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마인드립 Jul 06. 2022

성인 ADHD는 꼭 약물치료를 해야하나요?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가 직접 경험하고 쓴 성인 ADHD 이야기

@. 치료제가  향정신성 약물이라 걱정이 되는데 약물치료를 꼭 해야할까요?

 

요즘은 정신건강에 도움이 되는 비약물 치료법이 정말 많이 생겼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ADHD는 신경인지기능 이상의  결과이어서인지, 약물치료가 가장 효과가 좋고 우선으로 권장됩니다.

! ADHD 약물은 잘 이용해야 하는 도구라고 생각하면서 적절히! ! 이용하는 것이 정말 중요합니다.

 

우울증 약은  다수의 사람들에게 비교적 비슷한 용법과 용량으로 사용이 되고 비교적 고른 효과가 나타납니다.

사용 용량과 복용 방식, 치료 효과의 개인 별 편차가 상대적으로 적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중추신경자극제는 효과를 보는 적정 용량이 개인별로 많이 차이가 나며 효과의 크기나 사용 방식에서도 차이가 많습니다.


따라서 ADHD치료제는
기성복보다는 맞춤 옷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 도대체 어떤 효과를 봐야 약효가 있다고 볼 수 있나요?


약의 원리로 설명하자면,


1. noise를 (다른 자극에 주의를 빼앗김) 줄이고

2. 적절히 brake가 작동(꽂힌 상태에서 제동)하게 해주며  

3. 동기 부여가 잘 되게 해줍니다.

 

Noise 감소와  brake의 정밀한 작동, 꾸준한 동기부여. 이게 어떻게 나타나냐구요?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 머리가 맑아져요. 생각이 더 또렷해져요.

@ 심란했던 잡념이 줄었어요.

@ 무엇을 해야할지 생각을 하기 시작했어요.

@ 공부할 때, 일할 때 (지루한 일) 딴짓을 안하고 집중하는 시간이 늘어났어요.

@ 여러 과정, 순서가 있는 일을 하면 꼭 한가지를 빠뜨렸는데, 이제 그런 실수를 덜 해요.

@ 대화할 때 머리 속에 생각이 꼬여서  어버버했는데, 이제 할 말을 정리하면서도 말을 할 수도 있어요.

@ 짜증이 덜 나요. 우울한 게 나아졌어요

@ 아침에 일어나면 뭘 하려고 해도 시작하기가 어려웠는데 요즘은 바로 시작할 수도 있어요

@ 무엇을 할 때, 시간이 더 빨라졌어요. (굼뜨는 게 줄었어요)

@ 드라마 끝까지 보기가 어려운데 시리즈 많은 미드를 완주했어요

@ 노래를 들으면서도 가사가 들리기 시작해요.

@ 다른 사람들 소리가 귀에만 들어왔는데 이제 머리에서 이해가 돼요.


 (집 정리를 잘 하게 되었어요.. 도 기대했지만,, 안타깝게도 거의 들어보지 못하였습니다 ==; )


그런데, 중요한 것은!

1) 위 효과가 모두 다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에서 결핍이 있었던 증상에 한하여 나타납니다.

2) 초반에 느껴졌던 효과에 적응이 되면 그게 당연한 듯 적응이 되어버려서 첫 느낌 만큼의 효과는 유지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3) 부작용을 잘 느끼는 분은 초기에 용량을 올리기가 어려우니 시간을 갖고 적정 용량을 찾아야 효과를 느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대하는 효과가 별로 없었던 분들은 인내를 가지고 적정 용량과 사용 방식을 잘 찾으셨으면 합니다.


이전 07화 성인 ADHD증상은 왜 난해할까?<보상전략2>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