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 다음날이었다. 방 안에서 설핏 낮잠이 들었다가 악몽을 꾸었다. 수업 자료를 들고서 문이 닫힌 교실 문들을 사이에 두고, 홀로 긴 복도를 끝없이 헤매는 꿈이었다. 나는 식은땀을 흘리며 자리에서 일어나서, 머리맡에 놓아 둔 핸드폰을 확인했다. 오후 두 시. 메시지 한 통이 와 있었다.
발신인은 휴직 중인 K고교에서 상담 교사로 근무하는 선영이었다.
- 선생님, 안녕하세요? 이선영이에요. 다름이 아니라 제가 요즘 소설책 읽기에 관심이 생겨 선생님께 책을 추천받고 싶어요. 연락처는 재윤 샘에게서 받았습니다. 괜찮으시다면 만나서 차 한 잔 같이 해요^^
내용을 확인하고 나서 조금은 얼떨떨한 기분이 들었다. 그도 그럴 것이 K고교에 있던 2년 동안에 그녀와 업무 외적으로 교류한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다만 교무실에서 유일하게 마음을 터놓을 수 있는 상대였던 재윤이, 개인적으로 상담실을 자주 찾는다는 사실 정도만 알고 있었다.
굳이 내가 아니더라도 학교에 소설책을 추천해 줄 만한 선생님들은 차고 넘칠 터였다. 그녀가 갑작스레 나를 만나려는 데는 다른 의도가 있을 거라고 짐작했지만, 행위의 동기가 ‘선의’에서 비롯된 것일지는 불분명했다. 의구심을 품은 채로 그날 저녁 카페에서 선영과 만나, 조심스럽게 연락을 하게 된 연유를 물었다.
그녀는 입가에 부드러운 미소를 떠올린 채 연민에 찬 눈길을 나에게 보내며 입을 뗐다.
“아마 재작년 말쯤이었을 거예요. 복도를 지나다가 우연히 선생님을 마주친 적이 있었는데, 한눈에 ‘저 사람 지금 힘들어 하고 있구나.’라는 걸 알았어요. 최근에 재윤 샘과 대화를 나누던 중에 선생님 얘기가 나와서……. 불현 듯 그때 기억이 떠오르더라구요. 아무래도 한번 연락을 해봐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손에 쥔 머그잔의 온도가 따듯해서 그녀를 향한 경계심의 빗장을 어느 정도 풀 수 있었다. 나는 비틀린 자존심과 함께, ‘괜찮다’는 거짓말을 잠시 내려두기로 했다.
두 시간 넘게 대화가 이어지는 동안, 선영은 내 문제를 진지하게 들어주며 동조해주거나 때때로 나와 함께 눈동자를 크게 부풀렸다. 내면에서 끊임없이 울려대는 자기비난의 언어들과 사회 공포증, 사직 결심, 작가가 되고 싶다는 소망까지. 그녀에게 털어놓았다.
“그 동안 재윤 샘이 상담실에 와서 선생님에 대한 얘기를 자주 했었는데요. 그 얘기를 들으면서 학교에 선생님과 같은 시선을 가진 사람이 꼭 필요하다고 느꼈어요. 떠난다고 말씀하시니 너무 아쉽네요. 제 생각에는 당장에 사직서를 내기보다 마음을 회복하면서 결정을 좀 보류했으면 좋겠어요.”
꼭 필요한 사람, 이라는 선영의 말에 저도 모르게 볼을 타고 눈물이 흘러내렸다. 나 자신을 쓸모없는 존재라고 비난해왔던 마음에 던져진 한 웅큼의 위로가, 내가 너무도 바랐던 말이어서.
“함께 근무했던 선생님들이 학교를 떠나고 싶어 하는 상황이 속상하고, 외로워요.”
이어진 그녀의 목소리에는 지친 기색이 잔뜩 묻어 있었다.
대화의 말미에 선영은 나에게 정신분석을 받아볼 의향이 없느냐고 물었다.
“제가 선생님의 얘기를 세심하게 들어줄 수 있을 만한 선생님을 연결해줄 수 있어요.”
그 순간에 나는 두려움이나 망설임 대신에 ‘어떻게 살아야할지 모르겠다’는 절망의 구덩이로부터 환한 바깥세상으로 연결된 사다리의 이미지를 떠올렸던 것 같다. 과거 복도에서 선영과 우연히 마주쳤던 일과 재윤을 통해 이어진 관계, 한낮의 문자 메시지, 인생의 전환점이 됐던 한 권의 책(자유로부터의 도피)과 갑작스럽게 찾아온 제의에 이르기까지. 개별적으로 흩어져 있던 사건과 상황들이 어느새 하나의 선으로 연결되어 어디론가 이어지고 있었다.
나는 선영이 아무 조건 없이 내밀어준 따스한 손을, 잡기로 선택했다.
“안 그래도 도움을 받을 데가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감사합니다, 선생님.”
며칠 뒤, 선영과 나누었던 대화와는 별개로 학교에 재차 휴직 신청을 했다. 이번에는 병원 진단서를 첨부한 질병 휴직이었다. 비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희망의 실마리를 발견하긴 했지만, 당시의 내 상태로는 교사라는 사회적 정체성을 잃은 모습을 감당할 수 없으리라는 한계에 직면했기 때문이었다.
삼십 대 중후반의 나이에 사회적 명함을 버리고 아무 것도 아닌 존재로 돌아가는 것, 불확실한 꿈에 뛰어드는 것, 나로 인해 부모님이 고통스러워하는 모습을 지켜봐야 하는 것, 그리고 끝내 한 세계에 적응하는 데 실패했다는 현실을 받아들이는 것에 대한 부담감이 나를 완전히 압도해 버렸다.
일 년 만에 다시 학교를 찾아가 교무 부장에게 진단서를 건네고 집으로 돌아온 날에, 나는 끔찍한 기분으로 한 줄의 문장을 일기에 토해냈다.
- 나, 아무 것도 아니어도 존재 자체로 사랑받을 수 있기를.
긴 겨울을 지나고 있었다.
표제 이미지: 마이클 크레이그 마틴, <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