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별에서 만난 그리움의 시
-윤동주
봄이 오던 아침, 서울 어느 쪼그만 정거장에서
희망과 사랑처럼 기차를 기다려,
나는 플랫폼에 간신한 그림자를 떨어뜨리고,
담배를 피웠다.
내 그림자는 담배 연기 그림자를 날리고,
비둘기 한 떼가 부끄러울 것도 없이
나래 속을 속, 속, 햇빛에 비춰, 날았다.
기차는 아무 새로운 소식도 없이
나를 멀리 실어다 주어
봄은 다 가고- 동경 교외(郊外) 어느 조용한 하숙방에서,
옛 거리에 남은 나를 희망과 사랑처럼 그리워한다.
오늘도 기차는 몇 번이나 무의미하게 지나가고,
오늘도 나는 누구를 기다려 정거장 가차운
언덕에서 서성거릴 게다.
-아아 젊음은 오래 거기 남아 있거라.
(1942. 5.13)
1942년 4월.
윤동주는 창씨(개명은 하지 않았음)하고 현해탄을 넘어 일본 도쿄에 갔다.
릿교 대학 영문과에 입학.
그 때 '동경 교외의 어느 조용한 하숙방'에서 쓴 시.
일본 유학을 간 지 한 달 조금 지난 시기에
시인은 위 시를 썼다.
자신의 조국을 강점한 남의 땅. 일본의 도쿄.
식민지 지식인의 부끄러운 자의식을
늘 자신의 가슴 속에 품었던 청년의 향수와 고독이
짙게 배어든 시.
그가 마지막으로 쓴 것으로 보이는
'쉽게 씌어진 시'는 너무 유명하고 처연하지만
나는 '사랑스런 추억'이 더 마음에 오래도록 남았었다.
아마도 그 이유는
'봄이 오던 아침'에 바람부는 먼 섬의 바닷가를 떠나
'봄은 다 가'버린 것만 같은 쓸쓸한 대도시
서울의 변두리 하숙방에서
'희망과 사랑처럼' 누군가를 무언가를 어딘가를 그리워했던
나의 청춘의 슬픔이 이 시와 맞닿았기 때문이다.
희망과 사랑의 기차를 기다리던
'쪼그만 정거장'과 그곳에 서 있던
'옛 거리에 남은 나'는
물론 지금의 처지와 상황이 무력하고 슬프고 아프다는 반증이겠지만
역설적으로 처연한 아름다움으로 남을 수 밖에 없다.
새로운 시대와 출구가 모두 막힌 것만 같아
'오늘도 기차는 몇 번이나 무의미하게 지나가'지만
'언덕에서 서성거리'는 기다림은 멈출 수가 없는 것이다.
물론 그 기다림은 앞으로 뻗어 있지 않고
자꾸만 추억의 한 칸으로 덜컹거리겠지만
그럼에도
'아아 젊음은 오래 거기 남아' 있을 수 밖에 없다.
추억은 그렇게 영원한 사랑으로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