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수다쟁이소소 Feb 15. 2024

아주 소박한 엄마밥상

조화롭지 않은 동태전에 백김치 그리고 황태국

어릴 때 기억을  굳이 곱씹어 보자면

아빠는 매일매일이 바빴고 늦게 퇴근을 하셨다.

직업상 휴가철 연휴가 제일 바쁘게 보내셨다.

지금이야 그때 그렇게 하셨으니 지금의 아빠가 있다고 감사하고 고마워한다

그 당시에 엄마는 나랑 동생이 매우 안쓰러웠었나 보다

지금도 가끔 얘기를 꺼내시곤 한다.


우리가 어린 시절 아빠는 일 때문에

한잔하고 퇴근하실때가 많았다.

아빠가 약주하고 오실 때는 좋기도 했다.

술 취한 아빠는 싫었지만 아침에 일어나 보면

과자나 아이스크림등 군것질거리가  한가득 쌓여있을 때 린이한테는 최고였다.


서두가 길었지만 이 얘기를 하려고.

이렇게 자주 술 드시는 아빠 덕(?)으로 울 엄마는 해장 국 끓이는데

이골이 났다고 할까.

국, 김칫국, 김치콩나물국, 콩나물국 정말 여러 가지 골고루

참 많이도 먹었다.

그때는 황탯국이 참 별로였다

황태 퍼석거리는 그 식감이 별로였다. 가끔 뼈가 씹힌 적도 있고

엄마는 황탯국에 무랑 두부를 같이 넣어서 끓여주셨는데

나는 그러면 꼭 두부랑 무만 건져서 먹고 황태는 쏙 남겼다.

지금은 해장국으로 끓이는 황탯국이 아닌

한 끼 식사에 나오는 국이다.

이제는 이 황탯국이 나에게는 소울푸드 같은 느낌이랄까

어디 식당에 가서 먹어도 이맛이 안 난다.

참 신기하지..


동태 전은 정말 싫어도 너~~무 싫어했던 음식

그때는 이게 왜 이렇게 싫었는지 모르겠다.

반면에 동생은 너무 잘 먹고 좋아해서 신기할 정도였다.

우리집은 전을 많이 하는 편은 아닌데

꼬치산이나 동그랑땡 동태전 녹두전 이렇게 있으면

난 동태전엔 손도 안 댔다. 맛이 없었다도 아니고 향이 비린 것도 아니었다.

그냥 손이 안갔다. 이런게 편식인가.

근데 어른이되고도 한참이 지나서 언제부터인가 이 동태전에 맛을 알게 됐다.

한 번은 이게 너무 먹고 싶어서 집에서 밀가루 계란 묻혀서 한번 구웠는데

와~ 이걸 어떻게 먹냐 세상에 완전 비리고 맛이 뭐 이래!

한점 먹고 다 버렸던 기억이 있다.

엄마한테 전화해서 얘기했더니 레시피를 막 읊어 주는데 귀에 안 들어와.

그냥 엄마가 해준 그 맛을 느끼고 싶었던 것 같다.

이후로 집에 가면 가끔 동태전을 해주시는데 진짜 너무너무 맛있다.

동생이 몰래몰래 집어 먹었던 이유를 그때 알았다.


엄마가 백김치를 담근 적이 있다. 백김치는 솔직히 잘 안 하시는데

어쩐 일로 백김치를 했다고

와.. 한점 집어 먹는데 이맛이었지 백김치가

톡 쏘면서 시원하고 깔끔한 이맛.

김치냉장고에서 갓 꺼냈더니 이건 어디 견줄 수가 없다.

빨간 김치처럼 간이 쎄지 않으니 계속 집어 먹게 된다. 김치국물은 뭐 말할 것도 없이

차갑고 시원하고 속이 뻥~ 뚫린다.

엄마집에 있는 내내 김치를 한 포기는 더 먹은 거 같다.

서울 올라갈 때 챙겨줘서 가져왔는데 그새 좀 익었는지 집 냉장고에 넣어놨다가

꺼내먹는데 그 맛이 아니야

왜 반찬은 가져오면 엄마 집에서 먹던 그 맛이 안 날까...












이전 12화 잡채는 즉석 주문 가능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