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은 살짝 시들해진 듯 하지만, 'MBTI'라는 성격유형검사가 사람들 사이에서 주목받았던 시기가 있었다. 사람의 성향을 16가지 유형으로 나눈 이 검사는, 4자리 알파벳으로 된 각 성향별로 가지고 있는 특징이 무엇인지 알려주고 있다.
검사 결과로 나온 성향을 통해 상대방이 어떤 사람인지에 대해 알 수 있다는 건 솔깃한 점이다. 나 또한 MBTI에 꽤나 진심인 편이어서, 다른 사람과 만나 대화를 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상대방의 MBTI를 묻곤 했다. 물론 MBTI의 모든 것을 믿진 않는다. 다만 어느 정도 일치하는 부분도 분명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화제 전환을 하거나 누군가를 알아갈 때 종종 던지는 주제 중 하나이다.
유행하는 사회 현상은 그 시대가 가진 문제나 사람들의 의식을 반영한다. 사람들이 이토록 MBTI에 열광하는 이유에 대한 나의 대답은,'사람에 대해 알아가고픈 욕구'이다.
사람들의 인간관계에 대한 생각을 듣고, 행동을 보고 있으면 모순적인 면들이 보일 때가 많다. 관심받고 사랑받고 싶어 하지만 지나친 관심을 좋아하지 않는다. 힘들 때 자신이 기댈 수 있는 사람을 원하면서도 누군가를 알아가는 걸 귀찮아한다. 무언가를 얻기 위해 기꺼이 감내해야 할 부분을 거부하는 것이다.
어쩌면 우리가 이렇게 변한 이유는 사람에게서 받은 상처 때문일지도 모른다. 믿었던 누군가에게 받은 상처가 너무나 아파서 쉽게 사람을 믿지 않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상대방이 자신에게 상처 줬던 사람과 다른지 확인할 수 있는 기준이 필요하다. 이럴 때 MBTI는 괜찮은 도구이자 기준이 될 수 있다. 부담스럽지 않고, 누구나 한 번쯤 들어봤을 법한 주제이며, 성향을 통해 상대방이 대강 어떤 사람인지 유추할 수 있게 된다.
사람을 하나의 검사를 통해 알 수 있다면, 현재 많은 사람들이 인간관계에 고민하고 있지 않을 것이다. 밖에서 한없이 친절한 누군가가 집에만 들어오면 폭군으로 돌변하기도 하고, 찔러도 피 한 방울 나오지 않아 보이던 사람도 자신이 마음을 연 사람에겐 한없이 따뜻해지기도 한다. 악명 높은 연쇄살인범들 중 대부분은 우리의 상상과는 다르게 오히려 선하고 친근한 인상을 갖고 있다.
누군가를 겪어보지 않고서는 그 사람을 알 수 없다. 평생을 같이 산 가족이라 해도 마찬가지다. 부모님이 자식을, 자식이 부모님을 모두 다 안다고 어떻게 장담하겠는가? 자기도 자기 자신을 모를 때가 있는데 말이다.
사람 사이의 관계에서 정답은 없다. 다양한 주제에 대해 많이 대화를 나눠보고, 그 사람이 좋을 때 나오는 모습뿐만 아니라 힘들 때 나오는 모습도 봐야 한다. 내가 아니라 다른 사람들에겐 어떻게 말을 걸고 행동하는지도 중요하다. 상대방과 오랜 관계를 지속하기 위해 하면 좋은 생각 한 가지가 있다. 그것은 "여전히 나는 이 사람에 대해 잘 모르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MBTI만으로 상대에 대한 모든 정보를 알 수 있다면 얼마나 좋겠는가. 하지만 그것이 불가능하다는 생각은 MBTI를 믿지 않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그것을 믿는 사람들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기억하라. 스스로 생각하기에 해내기 어려운 것일수록 요행보단 꾸준함이 가장 빠른 길일 수 있다는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