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27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무적의 빨간 목장갑

by 고고 Jan 18. 2025
아래로


  무릎 위에 올려놓은 가방 속에서 드르륵드르륵 문자가 계속 울렸다. 발신자를 확인하니 아이들이었다. 도서관에서 주관하는 강의를 듣고 있는 중이었다. 방학기간이라 신청을 해도 될지 고민이었지만 꼭 듣고 싶은 수업이라 아이들을 집에 두고 혼자 나왔다. ‘엄마 배고파’, ’언제 와?’ ‘모 먹을 것 없어?’ 벌써 12시였다. ‘간식 먹으면서 기다려. 30분 후면 끝나.’ 아이들은 엄마가 바로 못 온다고 하니 배가 더 고프다고 성화였다. 고민 끝에 5학년 큰애가 참치 주먹밥을 만들어 보겠다고 문자를 보냈다. 며칠 전 나와 함께 요리한 적이 있는 음식이었다. 간단한 일도 엄마에게 의존하는 아이인데 혼자 만들겠다니!  곧 수업이 끝날 테지만 스스로 해보겠다는 용기가 기특해 격려해 주었다. 2학년 동생과 함께 만들면 크게 도움은 안되더라도 의지는 될 것이었다. 찬밥을 전자레인지에 데우는 것부터 아무리 찾아도 보이지 않는 마요네즈의 위치를 알려주는 것까지 문자로 원격 조정하며 요리 방법을 알려줬다. 그런데 문제가 생겼다.


‘엄마! 참치 뚜껑은 어떻게 따는 거야? ‘


 마요네즈에 버무린 참치를 밥 속에 넣어 먹는 참치 주먹밥이다. 그런데 참치 뚜껑을 못 딴다? 혹시라도 아이들끼리 따다가 날카로운 참치 뚜껑에 손을 베이면 어쩌나 걱정이 되었다. 메뉴를 바꿔야 할까 고민했지만 이제 와서 밥을 해 먹겠다는 용기를 꺾을 순 없었다. ‘유튜브로 찾아보고 따라 해 봐. 대신 맨손으로 하지 말고 고무장갑 끼고!’ 문자를 전송했다. 아이들에게 더 이상 연락이 오지 않았다. 잘하고 있는지 걱정이었지만, 무슨 일이 생겼다면 연락이 왔을 거라고 스스로를 다독였다. 내 신경은 온통 집으로 향했고 수업의 마지막 내용은 더 이상 머릿속에 들어오지 않았다.

 

 부랴부랴 집에 도착하니 식탁 위에 완성된 주먹밥 하나가 놓여 있었다. 엄마 몫으로 남겨둔 것이었다. 아이들은 엄마를 보자마자 서로 이 대장정의 무용담을 말하느라 소란스러웠다. 그중에서 제일 큰 업적은 예상대로 ‘참치캔 따기’였다. 큰애는 한 켤레 밖에 없는 고무장갑을 꼈고, 함께 참여하고 싶은 둘째는 필사적으로 ‘빨간 목장갑’을 찾아 끼었다. 평소 눈앞에 보이는 물건도 잘 찾지 못하면서 어떻게 목장갑을 찾아낸 건지··· 제 몫을 하려고 부산했을 둘째의 모습을 상상하니 웃음이 나왔다. 큰애가 먼저 참치캔 따기를 몇 번 시도했지만 실패했고, 겁 없는 둘째가 한 번에 성공했다고 했다. "엄마도 참치캔 딸 때 늘 조심스러운데 어떻게 한 번에 딴 거야?" 둘째의 기를 살려줬다. 아마 요리의 대부분은 첫째의 주도하에 만들었을 것이다. 밥에 간을 한 것도 첫째, 프라이팬에 노릇노릇하게 구운 것도 첫째. 삼각형으로 예쁘게 모양을 잡은 것도 첫째일 것이다. 그러나 둘째의 ‘참치캔 따기’라는 한 방이 없었으면 완성하지 못 했을 음식이었다.

 

 작은 손에 빨간 목장갑을 끼니 마치 어른처럼 커진 손이 무적 같아 보였을까? 목장갑이 손만 보호해 준 게 아니라 용기도 주었다. 누나가 아닌 내가 해냈다는 성취감은 둘째의 마음속에 오래도록 남을 것이다. 큰 애도 처음으로 혼자 만든 주먹밥이 자신감을 심어주었을 것이다. 또한 동생과 엄마에게 음식을 만들어주며 베푸는 즐거움도 느끼지 않았을까? 이렇게 완성한 요리는 얼마나 맛있었을까?  그뿐만이 아니다. 방학 중 ‘삼시세끼 돌밥 시스템’을 가동 중인 나에겐 달콤한 쉼도 주었다. 비록 부엌은 난장판이 되어 있었지만 한 뼘 더 성장한 아이들을 바라보며 맛있게 주먹밥을 먹었다.


매거진의 이전글 탈출하지 못한 아줌마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