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12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연홍색 바림, 벚꽃

벚꽃[Prunus serrulata​]; 바림

by 활자정원 Mar 29. 2025

Prunus serrulata

“바림”


브런치 글 이미지 1


3월의 막바지, 길어봐야 한 주 남짓한 시간만이 우리는 연홍빛 공기의 생김새를 그릴 수 있다. 부드러운 바람에도 풍성하게 휘날리는 벚꽃 밑에서 느끼는 바람은 새로운 촉감으로 우리를 맞이한다. 꽃잎들은 떨어지다가도 다시 날아오르고 튀어오르며 펑 터트려지고 휩쓸린다.


이렇게 연한 분홍빛 혹은 하얀 꽃을 피우는 벚나무의 심장은 누구보다 붉다. 나무에게 심장이 어디있겠냐만은, 벚나무는 뼛 속까지 아니 나무 속까지 붉은 빛을 띄고 6월 즈음부터 제 색을 찾아가는 열매는 옷에 묻으면 잘 지워지지 않을 정도로 새빨간 과육을 낸다. 여기서 잠깐 벚꽃이 영어로 ‘체리’블라썸이라는 것을 기억해볼까. 그렇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체리라는 과일이 바로 벚꽃이 지고 맺히는 열매다. 이 사실이 낯설게 느껴질만도 한 것은 우리나라 및 동양에서는 이 열매를 ‘버찌’라고 부르고 약재로 사용할 뿐 일반적으로 즐기지 않았던 것을 유럽에서 과실수로 개량한 것이 ‘체리’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국내에서 맺히는 버찌는 체리에 비해 작고 붉은색 혹은 검은색을 띈다


브런치 글 이미지 2


벚꽃은 봄의 상징이지만, 그 피고 지는 속도 때문에 덧없음과 순환의 상징이기도 하다. 그러나 나는 덧없음이라는 피상적인 아름다움으로 읽기보다, 그 본질에 가까운 의미를 담아보려고 한다. 뜨거운 심장을 가진 벚나무의 꽃. 그 쉽게 놓아주는 꽃잎들과 아쉬울 줄 알았던 그 약함이 오히려 이 하늘에 가득 퍼져버리는 것이 마치 오래 고민하고 있었던 사랑의 방향성에 대해 알려주고 있는 것 같았다. 한 쪽이 아니라 범위, 우리가 숨쉬는 모든 공간을 순식간에 채운 사랑 안에서 우리는 낯설게 바림라는 단어를 배워본다. 그 붉은 속에서 부터 차츰 옅게 나오는 퍼짐. 그라데이션의 한글 표현인 '바림'이다.


시간이 지나 남는건 모든 일의 결국 그리고 나 뿐이다. 그렇게도 새빨갛던 독점적 사랑의 색은 옅어지고 봄날의 연홍빛 벚꽃이 날리듯, 사랑은 온 세상에 은은하게 풍기울 것이다. 어쩌면 우리는 그 날을 고대하는 마음으로 개화시기까지 예측해가며 3월의 벚꽃을 기다리는게 아닐까. 이른 봄부터 간직하던 것들을 순순히 내어주어도 여전히 세상이 벚꽃으로 가득찼으니




PLANT INFORMATION


식물계(Plantae)ㆍ피자식물문(Angiospermae)ㆍ쌍떡잎식물강(Magnoliopsida)
장미목(Rosales)ㆍ장미과(Rosaceae)ㆍ벚나무속(Prunus)


벚나무속에는 전 세계적으로 약 400여 종이 있으며, 그중 벚꽃으로 불리는 종은 대부분 일본 원산의 왕벚나무(Prunus × yedoensis)를 비롯해 산벚나무, 겹벚나무, 능수벚나무 등 다양한 품종이 있다.

꽃은 대부분 연한 분홍빛 또는 흰색을 띠며, 한국에서는 3~4월경 개화하여 봄의 시작을 알리는 대표적인 관상수로 여겨진다.

높이는 약 10m까지 자라며, 개화기에 짧은 시간 동안 만개한 후 꽃잎이 흩날리는 모습이 아름다워 도심 공원, 가로수, 학교나 관공서 등에 널리 식재된다.

국내 기후에 적응력이 높고, 낙엽성 교목으로 비교적 관리가 쉬우며 노지월동이 가능하다.

작가의 이전글 탄생이라는 축복, 목련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