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번째 발견된 성간천체에 대하여
2017년 10월 19일 하와이의 할레아칼라 천문대(Haleakala Observatory)에 팬스타(Pan-STARRS) 망원경에 알 수 없는 물체가 포착된다. 그것은 태양계를 통과하는 우리가 인지한 최초의 성간 물체 오우무아무아였다.
성간 물체란, 별의 중력에 묶여 있지 않아 태양계 밖에서 유입되어 온 성간 공간의 천체이다. 한마디로 오우무아무아는 태양계 밖에 있다 태양계 안에 들어서서 태양의 중력에 영향을 받지 않고 빠른 속도로 방향을 틀어 태양계를 빠져나간 물체라는 것이다.
어디에서 왔는지, 어디로 가는지 알 수 없는 이 물체를 우리는 하와이어로 ‘오우무아무아 Oumuamua – 먼 곳에서 찾아온 메신저’라는 멋진 이름이 붙이고 첫 번째 발견 성간 천체에 대한 식별기호로 1I/2017 U1이 붙여진다.
오우무아무아는 일반적인 소행성들의 모습과 달리 바게트 모양을 하고 있다. 길이 230m, 높이 35m 정도의 극단적인 비율을 보여주고 있는데 더욱 기이한 것은 이 물체가 수성보다 더 가까이 태양에 접근하는 경로를 지났음에도 혜성처럼 증발하는 물질이 없었던 것이다. 또 태양의 중력에 영향을 받지도 않았다.
오우무아무아 발견 당시 속도가 44.2km/s(마하 128.863)으로 비상식적으로 빠른 속도로 태양계를 가로지르는 것을 포착한 것이었다. 이런 속도라면 표면이 물이나 수소 얼음으로 덮여 있어서 태양의 열기로 가스를 내뿜으며 속도를 냈을 거라는 게 일반적이라는 생각이다. 하지만 오우무아무아의 크기로 봤을 때 이런 가스를 내뿜으며 이동을 하게 되면 진작에 소멸 됐어야 하는 게 맞기 때문에 이것도 가설에 지나지 않았다. 실제로 오우무아무아에서 가스의 꼬리가 발견되지 않았다.
미스터리 한 물체 오우무아무아는 지구인의 예측을 비웃기라도 하는 듯 오히려 빠르게 태양계를 빠져나가 지구인들이 이 물체를 연구할 시간이 없었다. 이에 대해 하버드 스미스소니언 천체물리학센터(CfA)의 에이브러햄 러브 교수와 슈무엘 비알리 박사 연구팀은 “오우무아무아는 어쩌면 외계문명이 보낸 탐사선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태양을 지나며 속도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지만 오히려 속도가 높아진 점을 근거로 솔라 세일(solar sail)을 이용하는 고등 생명체의 탐사선일 수 있다는 것을 논문에 발표했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그의 의견에 힘을 싣고 있는 상황이기도 하다. 그도 그럴 것이 오우무아무아가 더욱 신기한 것은 모양과 경로도 그렇지만 표면에 모습도 한 몫했다. 자전을 하면서 태양의 빛을 반사하는 특징을 보였는데 일부 학자들 사이에서는 암석이 아닌 금속이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오기 시작한 것이다.
또 한 가지, 오우무아무아가 왔던 길을 추적해 보면 60만 년에 걸려서 직녀성 베가 방향에서 태양계에 도달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하지만 60만 년 전에 베가는 지금의 자리에 없었다. 그렇다면 오우무아무아는 어디에서 온 것일까? 그리고 지금 어디로 가고 있는 것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