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습
인문고전 독서지도사 3차시
질문의 힘 - 후속 질문 실습
인문 고전 지도사 3번째 시간이다.
지난 시간 질문의 4가지 유형에 대해 배워보았다.
달라진 점이 있다면 아이들에게 좀 더 사색적 질문과 해석적 질문을 더 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말이 거창하지만
좀 더 아이들의 의견을 물어보게 되었다는 것이다.
엄마 입장에서
선생님의 입장에서
좋다고 생각하는 것을 밀어붙였다면 이젠 좀 더 아이들의 생각을 들어보려 하고 물어보게 되었다.
사실 이 부분 때문에 이 과정을 시작하기도 했다.
뇌가 딱딱하게 굳어가는 느낌.
말이 제대로 나오지 않는 기분.
아이가 싫다고 하면 멈출 줄 알고
어른이라는 이유로 밀어붙이지 않기 위해서 시작한 공부다.
오늘의 고전은 '아낌없이 주는 나무'
나에겐 추억이 많은 책이다.
8~9살 무렵인가 토요일에 외갓집에 가면 항상 읽던 책.
작은 방 책장 유리를 열면 '아낌없이 주는 나무'와 '거인의 정원'이 나란히 꽂혀 있었다.
두 책자 번갈아가며 읽었지만
어린아이의 마음을 이끈 건 '아낌없이 주는 나무'이다.
무엇에 그렇게 끌렸던 것일까?
그 어린아이도 짧은 문장 속에 무언가를 느꼈던 것일까?
늘 책이 있는 공간은 어린 시절부터 편안함을 주었기에 이번 회차 수업에서 만난 책이 낯설지만은 않았다.
미리 3가지 질문을 준비하고 선생님께 제출했다.
다른 선생님들의 질문도 기대되고 궁금했다.
어른들은 어떤 질문을 준비하게 될까?
<수업의 순서>
1. 책을 읽은 느낌 물어보기
- 이 책을 읽고 난 느낌은 어땠나요?
-그랬군요. 그런 생각이 들었군요. 그런 감정이 들었군요.(공감해 주기)
2. 10분 동안 책을 다시 읽고 나서 질문 만들기
-아이들에 따라 다르지만 익숙한 친구들은 20~30개도 질문을 만들어낸다.
-나중에 중복되는 질문이나 장난스러운 질문은 빼고 간추리게 된다.
3. 친구들과 함께 나눌 질문들을 골라본다.
- 선생님, 친구들과 함께 나누고 싶은 질문을 골라볼까요?
4. 본인의 질문에선 그 학생이 진행자가 되어 질문을 읽고, 멤버 각자의 이름을 부르며 질문을 한다.
이때 추가 질문이 있다면 해도 좋다.
<마음에 새길 내용>
아이들이 질문을 할 때 엄마나 선생님이 완벽하게 알 필요가 없다.
되물어보기
되물어보기
되물어보기
"왜 그 부분이 궁금했나요?"
그랬군요.
옳고 그름을 묻는 질문에 둘 다라고 대답하거나 모르겠다고 하는 경우엔
"그래도 친구 생각이 어느 쪽에 더 가깝나요?"
"혹시 고르다면 어느 쪽에 더 가까울까요?"
특히나 우리나라 사람들은 명확하게 자기 생각을 표현하는 것이 익숙지 않다.
근거를 대고 명확하게 말하는 훈련이 필요하다.
~한 것 같아요 가 아닌 그렇습니다. 그렇게 생각합니다.
말 뒤에 숨지 말고 좀 더 나를 당당하게 드러내보자.
미리 만든 후속 질문 들과 단정하고 명확하게 수정한 질문들 - 추가 질문들도 계속 나온다
<이번 수업 후 느낀 점>
- 하나의 후속 질문엔 하나의 생각거리만 담기
- 되물어보기 질문은 오케이
- 명확하고 간결하게 질문 만들기
- 미리 고정관념을 가지고 질문 만들지 말기
머리에 지진이 나는 것 같았다.
계속 생각을 해야 했기 때문이다.
다른 선생님들의 말을 들으면서 나도 그렇게 생각했는데 왜 나의 입은 뇌를 따라가지 못한 건가 아쉬웠다.
어떻게 저런 질문도 하지 생각하며 많이 배운 시간.
다음 시간 질문 만들기에 좀 더 공을 들여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매 수업을 그냥 듣기만 하고 수업을 하는 건 도움이 되지 않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더 많이 고민하고 생각할수록 가치 있는 수업이 될 것이다.
아울러 고전과 함께 나의 브랜딩은 어떤 방향으로 가야 할 것인지도 생각하게 되었다.
어릴 적 나무는 마냥 소년에게 모든 걸 내어주는 착한 나무다, 감동적이다 했지만
지금의 나무는 조금은 안타깝기도 하다.
좀 더 한계를 지어주었다면
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을 구분 지어줬다면
소년은 더 행복하지 않았을까?
누구나 나무도 되고 소년도 될 수 있을 것이다.
상황에 따라 느껴지는 감정도 다를 것이다.
나무는 부모일 수도 친구일 수도 연인일 수도 배우자 일수도 있다.
진정한 사랑이 무엇인지 다시 생각해 보는 시간이었다.
진정한 행복이 무엇인지도.
인문고전 수업을 마친 후, 진행한 나의 수업에서 학생들은 말했다.
질문을 하는 나에게 국어 시간 같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