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46 댓글 19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지적허영심의 대가

고전 속으로 들어가다

by 마음돌봄 Jun 12. 2023

고전 독서에 대한 열망은 꽤 오래되었다.

당시 초등학교 교사였던 이지성 작가의 책들을 읽어나가며 강한 독서에의 열망을 갖게 되었다.

특히 '리딩으로 리드하라'라는 책은 인문 고전 독서를 해야 한다는

아니 솔직한 마음으로 아이들이 초등 5학년이 되면 작가님이 알려준 목록대로 실천하리라 

두 주먹 불끈 쥐며 벼르고 별렀다.


그러기 위해선 부모부터 읽어야 한다는 것을 알았지만 번번이 고전 읽기는 실패였다.

물론 고전 소설은 나름 탐독해 나갔다.

하지만 고전엔 소설만 있는 것이 아니다.

역사 고전, 철학 고전, 인문 고전 등등.


초등 5학년이 되기 전까지 글밥을 키워놓으리라 다짐하며 책을 읽어주었다.

벌써 아이들은 그 시기를 넘어서고 있다.

자기만의 세계 속으로 들어갈 나이가 되어가고 있다.

글을 쓰고 질문하는 능력을 키워주고 싶은 엄마의 마음은 조급해진다.

그러다가 멈춘다.

나부터 시작하자 싶다.


사실 글을 쓰게 되면서 혹은 글을 쓰고 책을 쓰고 싶은 사람이 되기를 꿈꾸면서 더 강렬해졌다.

나의 뇌와 언어의 밀도를 높여야 할 때라는 생각이 들었다.

혹은 뇌의 지적 자극을 통해 좀 더 다른 사람이 되어야겠다는 생각이다.

오랜 사상가들과의 만남과 그들이 언급한 사색.

그리고 좋은 문장들과의 만남과 지적 자극.

이런 것들이 더해져야 좋은 글을 쓸 수 있을 거라는 나름의 논리가 발현된 결과이다.



아직도 그렇게 배우고 공부하고 싶어?



지금은 회사원인 한 때는 공무원을 꿈꿨던 성실함의 표본인 친구의 말.

자기는 공부는 지긋지긋하다며 가끔 회사에서 보는 정기고사만으로도 충분하다 말하는 친구다.


어쩌면 끝없이 지적호기심을 갖고 지적인 있어빌리티를 추구하는 나로서는 죽어서야 공부가 끝날 것 같다.

나이가 들수록 실용적이지 않으면, 소위 내 손에 쥐는 돈으로 발현되지 않으면 의미 없지 않냐는 외침도 들리지만 불안감인지 본성인지 진짜 좋아하는 것인지 공부가 멈추지 않는다.


다독과 함께 슬로 리딩도 해보자 다짐해 본다.

또 다른 뇌의 사용은 새로운 시선을 주지 않을까 바라본다.


브런치 글 이미지 1
브런치 글 이미지 2


브런치 글 이미지 3


인문고전 읽는 단톡방에도 참여하고 있지만 이미 유령 회원이 된 지 오래다.

유명한 작가님이 제안한 방인데 '소크라테스의 변명' 몇 줄을 읽고는 손을 놓아버렸다.

다시 참여하기도 민망하고 나오기는 더 민망하다.


처음엔 거인의 어깨에 올라타라고 했던가.

인문고전지도사 과정을 시작했다.

덜컥, 아니 사실은 계속하고 싶었지만 애써 누르고 있었던 그것.


점점 타인에게 말을 할 때 적절한 단어가 생각나지 않는다.

뭔가 말은 하지만 뒷맛이 개운하지 않다.

뇌 한쪽이 멍한 거처럼 뿌옇다.

아이들에게도 질문하는 법을 알려주고 싶고, 그들에게 뻔한지 않은 질문을 하는 어른이고 싶다.


평생가도 힘들 수 있지만 마음을 다스리고 포용하는 사람이 되고 싶다.

그래서 고전 읽기를 시작한다.


6명의 사람들이 모여 함께 과정을 시작했다.

대안학교 선생님, 힐링센터 원장님, 초등학교 선생님, 이미 지역에서 유명한 영어 강사님 등 

각자의 이유로 모였다.


현업에도 깊이를 줄 수 있는 일인 것 같아 조심스레 시작해 본다.

그림책을 처음 만났을 때의 그 느낌을 다시 찾고 싶다.

깊이 있는 고전 문장 속의 지혜를 흠뻑 흡수하고 싶다.


지적허영심이 아닌 내면의 밀도를 높여서 성숙한 인간이고 싶다.

아직도 독립적이지 않은 인간이기에 

행여나 책의 상아탑 속에 갇힐까 두렵지만

사색, 현실 적용, 독서

이 세 가지를 잊지 않으려 한다.


그리고 나름 원대한 계획 하나

아들들과 '논어'읽기.

두렵다. 

입으로 뱉으니 더 두렵다.

남편포함 가족독서모임하기

씨도 안 먹힐까 두렵다.

운은 띄워놨으니 계속 이야기해서 세뇌시키기.

선언해 본다.


뜬금없는 정보 투척



<고전 읽기 성공하는 비법>


1. 쉬운 책부터 접근하기


2. 함께 읽기


3. 질문하면서 읽기




첫 수업 오리엔테이션 시간 선생님은 말씀하신다.


아들들하고는 너무 욕심은 내지 마세요. 
논어만 읽어도 충분하답니다.
긴 시간에 대한 욕심도 버리세요.
15분도 괜찮습니다.


마음 비우기

내 마음부터 채우기

나부터 해보기

내가 좋다고 강요하지 않기

권유만 하기


여기서부터 시작이다.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