 변동(상승) 요인 정리>


1. 세계 경제의 불안정성

금은 불확실한 경제 환경에서 안전 자산. 미국의 금리 인상, 중국과 러시아의 경제 불확실성,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긴장 등.

위기 상황에서는 사람들은 자산을 위험한 주식이나 부동산에서 금과 같은 안전 자산으로 옮겨 놓으려는 경향.


2. 물가상승 압력

물가 상승에 대한 불안은 금에 대한 수요를 증가.  금은 오랜 세월 동안 가치 저장 수단으로 여겨졌기 때문.


3. 달러가치 약화

금값은 일반적으로 달러와 반대 방향. 즉, 달러 가치가 약해지면 금값은 상승하는 경향.  달러 약세와 함께 금의 수요가 늘면, 금값은 상승.


하지만 금 역시 투자의 관점에서 손절매 및 이익 실현 구간을 미리 설정해 둘 것!


이전 12화 뼛속까지 문과지만, 반도체 인류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