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베짜는 진 Oct 17. 2020

평직은 뭐고 능직은 뭐지?

패턴의 이해


지난 글에서 종광이 직물의 패턴을 결정한다는 이야기를 많이 했는데, 대체 종광이 어떻게 패턴을 결정한다는 것인가? 오늘은 패턴의 이해와 도안 읽는 법, 리핏의 개념을 통해 위의 질문에 대한 답을 해보려 한다.



2종광 베틀로 짤 수 있는 패턴은 평직이거나 평직을 응용한 패턴 정도이다. 1번 종광에 걸린 실이 위로 올라가거나 2번 종광에 걸린 실이 위로 올라가는 것. 두 가지의 경우의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물론 다양하게 활용하려면 할 수 있겠지만 기본적으로 그렇다는 이야기이다.


직물의 가장 기본이 되는 평직은 아래와 같은 모습이다.


평직 도안(왼)                                                평직 직물(오)       



이제, 이 도안을 차근차근 뜯어보자.



① 세로실의 색깔이다. 이 도안대로라면 검은색 실로 정경을 하고 베틀에 걸게 된다.

② 종광에 세로실을 거는 순서이다. 한 가닥씩 번갈아가며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2번 종광, 1번 종광, 2번 종광, 1번 종광... 이렇게 걸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③ 이 패턴의 직물을 짜는 데에 있어 페달을 밟는 경우의 수가 두 가지임을 나타낸다. 1번 아니면 2번 종광의 페달을 밟게 되어있다.

④ 가로실의 색깔이다. 북에 흰색 실을 감아 준비한다.

⑤ 페달을 밟는 순서이다. 1번 종광을 먼저, 그 다음에는 2번 종광의 페달을 밟아 실을 위로 올리도록 되어 있다.

⑥ 그 결과로 짜여진 직물의 패턴을 그림과 같이 미리 예상할 수 있다.



이것이 2종광 베틀로 짤 수 있는 기본 평직 패턴이라면 어떻게 응용할 수 있을까?






평직 응용 - 실의 색깔만 바꿔도 전혀 다른 분위기의 직물이 나온다. (왼)                          4종광 베틀 - 능직 (오)                 



위의 그림처럼, 종광에 실을 끼우는 가닥수에 변화를 주거나 세로실, 가로실의 색깔을 바꾸는 방법으로 응용이 가능하다. 여기에다 종광의 숫자까지 늘어나게 되면 패턴이 얼마나 다양해질 수 있을지는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종광에 실을 끼우는 방법도 페달을 밟는 방법도 다양해지니 패턴 역시 다양해지는 것이 당연하다.



Google 검색결과



종광의 숫자가 패턴에 얼마나 큰 영향을 주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이미지검색을 활용할 수 있다. Google에서 '8 shaft weaving patterns'를 검색해서 나온 결과를 보면, 8종광 베틀로 짤 수 있는 직물은 그 종류가 다양해질뿐 아니라 패턴 자체가 더욱 섬세하게 표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안을 이해하는 데에 있어 또 하나의 중요한 개념으로 '리핏repeat'을 들 수 있다. 리핏이란 말 그대로 '반복되는 것'을 뜻한다. 직물의 패턴에는 규칙이 있다. 그 패턴의 규칙을 찾아내어 반복되는 부분이 어디서부터 어디까지인지를 이해하는 것이 바로 '리핏'의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각 패턴의 리핏


종광의 숫자가 늘어나고 패턴이 복잡하고 섬세해질수록 리핏이 길어지고, 리핏이 길어질수록 짜기는 어렵고 틀리기는 쉽다. 그러나 짜기가 어려운 패턴이 대체로 더 예쁘다. 노력없이 이룰 수 있는 건 아무것도 없다는 사실을, 이렇게 베를 짜면서도 느끼게 된다.




정경하는 방법을 배우고 도안 읽는 방법만 익힌다면 베짜기는 누구나 할 수 있다. 그러나 끈기를 가지고 하나의 직물을 완성하는 일은 아무나 할 수 없다. 모든 일이 다 그렇듯 베를 짜는 일 역시 꾸준히 노력하는 것 외에는 달리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이전 10화 공간과 시간이 교차된 결과물, 직조 (2)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