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Lanie Apr 29. 2024

교육학의 결핍 극복을 위한 노력(2)

통계학과 뇌과학에서 아이디어 빌리기

교육학은 기술을 발전시킬 수 없으며, 이를 과정적으로 통제하고 그 개선을 위해 기여할 수도 없다. 왜냐하면 교육 및 수업 구조 자체가 ‘기술의 결핍’을 안고 있기에 더욱 그러하다. 제아무리 교육을 아주 세련된 방식으로 기획하더라도 교사가 학생들의 의식에의 직접적 개입은 불가능하다. 루만(N. Luhmann, 1972~1988)에 따르면, 교육이나 교육학에서는 ‘인간’의 ‘유일회성(Einmaligkeit)’과 그에 의한 ‘존엄성’을 기초로 하고 있기에 바로 자연과학의 분야에서 가능한 것과 같은 테크놀로지를 적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즉, 교육학은 어떠한 실험에 있어서 실패하면 그 실험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할 수 없는 문제를 안고 있다(최재정, 2013:601).


통계학에서 아이디어 빌리기

손다이크(Thorndike)는 교육학 연구의 장소로 실험실을 선택했다. Dewey와 같은 철학적 사유로는 교육학을 절대로 과학의 반열에 올려놓을 수 없다고 생각했다. 그는 교육학 연구 방법에 있어서 정신을 버리고 행동을 택했으며, 교실 관찰 대신 실험실과 통계학을 택했다. 당시 미국 교육계는 이러한 손다이크를 사랑했는데, 여성의 직업 정도로 인식되던 교직, 그리고 그 교직에 종사하는 인력을 양성하고 그들의 작업을 연구하는 교육학과 교수에게 손다이크는 ‘삼류학문’을 ‘과학’으로 바꾸어 준 당대의 영웅으로 비쳤다. 교육학 논문에서 통계학이 교육학의 연구 언어로 확고히 자리 잡았고 비유적 언어와 묘사적 언어는 금기시되었다. 손다이크 이후, 교육학의 과학화 운동은 계속되었다. 교육행정가 양성에 관심을 가진 일군의 학자들은 ‘조사법’을 통원하여 ‘학교 조사 운동’을 대대적으로 폈고, 손다이크의 유전결정론에 영향을 받아 유럽에서 수입된 ‘지능검사’가 유행하였다(박승배, 2010).


뇌과학에서 아이디어 빌리기

인간은 보고, 듣고, 따라 하고, 행하고, 느끼면서 배운다. 이 모든 과정에 뇌가 관여한다. 뇌과학 연구의 비약적 발전과 뇌과학 연구와 인지과학 연구의 활발한 협력은 ‘뇌기반 학습과학(Brain-Based Learning Science)’, ‘교육신경과학(Educational Neuroscience)’, 혹은 신경교육학(Neuro-Education)’이라 불리는 새로운 연구 분야를 탄생시켰다(김성일, 2006).

선행학습식 영재교육을 탈피하고자 하는 움직임과 함께 영재에 관한 두뇌연구가 대안으로 제시된 적도 있다. 2014년 3월,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에 영재들의 뇌와 일반인들의 뇌가 성장과정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한 의미 있는 논문이 실렸다. 이 논문에 따르면 영재들의 뇌는 7세에서 19세까지의 성장과정에서 일반인들보다 변화가 더 활발하다. 영재들의 경우 대뇌피질의 두께가 7세 땐 일반인들보다 더 얇지만 11~12세까진 훨씬 빠른 속도로 두꺼워지다가 19세까지는 다시 얇아지는 과정을 거친다. 서울대 생명공학부 이건호 교수가 부산과학영재고 및 외고 학생들의 뇌를 자기공명촬영(MRI)으로 촬영해 연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영재들을 지능이 뇌 특정 부위의 회백질 두께와 깊은 연관성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덕분에 영재를 선발하는 과정이 더 객관적으로 바뀌고 어떤 지능이 특별히 발달했는지도 알아내는 것이 가능해졌다. 그동안의 지능검사테스트는 다분히 심리적, 환경적 요인에 좌우되는 비과학적 측면이 많았다며 이제 뇌를 촬영한 MRI 사진 한 장이 지능지수(IQ) 테스트를 대신할 수 있는 시대가 열릴 것이라고 하였다(이은우, 2014.11.09.). 



<참고문헌>

김성일(2006). 뇌기반 학습과학: 뇌과학이 교육에 대해 말해 주는 것은 무엇인가?. 인지과학, 17(4), 375-398.

김예림(2013). 청소년의 지능범주별 대뇌피질 변화성 분석 연구. 영재교육연구, 23(3), 421-434.

박승배(2010). 교육학 연구방법에 붙박인 Dewey와 Thorndike의 학문적 지문 추적. 교육과정연구, 28(1), 1-20.

이승은(2010). 교육과정 논의에서 과학적 해법이 갖는 의미와 한계. 교육과정연구, 28(2), 1-22.

이은우(2014.11.09.). 영재 연구 어디까지 왔나... 뇌 MRI 사진 한 장으로 IQ 측정. 파이낸셜뉴스. https://www.fnnews.com/news/200607091515557083 

이전 07화 교육학의 결핍 극복을 위한 노력(1)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