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지영은 Oct 22. 2023

목표는 완성형이 아니다

목표는 고집하는 것이 아니라 수정하는 것이다

목표는 일관될 수도 있지만 변화할 수밖에 없는 숙명을 지닌 경우가 더 많다.세상은 빠르게 변하고 인공지능 AI의 출현은 기존에 존재하고 있는 많은 직업들은 빠르게 소멸시켜 가고 있기 때문이다. 산업의 변화, 직장생활의 형태도 코로나 등의 예측할 수 없는 수많은 변수들에 의해 변화하고 또 변화하고 있다. 


우리는 모두 변화를 향한 변수에 의해 하루하루 지배를 받고 있고, 예측하지 못한 변수들에 의해 직장생활이 장악되지 않으려면 항상 깨어서 안테나를 세우고 내 목표가 변수들에 의해 어떻게 달라져야 할지 날마다 체크하고 수정할 필요가 있다.

     

나는 한 직장에서 5년 이상 일한 적이 없다. 2-4년 주기로 회사를 계속 옮겨 다녔던 것 같다. 옮겨 다닌 회사를 돌아보면 그곳에는 늘 10년 이상 그 회사를 다니는 사람들이 10% 정도는 있었다. 용의 꼬리보다 뱀의 머리가 되겠다던 그 사람은 현재도 그 회사에 근속하고 있을 것이다. 그는 그 회사의 꼭대기까지 오르기로 목표를 설정하고 뱀의 머리가 되겠다 했으니까. 그러는 사이 세상은 꼭 용이 되지 않아도 뱀이 용의 역할을 할 수도 있는 변화가 얼마든지 일어나고 있다. 고리타분하게 멈춰 있는 생각은 발전을 가져다 주지 않는다.   

   

나는 용의 꼬리라도 붙잡겠다는 목표를 10년 넘게 변함없이 가져갔다. 그 사이 내가 좀 더 현실에 발을 부딪히고 내가 거쳐 간 어느 한 회사에라도 정을 붙이고 그 순간에 충실했다면, 그 회사의 진정한 일원이 되겠다고 열심히 헌신했다면, 나도 지금 용은 아니지만 나름대로 어딘가의 무언가의 머리가 되어 있을 수도 있겠다. 그 삶이 지금의 삶보다는 조금은 성공적이었을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회사는 얼마든지 언제든지 우리를 헌신짝처럼 버릴 수 있다. 하지만 어느 곳에건 섣부른 판단을 내리지 않고 자신의 주제를 잘 파악하여 맞춰가는 노력이나 숙고도 어느 정도는 필요한 것 같다. 무작정 안 맞다. 괜히 안 맞다 하기 전에 맞춰보려는 노력을 선행할 필요한 것 같다. 


요즘은 조용한 퇴사가 유행이고, 직장에 헌신하는 MZ가 없다 하고 또, 자율근무제도 많고 워라벨이 대세이지만, 직장생활에서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자신의 포지셔닝을 견고히 하겠다는 목표 설정도 고려해 봐야 하고 선택을 완료했다면, 사직서는 품에 안고 다니지 말고 야근을 한다 해도 즐거운 마음으로 하고 그 회사에서 어디까지 가고 어디까지 일할 것인지 목표를 확실히 정하고 임하는 것도 방법이다.      


직장을 계속 옮기는 것을 연봉 인상이나 더 좋은 조건으로의 이행으로 볼 수도 있겠지만 하드웨어 적으로는 상당히 피곤하고 거쳐야 할 일들이 많은 까다로운 절차일 수 있기 때문이다. 기업마다 문화가 다르고, 새로 입사한 사람은 그 기업 문화, 그 속에 기존에 자리 잡고 있는 사람들의 분위기에 적응하고 맞추는 것 또한 업무 자체보다 더욱 큰 일이 될 경우가 많다. 그리고 이직을 생각하고 선택하는 많은 순간의 이유가 일 자체보다는 사람인 경우가 많다. 그러나 한 회사에서 오래 일하면 자신이 그 회사의 분위기를 주도할 수도 있고, 익숙함이 주는 환경적 요인으로 스트레스 받을 일이 별로 없고, 편안한 환경에서 더욱 일에 몰두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는 것을 생각해 보길 권한다.      


요즘처럼 빠른 속도를 살고 있는 직장인은, 대전제 목표는 변하지 않고 프레임은 유지하되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소목표들은 상황과 환경, 변화하는 트렌드에 맞춰 조금씩 수정하는 유연성과 행동력, 그리고 부지런함이 필요하다는 사실 또한 잊지 않았으면 좋겠다.     


이전 02화 시작할 땐 끝을 생각하는 것이 좋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