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ake Shin Mar 10. 2024

외부 활동

관점 및 생각 넓히기

직장 다니면서 회사내부 업무도 하지만, 회사외부 업체 및 인원들과 미팅을 통해 새로운 정보 및 트렌드를 알게 되는 기회도 가지게 됩니다. 향후에 회사업무관련해서 협업/논의 필요시에 다시 만나는 경우도 많습니다. 물론 외부 학회/콘퍼런스/세미나 참석을 통해서도 업무에 도움이 되는 트렌드를 파악 가능합니다. 저는 회사외부 활동에 대해서도 비중 있게 봅니다. 견문도 확장되고, 느슨한 사회 연대도 가지게 되는 것으로 개인적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번주는 '외부 활동'이라는 주제로 인생의 키워드를 풀어보고자 합니다. 한마디로 '우물 안 개구리'가 되지 말자는 메시지가 전제가 되겠습니다직장인이면 회사에서 맡은 업무를 하면서외부환경 변화 파악 및 경쟁업체는 어떤 관점/목적을 가지고 일하는지 파악도 하여 큰 그림을 갖자는 것이죠  





저는 세 가지 관점으로 생각을 풀어볼까 합니다. 1) 본연의 업무 + a 2) 느슨한 사회적 관계 3) 경력관리 측면입니다. 아마도 이 글을 보시는 분들도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겠습니다. (예전에 글을 올렸던 것도 리마인드 해보면서 글 전개해 보겠습니다.)



먼저 본연의 업무 + a입니다. 기업마다 업무 환경은 다릅니다. 어떤 곳은 할당된 업무 위주로 하거나, 전체 사업관점에서 모든 영역을 아우리는 업무도 할 수 있습니다. 특히 대기업 경우 역할/분담이 확실하여 전체 중에 특정영역만 담당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저는 회사 전체 사업관점에서 내가 하고 있는 영역, 중요도 / 기여도 파악 없이 소모적으로 일을 할 경우, 특히 외부 활동을 통해 시너지를 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회사에서 내가 하고 있는 일이 중요하다고  하면 외부 환경 트렌드 기반으로 어떻게 기여를 할지를 파악하는 것입니다중요하지 않다면 어떤 업무로 전환을 해야 할지 고민을 하는 것입니다. 


하고 있는 일이 중요한 업무 (회사 외부에서 채용 모집 시 자주 등장하는 키워드) 경우, 비슷한 업종에 있는 사람들과 온라인 혹은 오프라인 모임을 통해 차별화를 고민하는 것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활동하는 온라인 모임이 있는데, 특히 프런티어 업체에 다니는 분들의 지향점을 유심히 살펴보고 있습니다. 시너지가 가능한 부분에 대해서는, 회사에서 유관부서 실무 담당자 및 팀리더 등과 논의를 통해 개진활동도 합니다. 아래는 직무 관련해서 외부 포럼을 다녀온 것을 정리하였는데, 이를 기반으로 같이 일하는 분들과 논의 시 많이 도움 되었습니다.


https://brunch.co.kr/@goodlifestory07/34


하고 있는 일이 비부가가치 업무라고 하면 빨리 Exit 하고 가치 있는 업무로 변경해야 합니다. 본인이 지향하는 바와 다른 업무가 주어진다면 외부 환경 (시장, 경쟁사)에서 어떻게 보는지 살펴봐야 한다는 것입니다. 향후 커리어 측면으로 나에게 플러스 요소가 안된다고 하면 빨리 정리정돈을 해야 할 것입니다. 



두 번째로 느슨한 사회적 관계 구축입니다. 요즘은 온라인 기반으로 모임 활동이 많습니다. 굳이  face to  face 하지 않아도 (외부사람)들과 교류가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지난 코로나 19 이후 비대면 체계가 아직도 유효하다는 현실을 감안하다면, 느슨한 사회적 관계를 통해 업무/커리어적으로 시너지까지 가능합니다. 개인적으로 앞서 말씀드렸지만 소셜 미디어를 통해 HW(전문성) / SW(기반스킬) 스킬을 향상 목적으로 다른 사람들과 교류도 하고 있습니다. 직접 만나서 이야기까지는 못하지만, 필요시 구글미트, 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소통이 가능합니다.  



느슨한 사회적 관계를 통해 나의 브랜드 확립 및 개인 영향력 강화 측면에도 도움이 된다고 봅니다. 만약에 회사 업무 및 개인 경험 기반으로 꾸준한 글쓰기를 통해 책까지 낸다고 하면, 기 구축된 사회 네트워킹이 본인에게 레버리지가 될 것임은 자명합니다. 이런 활동을 기반으로 SW스킬인 커뮤니케이션 역량도 확실하게 향상이 됩니다.


https://brunch.co.kr/@goodlifestory07/55



마지막으로 경력관리 측면입니다. 외부활동을 통해 현재 직장에서 생각하지 못한 '본인만의 역량 / 재능'을 발견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외부활동을 통해 관심 영역을 발견하게 되면 향후에 직무 변경 및 이직까지 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 읽어본 서적에서 '커리어 맵', '커리어 포트폴리오'라는 말이 회자가 되는데, 앞으로의 경쟁력은 특정한 업무가 주어질 때 이전 경험 및 역량을 조합하여 일을 해 내는 능력입니다. 요즘 다이내믹한 직장환경에서 살아남으려면 사회적으로 트렌드가 되는 영역은 눈여겨보고 사이드 잡 (부케) 형식으로 미리 준비를 할 필요가 있습니다. 혼자 하는 것보다는 뜻이 맞는 분들과 같이 한다면 목표하고자 하는 아웃풋이 가시화가 되게 마련입니다. 본연의 나만의 일도 찾을 수 있는 기회도 마련이 됩니다.


https://brunch.co.kr/@goodlifestory07/78



생성형 인공지능이 사회적으로 많은 영향을 주는 시대에서, 나만의 경쟁력을 쌓게 된다면 향후 불확실성에 대한 고민 (내 가 맡은 업무가 인공지능에 의해 대체되어 없어진다는 것)은 다소 약해질 수 있겠습니다. 더 좋은 점은 외부 활동을 통해 계속 공부를 하고 위기의식 (sense of emergence)을 통해 보다 더 성장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 수 있다는 것입니다. 





외부활동을 사이드 잡 (부캐)로 볼 수 있습니다. 현재 직장이 끝까지 챙겨주지 않고, 개인적인 역량 기반으로 충분히 경제적 자유를 가질 수 있는 환경에서 '외부 활동'은 꼭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나이가 들어서 본인 생각만 고집하면 꼰대라고 들을 수 있는데, 다양한 생각을 접하게 되면 뭔가 달라지는 것도 느낄 수 있게 됩니다. 다만 중요한 것은 현재 주어진 업무/일을 확실히 해놓는 게 전제조건입니다. 주객전도가 되면 안 되니까요 



저는 브런치 활동을 하는 것도 외부활동이라고 생각합니다. 글쓰기를 통해 다른 영역에서 활약하는 작가님 통해 제가 알지 못하는 새로운 배경지식도 알게 되고, 저도 글쓰기를 통해 생각의 정리도 가능합니다. 간혹 저와 업무가 비슷한 분들과의 소통을 통해 시너지도 얻게 됩니다. 



현재 하시는 업무 기준으로, 뭔가 부족하여 보완해야 할 사항 및 새로운 영역에 도전하고 싶을 때 '외부 활동'을 통해서 시너지를 내보면 어떨까요?

이전 06화 글쓰기를 통한 삶의 효용성 강화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