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젤리J Nov 13. 2023

민화를 배우기 시작하다

학원을 다녀서 규칙적인 취미 시간을 마련해야겠다고 결심은 했으나 무엇을 배울지는 정하지 않았다. 일단 주위에 있는 학원을 다 찾아봤다. 그중에서는 커피를 마시며 그림을 배울 수 있다는 성인 취미 미술학원도 있었고 미술 쪽으로 나갈 수 있게 도와주겠다는 학원도 있었다. 취미라 해도 전문적인 지식부터 가르치겠다는 학원, 아이들 미술학원과 성인 미술학원을 겸하는 것 같은 학원, 시에서 운영하는 저렴한 미술 강좌까지……. 선택지는 정말 다양했다.


이쯤 되면 내가 원하는 조건을 세워서 좁혀나가야 했다. 첫 번째는 바로 물감을 써서 칠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것이고 두 번째는 정해진 커리큘럼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것이었다. 원하는 그림을 가져오면 그걸 그리는 수업도 많았으나 '원하는 그림'을 찾는 것도 내게는 일이었다. 그리고 정말 내가 원하는 그림이라면 초보가 따라 그리기 참 어려워 보이는 그런 작품들뿐이라 일찌감치 접어두었다.


그 결과 조금 의외의 수업을 발견하게 되었다. 바로 민화 수업이었다.



민화 수업


민화 수업의 경우 가르치는 곳이 의외로 많다. 특히 시마다 있는 문화강좌에서도 발견할 수 있었다. 하지만 내가 다니기로 결심한 건 5월이라 이미 시작해서 진행 중인 강의가 많았다. 그리고 3개월 정도 유지되는 그 강의가 끝나고 나면 다음 단계로 이어지는 수업이 마땅치 않았다. 기초와 심화 정도로 구분되는 정도이고 커리큘럼이 명확하지 않아서 나와 맞지 않았다.


학원의 경우 일주일에 한 번 수업에 개인별 진도였다. 원하는 시간만 하고 갈 수 있다는 점에서 마음에 들었다. 곧바로 전화를 해 등록 예약을 하고 찾아가니 여러 수업들을 진행하는 곳이었다.


처음 도착해서는 화선지에 먹선을 몇 번 긋고는 바로 밑그림 본을 따기 시작했다. 본뜨기는 그림을 종이 아래 두고 선을 따는 것을 의미한다. 처음에는 화선지에 선을 따보다가 옻지로 옮겼다. 먹선을 긋는 건 생각보다 어려운 일이었는데 모든 선을 일정한 굵기로 그리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었다. 꽃의 경우 선을 아주아주 가늘게 그려야 했다.


선을 다 긋고 나서는 바로 채색에 들어갔다. 민화의 경우 한 번 색을 올리는 것으로 끝나는 게 아니었다. 아래 사진의 꽃의 경우에도 그냥 흰색으로 칠한 것처럼 보이지만 호분을 두세 번 올린 상태다. 연잎은 연꽃보다 훨씬 많은 색을 올렸다. 연한 백록색을 올리고, 청색을 점점 짙게 만들어서 차례대로 올리기 시작했다. 그다음에는 역방향으로 갈색이 섞인 녹색을 두어 번 올렸다.



생각보다 훨씬 복잡한 과정이었는데 단순히 면적을 채우듯 칠하는 게 아니라 바림을 해야 했기 때문이다. 바림은 그라데이션과 비슷한 느낌의 기법인데 한쪽을 짙게 하고 다른 쪽으로 갈수록 엷어지게 하는 방법이다. 바림붓을 쓰면서 강사님이 몇 번이나 시도를 보여줬으나 붓을 쥐는 세기와 종이에 닿는 힘 등등 고려해야 할 점이 많아 따라 하기 어려웠다.(지금도 자신이 없는 게 바로 이 바림이다...)


연꽃에 분홍색을 올리고 연꽃의 테두리를 호분 섞인 연분홍으로 그리고 나니 기나긴 연화도가 완성되었다. 이 작품의 크기는 크지 않은데(15x20cm) 하루에 끝내지 못하고 다음 수업까지 해야 할 정도였다. 아무래도 여러 번 바림을 하다 보니 쉽게 끝나지 않는 작품이었다.


여담으로 이날은 첫 수업인데 비해 정말 바림을 많이 했다고 생각했는데 나중에 가서 더 큰 크기의 연화도를 그릴 때에는 잎 하나에 여덟 번 이상 바림을 했다. 첫 수업이라 쉬운 편이었던 모양이다.



* 완성된 작품은 액자에 잘 넣어서 보관 중이다.


완성본


이전 02화 처음 듣는 미술도구?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