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헤비 Jun 29. 2024

거리감

아홉 번째 편지. 오늘과 내일, 그 곳과 이 곳

기억력이 좋지 않다보니

오래된 시가

하나의 온전한 형태가 아닌

몇 구절만 남아 떠다닐 때가 많다.


예를들어

박재삼의 「울음이 타는 가을 강」같으면

'마음도 한 자리에 못 앉아있는 마음'이나

'친구의 서러운 사랑 이야기' 같은

말들만 떠다니다

멋대로 계기도 없이

쿵 하고 마음벽에 부딪히곤 한다.


특히 저 시는 왜 그런지

'저것 봐, 저것 봐' 가

늘 귀를 쟁쟁 울려대는데

대체 그들은 무엇을 보았을까 하여

난 내가 보았던

타는 하늘의 기억들을 뒤적거려보지만

정확히 그 강가를 거닐어 본 일이 없어

어떤 하늘인지는 알 길이 없다.


하필 또 저 시는 제목부터가

'가을 강'이어서

오늘처럼 빈틈 없는 여름에는

그 정취를 흉내내보려고

에어컨을 가을 온도로 낮춰보아도

도무지 되지 않는 것이라서,

나란 놈은 왜 이 여름에

가을 강 생각을 하고 앉았는 것인지

내 속인데 속을 알 길이 없다.


꼼짝없이 기다리는 것 말고는

도무지 답이 없는 저 가을 강.


난 또 글을 쓰며 생각한다.


이야기는

이제 고작 25페이지를 지나가는데,

적어도 200페이지는 지나가야

그나마 글입네 할 텐데,

무슨 레 미제라블을 쓰는 것도 아니면서

왜 이리 고단하고 고민스러운지

과연 이 이야기에

200페이지가 있기는 한지

그때까지 난 이 모니터 앞에

버티고 앉아있을 수는 있는 것인지

그때까지 내가 만날 계절과

그때까지 날 때리고 갈 소리와

그때까지 내가 잃어버려야 할

바람들을 생각한다.


이야기를 쓰는 일이

가을 강을 기다리는 일이면

얼마나 좋을까.


커피나 내리자.


이걸로 오늘 하루 5잔 째,

아직 속은 쓰리지 않다.


2024. 06. 29.

이전 08화 성찰의 계기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