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독 짝퉁 취급 받는 '아트프린트'
안녕, 나 양벼락이야.
나 되게 오랜만에 와버렸구나? 바쁠 것도 안 바쁠 것도 없이 설렁설렁 지냈는데 벌써 한 달이라는 시간이 흘러버렸네. 나 사실 저번 주부터 토요일에 새로운 아이돌봄 선생님이 오시게 되었거든. 그래서 마사지도 다녀오고 운동도 두 시간씩 하고 집밥도 해먹고 덕업일치까지 쓰는, 극도로 사치스러운 토요일들을 보내는 것 같아. Shout out to New 돌봄쌤!
오늘은 돌봄쌤의 은혜로 말미암아 '아트프린트', '아트포스터', '에디션' 혹은 '디지털 판화'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해. 그동안 너무 사적이었던 것 같아서 오늘은 예술적인 것을 가져와서 '사적인 듯 예술적인, 덕업일치'라는 이름에 균형을 맞춰 볼거야. 물론 이 영역에 대해서 쓰게 된 것은 이 영역이 예술이 아니라고 여기는 자들이 많아서야. 엘디프를 창업한 이후로 우리는 우리 작가님들의 에디션들을 하대하는(!) 사람들을 적잖이 만나다 보니 본의 아니게 해탈하여 이제는 이 주제에 대해 감정을 빼고 논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기도 해.
우리 엘디프의 대표 상품인 '아트프린트', '아트포스터', '에디션' 혹은 '디지털 판화'를 여기서는 '아트프린트'이라고 부를게! 그리고 그 아트프린트는 종이 혹은 캔버스에 인쇄된 프린트, 혹은 그 프린트가 표구된 액자나 왁구를 통칭하는 것으로 하자. 단, 아티스트와 정식으로 저작권 계약을 맺고 제작되는 것만 아트프린트라고 부를게. 왜냐면 원화라는 오리지널리티에 대한 판본이라는 뜻을 강조하기 위해서야.
우리 커뮤니케이션 디렉터 말로는 독자가 암암리에 늘고 있다고 하는데, 다들 어디 있니? 충청남도 암암리?
야망에 찌든 나이지만 사실 독자가 많아지는 걸 기대해 본 적이 없는, 너무도 개인적인 취미로 시작한 나의 덕업일치, 오늘도 시작해볼게!
사적인 듯 예술적인, 덕업일치 - Issue No.7
네, 프린트 맞아요!
유독 짝퉁 취급 받는 '아트프린트'
뭐, 이해가 가는 측면이 있어. 원화와 아트프린트가 함께 있으면 프린트는 그냥 원화의 복제품(더 자주 듣는 저속한 유사어로는 '카피'가 있다)이라고 볼 수 있지. 실제로 원화를 복제하여 제작하는 게 맞으니까. 실크스크린이나 석판화 같은 '판화'의 영역은 원화와는 별도의 수작업을 통해 탄생하기 때문에 설령 원화를 복제한 것이라고 해도 예술의 다른 영역으로 인정받지만, 아직 아트프린트는 원화를 사진으로 찍고 그 사진을 인쇄한다 정도의 개념으로만 받아들여 지는 듯 해. 심지어 디지털 드로잉이 원화인 작품에 대해서도 프린트는 굉장히 비겁한 존재처럼 여기는 사람들이 있어. '인쇄'에 대한 천시가 깔려있다고나 할까. 우리 주변에 인쇄된 것들이 상당히 풍부해서 그런 거겠지? 책부터 시작해서 홍보물 등등이 도처에 널려있고 거의 모든 사무 공간에 프린터가 깔려있잖아. 판화가 직지심경이라면 아트프린트는 전단지 같다고들 생각하는 거 아닐까?
그래서 오프라인 전시에 우리 작가님들 에디션을 들고 나가면 아주 가끔 이런 말씀을 하시는 분들이 계셔. "뭐야, 프린트야? 소장가치도 없는 건데 뭐 이렇게 비싸게 팔아?" 하도 듣다 보니까 이제는 우리 전시 공간을 향해 걸어오는 분의 걸음걸이만 봐도 알 수 있어. 관상은 사이언스라고들 하던가. 비슷한 분위기를 풍기는 사람들은 어김 없이 예상된 질문을 던져주셔. 그럼 우리의 답은 정해져 있어. "네, 이거 프린트 맞아요! 저희 원화도 취급하는데 혹시라도 관심 있으시면 말씀해 주세요 :)"
작품을 인쇄해서 만들어내는 여러 아트 굿즈들에 대해서 소장가치를 논하거나 카피본이라고 하지 않는데 말이야. 아트프린트는 유독 짝퉁 취급을 받아. 아트 굿즈는 원화와 기능이 확연히 다르지만 아트프린트는 '벽에 걸린 감상의 대상'이 된다는 측면에서 원화와 매우 유사한 기능을 하고 있어서 일거야. 그런데 왜 사람들은 원화가 아닌 아트프린트를 살까?
디지털 판화로서의 아트프린트
그런데 재밌는 건 뭔지 알아? 사실은 그 질문을 하는 사람들이 처음에는 이 질문을 먼저 한다는 거야. "이거 직접 그린 거에요...?" 가까이서 봐도 원화인지 아닌지 물어봐야 할만큼 퀄리티가 꽤 괜찮다는 말 아니겠어? 그런 의미에서 아트프린트는 정통 판화의 영역보다는 '디지털' 기술이 가미된 판화가 아닌가 감히 말해본다.
디지털이 들어가면 예술 취급을 좀 안 해주긴 하지. 한정판(엘디프 콜렉터즈에디션 대부분)이 아닌 비한정판 에디션(엘디프 오픈에디션)의 경우 희소성 측면에서 감점(?)을 받기도 하고 말야. 그런데 사진도 예술이고 디지털 드로잉도 예술이고 영화도, 애니메이션도 다 예술인 것처럼 아트포스터도 예술의 장르 중 하나로 봐야 한다고 생각해. 일반적으로 해외에서 들여온 포스터는 되게 멋지고 영감을 준다고 생각하잖아. 인테리어 할 때 그 해외 포스터 하나를 달게 됨으로써 균형이 딱 잡히는 쾌감도 있고 말이야. 웬지 그래픽도 외국 사람이 만들어야 더 멋진 것 같고, 포스터를 만들어도 외국 작가가 한 것이 더 가치 있어 보이지. 그 이유가 뭘까? 단순히 '외국에서 들여온 것이라서(=한국인이 사대주의에 빠져서)'라고 말할 순 없다고 봐. 우리는 문화 강국을 꿈꾸신 김구 선생님의 유지를 받들고 있는 문화민족인데 그 정도 소양을 가졌겠어?
난 이렇게 생각해. 그 외국인의 이름과 작품이 이 우리나라에 알려지기까지 그 사람이 거친 노고와 노력이 브랜드 가치를 창출했기 때문이라고. 그 브랜드 가치 안에는 예술성도 포함되어 있겠지? 자국을 넘어서 타국에서도 자신의 세계를 뻗쳐나간 자를 우리도 알아본 것이지. 그래서 그 사람의 아트프린트를 구매하는거야. 원화까지 구매할 필요도 없는 거지! 그 작품을 좋아하고 사랑하는 마음은 돈으로만 표현할 수 있는 게 아니니까. 그리고 디지털 판화라서 더 좋은거야. 국적을 뛰어 넘음에도 불구하고 관세도 안 붙는 프린트, 혹은 디지털 파일이라는 형태 덕분에 우리가 더 낮은 가격으로 예술을 사랑할 수 있는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