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LOT Sep 06. 2024

누구는 이렇게 쓴다.

글 쓰는 방법

글이 작품이 되려면 무엇을 배워야 할까요? 여러 작가들이 이렇게 글을 쓰는지 알아보기 위해 책들을 뒤적여봅니다. 다양한 글 쓰는 방식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도움 되는 부분도 있지만 그 방법은 저만의 방법이 아니었습니다. 특별한 기술이 있을 거라 기대하지만 사실 없죠. 테크닉에 목매다는 건 쉽게 터득하고 싶은 마음에서 오는 걸까요?


어떤 걸 하거나 하지 않는 것이 큰 차이를 만들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짧은 선이 멀리 서는 보이지 않는 것처럼요. 이런 상황에서 '이걸 버텨야 한다.' '그냥 해야 된다.'라는 말은 약을 남용하는 것과 비슷해 보여요. 감기약을 과다 복용하고 오히려 더 아프게 되는 거죠. 결국, 해내는 사람들은 소수인데, 그나저나 그들도 크게 달라지는 건 없다고 하더군요. 


그렇다면 뭘 위해서 써야 할까요? 어떤 글을 써야 할지, 어떤 스타일이 좋을지 솔직히 잘 모르겠습니다. 생각을 적어 내려 가지만, 그걸로 충분하지 않다고 하더군요. 더 잘 쓰려면 독자를 이해해야 한다고 하지만, 실제로 누가 읽을지 어떤 사람들이 좋아할지 알기 어렵습니다. 


마음속은 항상 시작부터 결론으로 곧장 가 있습니다. 설명하기보다 독자가 결론을 내릴 수 있게 하라는 조언도 있습니다. 글은 보여줘야 하고, 스스로 판단 내리지도 않게 하는 거라고요. 그런 글을 쓸 수 있을까요? 어떤 결론을 가지고 글을 쓰다 보면 모든 게 말이 되어야만 할 것 같아요. 고치다 보면 점점 더 어색해지더군요. 


그래도 할 말은 다하는 타입이죠. 쓰다 보면 결론은 다 죽더라고요. 뭐든 다 죽여버려야 끝장이 나다고 할까요? 영화나 책만 보면, 주인공이고 서브고 다 죽는 이유를 글 쓰니까 알겠더라고요. 특별한 줄거리가 떠오르지 않을 때, 극한으로 몰아야만 독자들이 읽을 거라 생각했을지 몰라요. 아직 더 다양한 상상이 되지 않는 저는 곧장 모든 걸 다 죽이거나, 부숴버립니다. 


이런 것도 제 스타일이 될 수 있을까요? 저는 불편한 것도 많고, 싫은 것도 많습니다. 내색하지 않으려 하지만 글을 쓰다 보면 자꾸 튀어나오더군요. 저는 이렇게 씁니다. '누구는'이라는 함정에 빠지면 나를 잃더라요. 그런 글을 쓰게 되지 않을까 싶어요. 


이전 15화 관심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